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한국문인협회, 제60회 한국문학상 및 제42회 조연현문학상, 제39회 윤동주문학상, 제9회 박종화문학상, 제1회 한국문협출판문학상 수상자 선정 발표

12월 5일(화) 오후 15:00시 서울 양천구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수상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는 22일 제60회 한국문학상, 제42회 조현현문학상, 제39회 윤동주문학상, 제9회 박종화문학상, 제1회 한국문협출판문학상 수상자를 선정 발표했다.

이 문학상들은 한국문인협회가 창작활동에 전념하는 문인들의 문학적 업적을 포상하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시상식은 12월 5일(화) 오후 15:00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문학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수상작).

◇ 제60회 한국문학상

▲ 시 : 소재호 시인(시 '노루귀')
소재호 시인은 1984년 <현대시학> 시 추천완료. 2013 <한국작가> 평론 등단. 완산고등학교장, 전북문협회장, 석정문학관장, 표현문학회장 역임. 전북예총 회장. 시집<악성 은행나무> 등 6권. 평론 100여 편, 목정문화상, 성호문학상, 중산문학상, 탄리문학상 대상 수상 등 다수.

▲ 수필 : 최원현 수필가(수필집 <고자바리>)
최원현 수필가는 <한국수필>로 수필, <조선문학>으로 문학평론 등단. (사)한국수필가협회 이사장. 월간 한국수필 발행인. (재)국립세계문자박물관 이사. (사)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역임). (사)국제PEN한국본부 이사. 수필집 <날마다 좋은 날>, <그냥>, <고요>, <그 후> 등 19권. <창작과 비평의 수필쓰기> 등 2권의 문학평론집. 한국수필문학상, 동포문학상대상 外.

▲ 아동문학 : 하청호 아동문학가(동시집 <동시가 맛있다면 셰프들이 화를 낼까>)
하청호 아동문학가는 1972년 <매일신문>,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 1976년 <현대시학>시 추천. 동시집 <잡초 뽑기>, <무릎학교>, <데칼코마니>, <말을 헹구다>, <나에게 우체국 하나 있네> 外 시집 <다비(茶毘) 노을>, <그대는 눈꽃 앞에서 그냥 아름다우시면 됩니다> 外. 세종아동문학상(1976), 대한민국문학상 우수상(1989), 방정환문학상(1991), 윤석중문학상(2006), 박홍근아동문학상(2009), 대한민국예술문화대상(2022) 外.

◇ 제42회 조연현문학상

▲ 시 : 홍경자 시인(시집 <내 영혼의 안식처 찾아가는 길>)
홍경자 시인은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48회),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졸업(약사), 연세대학교대학원 졸업(이학석사).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졸업(약리학전공, 의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강사,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 역임.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약제과 정년퇴임. 월간 <순수문학>으로 등단.
한국순수문학인협회 부회장, 이화여자대학교동창문인회 감사, 국제PEN한국본부, 한국여성문학인회 이사. 한국문인협회/서울강남문인협회, 한가톨릭문인회 회원.
경운회영매표창상, 제37회 PEN문학상, 제25회 순수문학 올해의 작가상, 제26회 순수문학 대상 수상 등.
공저 <의약정보학>, <약물상호작용>, <약학입문>. 시집 <사과껍질>, <풀꽃꿈길>, <열손가락 쫙 펴고>, <뭉게구름>, <소국은 행복해>, <빈 그릇 하나>. 시선집 <꿈을 찾아 걸어가는 길>, <2019년 내 삶에는 울림이 있는가>, <내 영혼의 안식처 찾아가는 길> 外 공저 다수.

▲ 수필 : 이명지 수필가(수필집 <육십, 뜨거워도 괜찮아>)
이명지 수필가는 1960년 3월 14일 출생.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문학석사). 1993년 <창작수필> 등단. (역임) 사단법인 창작수필문인회장, <토요저널>기자 및 편집국장, 발행인. RTN 부동산TV ‘이명지가 만난 사람' 진행자, 한양대학교 부동산CEO과정 책임교수, 국민일보 ‘여의도 에세이’ 주간 연재 4년. 디지틀 조선일보 힐링에세이 집필 1년. 현재, 데일리한국 ‘내가 반한 명문장’ 연재 중.
현재 한국문인협회 이사, 국제PEN한국본부 회원, 한국문인협회 평생교육원 수필창작과 교수.
수필집 <중년으로 살아내기>, <헤이, 하고 네가 나를 부를 때>, <육십, 뜨거워도 괜찮아>. 논문집 <전혜린 수필연>, 논문 ‘지역언론의 현실과 미래’ 外. 2002년 제6회 창작수필 동인문학상, 2019년 제32회 동국문학상 수상 등.

▲ 아동문학 : 이선영 아동문학가(동시집 <별 아이가 보낸 편지>)
이선영(본명 : 李琴子) 아동문학가는 1941 출생. 1983년 <동서문학> 시부문, 1994년 <한글문학>, 1995년 <아동문학> 평론 신인상 수상. 안동사범 본과졸업, 영남대학졸업.
대구문인협회 부회장, 대구문학 아카데미 회장, 색동회 대구경북지회장, 여성문학회장, 반짇고리문학회장, 은시문학회, 대구아동문학회장 역임.
시집 <유리 벽화>, 동시집 <꽃잎 속에 잠든 봄볕>, <맞구나 맞다>, 점자겸용 동시집<아주 큰 부탁>, <별 아이가 보낸 편지>. 영남아동문학상(2011), 한정동아동문학상(2013), K국제펜문학본상(2021), 색동회창립100주년봉사상(2023), 정행돈문화상(2023), 日本三浦綾子 記念財團理事長 最優秀朗讀賞 수상 등.

◇ 제39회 윤동주문학상

▲ 시 : 박복조 시인(시집 <생이 만선이다>)
박복조 시인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 졸업.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시집 <차라리 사람을 버리리라>로 등단. 시집 <세상으로 트인 문>, <빛을 그리다>, <말의 알>, 한영시집 <산이 피고 있다>, <생이 만선이다>(2023). 수필집 <사랑할 일만 남았네> 등.
이상화 시인상, 대구의 작가상, 국제PEN 아카데미 문학상 수상. 대구가톨릭문인회장, 대구문인협회 부회장, 국제PEN한국본부 대구지역위원회 회장, 대구여성문인협회장 역임, 현 대구시인협회 이사.

▲ 시조 : 이국민 시조시인(시조집 <통일의 바다>)
통영초·중·고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문예창작과 졸업. 중국 북경영화아카데미(대학원 석사과정2년 수료/극작전공). 경상국립대학교 통영캠퍼스 학보사 부주간 역임. (전)주중국 북경 한국문화원 근무. 1983년 계간 <현대시조> 겨울호 시조‘硯滴’으로 등단. 199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희곡 ‘화도’로 희곡당선, 2023년 계간 <여기> 겨울호 '오곡도를 바라보'’로 수필신인문학상 당선.
1983년 제5회 만해상, 1996년 제4회 대산재단 문학인선정. 시집 <통영별곡> 시조집<별신>, <통일의 바다>, 희곡집 <바다 위에 뜬 별>, <통영교방>. 역사서 <대한해협>.
공연 윤이상 일대기 장막 ‘먼 땅 좋은 기별’(2002년, 통영시민문화회관 대극장) 外 다수.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원, 경남시조시인협회 회원. 통영문인협회 회원.

◇ 제9회 박종화문학상

▲ 시 : 김길애 시인(시집 <마두금>)
김길애 시인은 제41회 <自由文學> 신인상 시부문 당선. 노원문인협회 회장 역임. 한국문인협회 저작권 옹호 위원.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 한국自由文人協會 이사. 미당시맥회 회원. 시집 <바지락이 해를 물고있다>, <바람도 목탁을 친다>, <馬頭琴>, 제9회 계간 自由文學賞, 제7회 노원문학상 수상 등.

▲ 소설 : 안은순 소설가(장편소설 '샤론의 꽃길')
안은순 소설가는 1992년 <경인일보> 신춘문예 당선. 2018년 한국문인협회 작가상, 2018년 한국크리스찬문학상, 2020년 한국크리스찬문학에서 수필 등단. 소설집 <우리 춤추러가요>, <지붕 위의 남자>, <하모니카>, 수필집 <부끄러운 추억> 外.

▲ 수필 : 김종화 수필가(수필집 <그놈의 정 때문에>)
김종화 수필가는 1995년 <국방일보> 수필, <문학시대> 소설, <한국전쟁문학> 평론 등단. <3사문학> 발행인. <한국전쟁문학> 주간. 한국문인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서울지회 감사. 국보수필문학대학원 지도교수. 수필문학상, 올해의작가상, 한국문학신문 대상, 실버넷뉴스 올해의 기자상(2회) 수상 등.
수필집 <추억의 징검다리> 外 다수. 소설집 <울 엄마> 外. 칼럼집 <끌리는 사람에겐 뭔가 있다>. 서평집 <서평으로 레벨업>, 인문서 <초보자를 위한 글쓰기 ABC> 등.

▲ 수필 : 정찬경 수필가(수필집 <눈. 빛. 사람>)
정창경 수필가는 2013년 <한국수필> 등단.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수필가협회 이사. 의사수필가협회 이사. 한국PEN한국본부 회원. 수필집 <아플 수 있어서 다행이다>, <눈. 빛. 사랑> 등.

▲ 아동문학 : 김미라 아동문학가(동시집 <마음이 말랑말랑>)
김미라 아동문학가는 2002년 <아동문예> 문학상, 2004년 <무등일보> 신춘문예 동시부문 당선. 동시집 <엘리베이터 타고 우주여행>, <마법사는 바로 나!>, <어느 쪽으로 갈래?>, <마음이 말랑말랑>, <하늘시계 작동 중>. 2009년 광주·전남아동문학인상, 2018년 광주문학 올해의 작품상, 2019년 광주문학상 수상 등. 현재 광주·전남아동문학인회 이사, 광주문인협회 이사 및 편집위원, 한국동시문학회,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회원.

◇ 제1회 한국문협출판문학상

▲ 시 : 김준규 시인(시집 <낙엽의 귀향>)
김준규 시인은 충남 예산 출생. 1982년 인도네시아 정착. PT. Citpta orion metal Executive Commissioner 회장. 한국문인협회 인도네시아 지부회장. 한국문인협회 해외발전위원. 시집 <보딩 패스>, <낙엽의 귀향>. 수필집 <저 바람 속에 운명의 노래가> 등. 계간 <문장> 시부문 신인상, <수필과 비평>, <수필시대> 신인상 수상 등.

▲ 구서휘 수필가(수필집 <은근히 흐뭇했다>)
구서휘 수필가는 월간 <수필문학> 등단. 한국문인협회, 국제PEN한국본부, 한국수필가협회, 계간문예 작가회, 의정부문인협회, 수필문학 추천작가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의정부 8대 지부장 역임.
창작원 운영. (전)바리스타 심사위원, 커피 교육평가위원,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의정부 문인부분 예술대상. 통일예술대상, 의정부시 예술문화공로상, 한국문인협회 경기도지회 문학 공로상, 의정부 문학상 수상.
수필집 <마음을 빗질하는 시간>, <은근히 흐뭇했다>. 공저 <사인사색>, <꿈꾸는 자들의 철학>, <씨 뿌리는 날들>, <100인 대표 수필선> 外 다수.

i24@daum.net
배너
"문학의 미래를 새로 짓다"…국제PEN한국본부, 젊은 작가 신입회원 공개 모집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 인구절벽과 초고령사회가 가속화되면서 국내 각 문학단체 역시 심각한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현역 문인 대다수가 고령층에 집중된 상황에서, 문단의 세대교체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사단법인 국제PEN한국본부(이사장 심상옥)는 국내 문학예술단체 최초로 한국 문학의 미래를 이끌 젊은 작가 발굴과 국제 문학 교류의 새 판을 짜기 위한 '젊은 작가 신입회원 모집'에 나섰다. 이번 모집은 본부 산하의 미래발전위원회(위원장 유태승 이사)의 주도로 추진되며, 문학적 역량을 갖춘 젊은 창작자들이 PEN 문학 공동체에 합류하여 지속 가능한 문학 생태계 조성과 국제적 협업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모집 대상은 1975년생(만 50세) 이하로 ▲어문계열 학사 및 석사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문학 번역 및 통역이 가능한 자, ▲문학 분야 등단 및 저서 출간 경력을 가진 자이다. 신입회원으로 선발되면 ▲입회비 및 연회비 면제, ▲국제PEN한국본부 주최 문학행사 참가비 면제, ▲세계PEN총회 등 국제행사 참여 기회 제공, ▲150여 개국 회원들과의 교류, ▲미래발전위원회와의 국내외 워크숍 및 네트워크 활동 지원,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희망브리지, 한국 재난 특성 반영한 '노인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고령사회에 발맞춰 한국 재난 특성을 반영한 '노인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을'시행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기후위기로 재난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재난 사망자의 61%가 60세 이상 고령자였으며, 2025년 대형 산불 사망자 31명 중 83%가 고령층이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서도 2023년 온열질환자 중 고령자 비율은 40%를 넘었고, 폭염 사망자 역시 절반 이상이 노년층이었다. 협회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노년층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체험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노인 스스로가 재난 대응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했다. 특히 고령인구가 집중된 재난다발지역을 중심으로 방문형 교육을 실시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재난안전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주안점을 뒀다. 교육은 자율 대응이 가능한 노인과 전면적인 지원이 필요한 노인으로 대상자를 구분해 단계별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요양시설, 복지센터 등 노년층 생활환경에 밀착한 장소에서 진행

정치

더보기
용혜인 의원 "'빠띠' 표적 감사는 정치적 모략…방통위, 부당한 과징금 철회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의 사회적협동조합 '빠띠'에 대한 재감사를 "정치적 표적 감사"로 규정하고, 부당한 보조금 환수와 과징금 부과를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용 의원은 30일 오후 1시 40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가짜뉴스를 먹고 자란 내란 세력이, 팩트 검증 활동을 눈엣가시처럼 여겨 뽑아내려는 정치적 모략을 자행하고 있다"며 "방통위의 감사는 명백한 표적 감사"라고 지적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가짜뉴스 검증을 위해 '팩트체크넷' 사업을 수행한 사회적협동조합 '빠띠'에 대해 재감사를 벌인 뒤, 인건비 과다 산정과 일부 보조금 목적 외 사용을 사유로 약 1억 7천만 원의 보조금 환수와 5억 7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용 의원은 "해당 사업은 2021년 사업 종료 당시 방통위 자체 감사에서 문제없다고 확인된 바 있다"며 "그로부터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감사를 진행한 것은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표적 감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전체 4개 단체가 함께 수행한 50억 원 규모의 사업에서, 빠띠가 집행한 사업비는 약 4억 원에 불과함에도 유독 '빠띠'에 대해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