(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강병철 시인(정치학 박사)가 해외 언론에 발표한 작품들을 모아 영한시집 <대나무 숲의 소리>를 출간했다.강병철 시인은 이번 영한시집에서 "불교의 깊은 사상이 녹아 있는 '유마경(維摩經)'의 가르침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암시하고 있다. <대나무 숲의 소리> 시집은 저명한 해외문인 및 예술가 7인이 추천사를 포함하고 있다. 타이완 리쿠이셴 시인은 노벨문학상 후보로 세 번이나 추천된 타이완의 대표적인 시인 중 한 명이다. 강병철 시인은 1993년 제주문인협회가 주최하는 소설부문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했으며, 2016년 <시문학>에서 시인으로 등단했다. 2012년 제주대에서 국제정치전공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 특별연구원, 인터넷 신문 '제주인뉴스' 대표이사, (사)이어도연구회 연구실장 및 연구이사, 충남대 국방연구소 연구교수, 제주국제대 특임교수,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제주통일교육센터 사무처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평화협력연구원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제33대 국제PEN한국본부 인권위원이며, '국제펜투옥작가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제34대 국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베트남의 팜 반 안(Phạm Vân Anh) 작가가 지난 28일 오후 서울 영등포 전국기자협회 대 회의실에서 개최한 '위대한 대한민국 국민대상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전국기자협회'와 '글로벌기자연맹'이 주관한 '2023 위대한 글로벌 국민대상' 시상식에서 국제문학작가 부문에서 '베트남작가발전 최고대상'을 수상했다. '2023 위대한 글로벌 국민대상'은 정치·경제·사회·문화·한류를 비롯하여 일반 기업 및 공직에서 평소 투철한 사명감과 확고한 국가관으로 창조적인 국제적 지도력을 갖춘 인물들을 발굴하여 노고를 격려하고 공적을 치하하고자 제정된 시상식이다. 팜 반 안(Phạm Vân Anh) 작가는 한국과 베트남 문학 발전에 획기적인 헌신과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국방부가 주최한 인도차이나 삼국의 '환대와 화합'에 대한 예술 작곡 캠페인을 통해 사명감과 국가발전에 이바지하여 이 상을 받게 되었다. 팜 반 안(Phạm Vân Anh) 작가는 영상으로 보내온 수상소감을 통해 "나의 이런 작품들이 한국에서까지 알려져서 너무 영광스럽다"라며 "이 상을 통해 앞으로 문학을 비롯하여 여러 예술 활동을 이어 가는 데 큰 힘이 될 거 같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베트남의 키유 빅 하우(Kiều Bích Hậu) 작가가 지난 28일 오후 서울 영등포 전국기자협회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위대한 대한민국 국민대상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전국기자협회'와 '글로벌기자연맹'이 주관한 '2023 위대한 글로벌 국민대상' 시상식에서 국제문학발전 부문에서 '베트남문학발전 최고대상'을 수상했다. '2023 위대한 글로벌 국민대상'은 정치·경제·사회·문화·한류를 비롯하여 일반 기업 및 공직에서 평소 투철한 사명감과 확고한 국가관으로 창조적인 국제적 지도력을 갖춘 인물들을 발굴하여 노고를 격려하고 공적을 치하하고자 제정된 시상식이다. 키유 빅 하우(Kiều Bích Hậu) 작가는 그동안 베트남 문학을 전 세계에 적극 알리기 위해 활동해 왔는데 지난 3년 동안 100명 이상의 베트남 작가들의 시와 산문, 소설 등 문학작품을 소개하며 30권에 가까운 베트남 문학 서적을 세계에 소개한 공로가 인정되어 수상자로 선정 되었다. 키유 빅 하우(Kiều Bích Hậu) 작가는 영상으로 보내온 수상소감을 통해 "이번 수상으로 베트남 문학작품이 한국은 물론 세계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이렇게 한국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유·무형 전통문화재 지킴이 단체인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약칭: 한문회, 대표: 김선풍)가 '2023년 서울특별시 서울민간 예술축제 보조금 지원사업'으로 시행하는 '세종과 함께 궁중향연 축제(세종! 新 여민락)' 기간에 열리는 경연대회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경연대회는 서울시민 누구나(초등학생 이상) 순수 동아리 예술인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으며, 외국인도 참가 가능하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노래자랑대회와 교복패션쇼, 한복패션쇼, 현대댄스, 한국무용, 민요, 판소리, 사물놀이, 모듬북, 난타 등이 진행된다. 본선대회 인원 제한에 따라 장르별 예선전을 치러야 하며, 시상금(약 200만원)과 상장(국회의원, 시장, 구청장) 및 한국가요협회에서 가수증도 수여한다. 또한 축제 기간에 궁중혼례식, 전통혼례식을 올리고자 하는 예비 신랑,신부는 나이 제한 없이 참가할 수 있고, 1차 서류심사, 2차 면접심사, 3차 궁중복식 심사를 거쳐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2쌍의 주인공을 선발한다. 접수 기간은 9월 10일까지며 혼례 진행은 9월 30일 10시 개막식 퍼레이드 행사를 시작으로 세종대왕기념관삼거리에서 영휘원사거리를 경유하고, 축제 장소인 세종대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온라인 갤러리 씨에스타가 투우사의 화려한 의상과 그들의 삶을 굵고 강렬한 선과 색으로 표현한 프랑스 출신의 집시 화가 후안 징가로(Juan Zingaro) 특별전을 개최한다. 장미셸 무이란(Jean Michel Mouiren)이라는 본명과 '후안 징가로'라는 집시 이름으로도 알려진 그는 1967년 8월 26일 프랑스 아를(Arles)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으며 1996년부터 정기적으로 전시를 개최하며 미국, 라틴 아메리카, 중동 및 호주에서 일정한 성공을 얻었다. 후안 징가로는 다른 집시 예술가들처럼 대형 예술학교에 접할 수 없었으나 음악가, 무용수, 무대 배우들로 이루어진 가족들 사이에서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집시 예술의 모든 것을 몸으로 체험했다. 그의 가정은 가난과 궁핍에서 벗어나기 위한 유일한 생계 수단으로 예술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주로 창고에 남아 있는 공장용 페인트로 골판지 조각 위에 그림을 그리곤 했다. 일반적으로 집시들이 음악가였던 반면, 그는 표현의 수단으로서 그림을 선택했다. 그의 타고난 재능은 곧 예술 후원자들에게 인정을 받았다. 1998년 4월 11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은월 김혜숙 시인이 자연 서정이 가득한 풍요로운 시정을 모아 제3시집 <아득하고 멀도록>를 최근 인문학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은월 김혜숙 시인의 세 번째 <아득하고 멀도록>은 2013년 계간 <서울문학>을 통해 시 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한 작가의 제1시집 <어쩌자고 꽃>(2018년)와 제2시집 <끝내 붉음에 젖다>(2022년)에 이은 세 번째 시집으로 제1부 '봄을 기다리며' 외 17편, 제2부 '깊고 푸르게 여무는 날' 외 17편, 제3부 '또 한 생이 넘어간다' 외 16편, 제4부 '아득하고 멀도록' 외 14편 등 총 4부로 구성돼 있으며, 68편의 시 작품이 담겨 있다. 어느 사이 꽃잎이 주고 가는 설교를 반복해서 탑처럼 쌓다가 혼선이 와서 기억이 쇠했다 그들의 화려한 삶 튼실한 결실의 연막 그로 인한 목적 달성 그 속내를 끝내 알아듣지 못했다 꽃잎의 사후를 맞은 초연의 순간 연막을 짙게 피우다 가는 이유 그 현란했던 순간이 우리에게도 있었음에 열매를 거두고 목적 달성에 이룬 꽃잎이 주는 그 깊은 내력과 간절함 살아내는 동안 알아듣지 못했다 얼마간 잘 살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조대연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 <마음을 살포시 포개어 얹어>가 월간 순수문학 '순수 시인선 662'로 출간되었다. 정연수 시인(문학박사)은 이번 시집 해설을 통해 "고통의 속살이 피운 꽃의 세계와 자유를 향해 피어나는 시적 담론을 그려내고 있다"고 평했다. 정연수 시인은 "조대연 시인의 시집은 예쁜 제목들에서부터 시의 맛을 그윽하게 우려낸다"며 "'구름이 걷힌 우주를 날아 너 함께', '좋은 날이 만들어질 거야', '풀잎에 물드는 사랑', '사랑이 시작되고 끝나는 건 찰나의 한 생각이야', '달빛 사랑 따기', '꽃잎 들길에서 피고 지고', '겨울나무 꽃으로의 꿈', '참 나의 꽃빛', '이파리 간절히 마지막', '허공의 물방울을 봐' 등 제목만으로도 시의 감칠맛이 느껴진다"고 했다. 정연수 시인은 이어 "조대연 시인은 명사에다 동사를 맛깔나게 곁들여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시의 세계를 확장하는 재질을 지녔다"며 "시인의 말에서 '언어의 유희가 좋아/각이 있는 말 깔끄러운 말 다듬어 쓴/서정의 언어가 나비로 되어 훨훨 날아가'라고 적은 까닭을 알겠다"고 했다. 정연수 시인은 계속해서 "시의 제목에서부터 그 '정감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는 한국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작고문인들의 문학적 발자취, 창작배경, 작품세계 등을 발굴·조명하여 한국문학사에 새로운 금자탑을 세우고자 <문인열전> 1·2권을 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김호운 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은 "우리 협회가 심혈을 기울인 이 책에는 작고문인을 면밀히 분석·파악하여 작고문인 분들과 직간접적으로 잘거나 연고가 있는 분들로 집필진를 구성하여 각종 실화와 증언들이 골고루 담겨 있다"며 "<문인열전>1·2권을 간행함으로써 우리 문단사에 찬란한 금자탑을 세우는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되었다"라고 강조했다.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이 책은 각 권 600쪽 내외이며 값은 권당 30,000원이다. i24@daum.net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는 13일 제20회 한국문협작가상, 제16회 한국문학백년상, 제12회 월간문학상, 제9회 한국문학인상 수상자를 결정 발표했다. 이 문학상들은 한국문인협회가 창작활동에 전념하는 문인들의 문학적 업적을 포상하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이 가운데 월간문학상은 한국문인협회 기관지 <월간문학>에, 한국문학인상은 계간지 <한국문학인>에 발표한 작품 중에서 수상작을 선정한다. 시상식은 오는 7월 28일(수) 오후 15:00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문학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수상작). ◇ 제20회 한국문협작가상 시 : 이석래(시집 <꿈꾸는 벽시계>) 2006년 <문예춘추> 시 신인상, 2008년 <부산시조> 시조 신인상 등단. <한국동서문학> 발행인. <문학도시> 작품상, 한국문학신문 기자대상, 제17회 한국해양문학상 장려상, 제27회 부산문학상 대상 등 수상. 시집 스쳐 흐르는 강물>, <사계의 노래>, <다시 듣는 사계의 노래>, <담쟁이 은유>, <산송 앞
그들에 관한 시(詩) - 응웬 빙 프엉(Nguyễn Bình Phương) 작가 구름은 그들의 시간이다 저 햇빛은 그들을 기다리는 문 나는 고성의 벽에 얼룩진 빠르게 사라지는 왕실을 본다 그들은 고개를 떨어뜨리고 거리에 앉아 흔들리는 사찰의 갈색 종소리를 듣는다 성곽의 다리 쪽에는 당황해서 그들을 흔들고 이끼를 먹은 잉어 떼는 침묵으로 변했다 처마 밑에 그들이 누웠고 전등불은 화려한 황금빛 커튼에 비치면 그들은 자신이 수평선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내 동포들을 본다 밤이 천천히 지나간다 내 동포는 막 꿈에서 깬 듯한 얼굴이다 손에는 의심스런 티켓 한 장을 꽉 쥐고 있다. - 한국어 번역 : 배양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한국베트남학회장) Bài thơ về họ - Nhà văn Nguyễn Bình Phương Những đám mây là thời gian của họ vệt nắng kia là cánh cửa chờ họ tôi thấy hoàng bào tan rất nhanh trên hoen ố bức tường thành cổ Họ nghiêng đầu ngồi bên hè phố nghe nâu sồng tiếng chuông chùa động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리쿠이셴(李魁賢, Lee Kuei-shien) 시인은 1937년 타이완(Taiwan)의 타이베이 출신으로 대만 국가문화예술기금회 이사장(國家文化藝術基金會董事長)을 역임하였고, 현재 2005년 칠레에서 설립된 Movimiento Poetas del Mundo의 부회장이다. 리쿠이셴 시인은 또 타이완에서 최초로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른 작가이기도 하다. 국립대만문학박물관(National Museum of Taiwan Literature)은 '대만 이미지와 문학 우선'이라는 이름으로 반세기 동안 글을 써오며 타이완 문학을 세계에 알린 작가를 소개하는 '리쿠이셴 기증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번역가, 평론가이기도 한 리쿠이셴 시인의 시 스타일은 타이완의 풍부한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인도국제시인협회에서 노벨문학상 후보에 세 번 지명되기도 했다. 리쿠이셴 시인은 53권의 시집을 발간하였으며, 그의 작품들은 일본, 한국, 캐나다, 뉴질랜드, 네덜란드,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인도, 그리스, 리투아니아, 미국, 스페인, 브라질, 몽고, 러시아, 쿠바, 칠레, 폴란드, 니카라과, 방글라데시,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코소보, 터키, 포르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내 최대 책 축제이자 한국과 세계를 책으로 연결하는 플랫폼인 '2023년 서울국제도서전'이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1954년 1회 도서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70년 동안 65회째 개최되어 온 이 행사는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이 후원한다. 이번 도서전에는 36개국 530개(국내 360개사, 해외 170개사)의 참가사가 모여 전시, 부대행사, 강연 및 세미나, 현장 이벤트 등 170여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소설가 오정희, 김인숙, 편혜영, 김애란, 최은영, 천선란 등 6인이 세대를 아우르는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18일 주제 강연을 통해 독자들과 만난다. 올해 주제는 '비인간, 인간을 넘어 인간으로'다. 그동안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소외받는 인간과 인간 외의 존재에 대해 돌아보자는 취지에서 다양한 전시와 강연, 세미나 등을 진행한다. '사라지다', '저항하다', '가속하다', '교차하다', '가능하다' 등 5개 분야로 나눠 도서 600여 권을 전시하면서 인간 너머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할 계획이다. 도서전 첫날인 14일은 생태학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김민정 시조시인(문학박사,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겸 상임이사)이 최근 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베트남어 번역 시조집인 <꽃, 그 순간>에 이어 열두 번째 개인 시조집 <펄펄펄, 꽃잎>을 월간문학출판부를 통해 출간했다. 순한 햇살들이 초록숲을 만들 동안 바람에 지는 벚꽃, 천지가 꽃안개다 나이테 둥근 시간도 새떼로 날아간다 움직이는 모든 것엔 둥지 트는 사랑 있지 실시간 반짝이는 봄볕 속 너를 본다 봄이다, 꽃불자락이 들녘마다 타오른다 - 표제시(標題詩) '펄펄펄, 꽃잎' 전문 이번 김민정 시조시인의 <펄펄펄, 꽃잎>에는 75편의 신작이 들어 있다. 김민정 시조시인은 이 책 책머리의 '시작(詩作)'에서 "실타래 풀어가듯/ 엉긴 나를 풀어가며// 수도 없이 일어나는/ 생각을 꿰고 홀쳐// 정수리 한 가운데로/ 꽃대 하나 세운다"라고 했다. 김 시조시인은 이어 '시인의 말'을 통해 "그 동안 철도시조집을 따로 출간하려고 아껴두었던 철도 관련 작품 8편도 이번 시조집에 싣는다"며 "코로나로 지친 독자의 마음에 조금은 부드럽게, 평온하게 위안을 줄 수 있는 시조집이기를 바란다"라고 했다. 김 시조시인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한국소설가협회가 주관하고 (사)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 주최로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한 '제4회 대한민국 소설독서대전' 시상식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퇴계로 '문학의 집·서울'에서 김성달 한국소설가협회 편집주간의 사회로 개최되었다. 이번 '제4회 대한민국 소설독서대전' 시상식은 (사)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의 '미 분배 보상금을 활용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에는 고민실 작가의<영의 자리>를 읽고 쓴 '가능성의 자리'로 전재희 씨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상장과 5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었다.. 이날 김호운 한국소설가협회 이사장(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 소설독서대전'은 여느 글짓기 행사와 달리 책을 읽고 그 감상을 쓰는 일"이라며 "입상하면 기쁜 일이지만 비록 입상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이 기회에 훌륭한 작품 한 편 읽은 소중한 체험을 하였기에 매우 뜻깊은 일"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이 독서 체험은 각자의 삶에 귀중한 에너지가 될 것"이라며 "세계적인 부자면서 훌륭한 일을 많이 하기로도 소문난 빌 게이츠는 '어릴 적 나에겐 정말 많은
(미래일보=서울) 최현숙 기자= 작가의 문장에는 언제나 그가 언어를 중요시하듯 맑고 깨끗하게 살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의 글을 읽고 있으면 마치 내 오래된 습관에서 묻어난 내면의 글을 보는 느낌이 전해져 온다. 때론 어떤 말로도 풀어낼 수 없는 것이 우리의 내면 깊숙함이며 이곳에는 늘 무언가 들어 있어서 가끔은 내가 나를 잘 모를 때도 있다. 그러나 글을 읽다 보면 내면의 이끌림이라는 것이 있으며, 그의 문장에는 정교함과 깨끗함 그리고 때론 내면에 숨겨져 있던 문장의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늘 뒤따라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의 책 <성우의 언어>에 나오는 내용에는 본문 p125 '목소리 디자인' 편에서 "성우에게 목소리는 만드는 문제가 아니라 디자인되는 문제입니다"란 내용이 있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뜻은 "만들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목소리를 재료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됩니다"(p125)라는 것이다. 그는 이렇듯 글과 마찬가지로 성우에 대한 기술을 그냥 소리로 내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아름다움을 연출하고자 보다 더 아름다운 예술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창작과 예술이라는 것은 보기 좋게 또는 아름답게 꾸민다는 비유가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