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간 당시 오경자 전 국제PEN한국본부 이사장 권한대행(시인)은 "본 시조집은 국제PEN한국본부 창릭 70주년 기념으로 발간된 것"이라며 "국제PEN헌장에 명시 되어 있는 것처럼 문학은 국경을 초월한다"라고 말했다.
오 전 권한대행은 이어 "그래서 우리 시조도 번역을 통해 세계로 나아가고 있다"라며 "본 시조집의 작가 세 분은 시조의 세계화를 위해 수년간 긴밀하게 공동작업을 하면서 시조를 해외에 전파해오고 있다"라고 전했다.
오 전 권한대행은 그러면서 "우리의 K-시조가 세계무대로 이미 진출하였으니 앞으로 시조가 세계에서 더욱 사랑받을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라며 발간 축사를 통해 밝혔다.

김민정 시인은 그러면서 "이 책은 2024년 국제PEN한국본부 창립 70주년 기념문집 번역시리즈 05권이기도 하며, 이 3인 시조집을 출간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그 동안 바쁜 일정 때문에 미처 책을 소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라고 발간 소감을 전했다.
이 시조집에는 각 시인의 작품이 30편씩, 총 90편의 번역시조가 영·한 대역으로 게재되어 있다. 번역은 우형숙 시인이 하였고, 감수는 데이빗 맥캔 시인이 맡았다.

학위 취득 후 코넬대학교 교수로 22년간 재직하며 일본 고전문학 및 한국문학을 가르쳤다. 이후 1997년에 하버드대학교 최초의 한국문학재단 교수로 임명되어 한국문학을 가르쳤고 2014년 퇴직하고 지금까지 시조를 세계에 알리는 작업에 기여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총 32권을 출간, 그 중 한·영 시번역집은 컬럼비아대학교 출판부, 프린스턴대학교 출판부, 계간문학지 및 기타 출판 매체를 통해 출간되었으며, 2017년에는 대한불교조계종 의뢰로 불교관련 시들을 한 권에 모은 한·영번역집 <한국근대불교시집, 언어의 절간>이 출간되었다.
또한 <도심의 절간>(영·한 시조집)을 포함하여 11권의 본인 창작시집을 출간했다. 1994년 국제PEN한국본부로부터 PEN번역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2006년 한국문화훈장과 2007년 만해예술과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창작시집 발간으로 미국의 푸시카트상과 터치스톤상을 수상했다.
현재 미국의 시인단체 '에브리 아더 써스데이(Every Other Thursday)' 회원이며 한국시조협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데이빗 맥갠 시인은 "이번 3인 시조집 발간을 무척 고맙고 기쁘게 생각하고 있다"라며 "시조가 한국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참사랑을 받는 날이 속히 올 것을 기대해 본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시조시인이며 문학박사인 김민정 시인은 1985년 <시조문학> 창간25주년기념 지상백일장에서 장원하며 문단에 나왔으며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등단 이후 <나, 여기에 눈을 뜨네>, <지상의 꿈>, <사랑하고 싶던 날>, <영동선의 긴 봄날>, <백악기 붉은 기침>, <바다열차>, <모래울음을 찾아>, <누가, 앉아 있다>, <창과 창 사이>, <꽃, 그 순간>, <함께 가는 길>, <펄펄펄, 꽃잎>, <꽃, 그 순간(베트남어 베트남에서 출판)>, <함께여서 좋은 Good Together>(3인 시조집) 등 14권의 개인 시조집을 출간했고,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 회장을 하면서 엮음 시조집으로는 <해돋이>(영어번역시조집, 303명 참여), <시조, 꽃 피다>(스페인어번역 시조집, 333명 참여), <시조 축제>(영어·아랍어 번역 시조집, 303명 참여) 등으로 시조를 번역하여 외국에 한국의 시조를 널리 알린 바 있다.
또한 국내의 교과서에도 시조가 많이 실리고 국민들이 시조를 많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교과서에 실어도 좋을 단시조>(527명 참여), <교과서에 실어도 좋을 연시조>(573명 참여) 등을 출간했다.
이 외에도 <현대시조의 고향성>, <사설시조 만횡청류의 수용과 변모 양상> 등의 논문집과 국방일보에 연재했던 작품을 모아 출간한 <시의 향기>와 <모든 순간은 꽃이다>의 시평설집, <사람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라는 수필집을 출간한 바 있는 활발한 중견시인이다.
또 전국교차로신문, 송파신문, 한국문학신문 등에 많은 시인들의 작품을 소개해 주고 있으며, 작품성을 인정받아 월하시조문학상, 한국문협작가상, 성균문학상, 한국여성문학상, 박양균문학상, 대한민국예술문화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겸 상임이사이며 <월간문학>과 <한국문학인> 편집주간을 맡고 있다. (사)국제PEN한국본부 이사, 한국여성문학회 이사, 한국시조시인협회 자문위원, 성파시조문학상 운영위원, 가람시조문학상 운영위원, 김삿갓문학상 운영위원 등을 맡아 열심히 문학활동을 하고 있다.

2013년 은퇴 후 시인이자 번역가인 데이빗 맥캔(David McCann) 전 하버드대학교 교수와 정완영 시인의 <엄마 목소리(Mom's Voice)>를 포함하여 김민정 시인의 시조집 <누가, 앉아 있다(Someone Is Sitting)>와 <함께 가는 길(Going Together)> 등과 그 외 한국의 시집 및 시조집을 번역하여 해외에 소개하고 있다.
창작시조집은 <산안개>, <아침 창가에서>, <괜찮아> 등이 있다. 문학상으로 한국시대상, 역동시조문학상, 목사골문학상, 숙대문학상, 한국여성시조문학상, 한국문협 전영택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번역상으로는 국제PEN한국본부 PEN번역상, 한국시조문학협회 시조번역상 등이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