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31.7℃
  • 맑음강릉 29.2℃
  • 맑음서울 32.4℃
  • 맑음대전 33.6℃
  • 맑음대구 34.8℃
  • 맑음울산 29.5℃
  • 맑음광주 32.4℃
  • 맑음부산 27.6℃
  • 맑음고창 29.1℃
  • 구름조금제주 30.1℃
  • 맑음강화 24.3℃
  • 맑음보은 31.7℃
  • 맑음금산 32.3℃
  • 맑음강진군 32.6℃
  • 맑음경주시 34.1℃
  • 맑음거제 27.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사랑을 쓰고 싶은 연필'

우리의 삶은 스스로 그려가는 존재…연필은 인간이 걸어가는 사물의 하나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연필 한 자루는 140리나 되는 길이의 선을 긋거나 4만 5천 단어를 쓸 수 있다고 한다. 두 자루의 연필만 있으면 한편의 장편 소설을 쓸 수 있단다. 화가는 화랑 하나를 가득 채울 스케치를 그려낼 수 있다.

이러한 숫자의 언어 이미지로 표현하려 할 때는 프랑스 과학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의 아름다운 비유를 떠올리게 한다. "연필은 나무속에 박힌 일종의 검은 광맥이다. 글을 쓴다는 것은 그 어두운 지하의 탄광을 들어가는 광부의 곡괭이질"이라는 표현을 한다.

그래서 연필을 탄필(炭筆)이 되고 다이아몬드 사촌인 탄소결정체가 삼나무 안으로 들어가 조용히 잠들다가 선비들의 필기구로 잠에서 깨어난다는 말은 시적 표현으로 들린다.

연필의 역사를 굳이 알 필요는 없겠지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그것을 알고 넘어가지 않으면 문학을 하는 선비의 자존심이라고 굳지 밝히길 원하고 있다.

연필은 1564년 영국 보로 메일 지방의 거목 하나가 폭우로 뿌리를 뽑히는 바람에 발견되던 날을 탄생의 생일이라 알려준다.

뽑힌 나무뿌리에서 많은 양의 카본(흑연)을 발견하게 된 그 지방 사람들이 그것을 검은 납으로 잘못 알았다. 그래서 지금도 사람들은 연필의 심에는 납 성분이 있다며 침을 바르는 것은 좋지 않다고들 한다. 그러고 보면 가짜뉴스는 600년 전부터다. 당시는 가짜뉴스를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다. 미진한 과학의 상식이 만든 우발사건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1565년 독일계 스위스 박물관 학자인 콘드라 폰 게스너는 자신이 흑연 조각을 나무에 끼워 필기구와 스케치 도구로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일기로 남겨두었다.

그렇게 연필이 생산되었지만 잘 못 붙여진 이름은 전 세계인에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 그것이 납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난 뒤에도 여전히 보로 메일 사람들의 잘못된 생각은 5백 년 동안 그냥 되풀이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어릴 적 진하게 글씨를 만들기 위해 연필심에 입으로 빨아 침을 바르면 어른들은 놀라서 "얘야, 큰일 난다. 연필을 빨면 납 독이 오른단다."

연필에 관련된 단행본만도 여러 권이 나와 있다. 단순한 필기구 연필이, 몇 권의 책이 나올 정도의 인류사에 미친 영향은 크다. 홍사훈이라는 방송진행자는, 귀에 노랑 연필을 걸치는 모습을 보인다. 호기심의 시청자가 물었다. "연필을 귀에 걸면 왠지 편하게 말이 된다."고 대답한다.

'꿈으로 가득 차/ 설레이는 이 가슴에/사랑을 쓸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사랑을 쓰다가/ 쓰다가 틀리면/ 지우개로 깨끗이/ 지워야 하니까/ 처음부터 너무/ 진한 잉크로/ 사랑을 쓴다면/ 지우기가 너무너무/ 어렵잖아요/ 사랑은 연필로 쓰세요/ 꿈으로 가득 차/ 설레이는 이 가슴에/ 사랑을 쓸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지워야 하니까' <사랑을 연필로 쓰세요> 노랫말 부분이다.

연필은 인간의 삶과 닮았다. 연필의 색도 다양하다. 둥근 것이 있는가 하면 육각형도 있다. 샤프펜슬이 나왔으나 순간의 유행이었다.

노랫말처럼 인생도 쉽게 지울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시인도 있다. 사르트르는 "실존의 본질은 선행한다.", "연필(실존)은 글을 쓰기 위한 목적(본질)이 먼저 있는 후에 만들어진 사물이므로 본질에 실존이 선행한다"는 말을 했다.

사르트르는 우리가 세상에 던져진 채 먼저 존재하고 나중에 본질을 선택한다는 이론이다. 사르트르의 말을 시적으로 은유하면 "인간은 하얀 노트 위에 살아있는 연필이라 해도 되겠다."

우리의 삶은 스스로 그려가는 존재라면 연필은 그런 의미에서 인간이 걸어가는 사물의 하나다.

창원시의 '청춘공방'이라는 단체에서는 환경에 넘어진 지구를 살린다는 의미로 버려진 커피 찌꺼기로 연필을 만든다. 이 같은 바람은 마산시로도 확산이 되어 운영되고 있다.

김화순 시인은 연필로 시를 쓴다. 잘 깎인 연필을 필통에 한가득 넣고 바라보는 기분은 말과 행동에 책임을 지는 존재로 거듭나는 기분이라 한다. 권일송 시인은 연필로 시 쓰기를 즐겼던 시인으로 알려졌다. 설렌 사랑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학자)

i2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김대중평화센터, '6.15 남북정상회담 24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 개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김대중평화센터(이사장 김홍업)는 13일 오후 2시부터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컨벤션홀에서 <6.15 남북정상회담 24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연세대 김대중도서관・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이 공동주최한다. '햇볕정책 : 한반도 평화・통일・번영의 대전략이자 미래비전'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 행사는 1부 기념식과 2부 학술회의로 진행된다. 기념식은 양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장의 인사말, 김성재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이사장의 개회사에 이어 우원식 국회의장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조국 조국신당 대표,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 이석현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이 축사를 한다. 2부 학술회의는 백학순 김대중학술원장(김대중평화센터 이사)가 주제강연을 하고, 류상영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교수와 이태호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소장이 ‘6.15 남북공동선언 : 오늘 생각해 볼 논점들’과 ‘햇볕정책과 평화우선의 접근법’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을 한다. 이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조국 조국신당 대표,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 이석현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 한창민 사회민주당 공동

정치

더보기
용혜인 의원 "지방선거 승리 향해 당 조직력 확장에 최선을 다할 것"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기본소득당 대표 후보로 나선 용혜인 후보가 “지방선거 승리 향해 당 조직력 확장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당 대표로서 후보로서 포부를 밝혔다. 최고위원 후보로 유세에 함께 나선 후보들 역시 당 조직력 강화에 힘 쓰겠다며 차기 기본소득당 지도부의 목표에 한 목소리로 입을 모았다. 제4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앞둔 기본소득당은 15일 수원에 이어 16일 서울에서 후보단 합동 유세를 펼치며 당직 선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유세에 나선 후보단은 공통적으로 지역위원회 건설부터 지방선거 후보 발굴로 이어지는 당 조직력 강화가 차기 당 지도부의 주요 과제임을 밝혔다. 용혜인 의원은 “당원 소모임부터 지방선거 후보 발굴까지 조직력 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4기 대표로서 지방선거가 다가오기 전까지 당원의 양적 증가와 질적 증가를 동시에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전 한국사회적경제연대 상임대표 출신의 이승석 최고위원 후보는 "사회적경제와 기본소득의 정신이 맞닿아 있다"며 "지역 사회 곳곳에 뿌리내린 사회적경제와 더불어 지역사회 이슈에 일상적으로 결합해야 한다"고 조직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청년 최고위원 후보로 나선 노서영 현 서울시당 위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