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 10월 8일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 ‘개헌개혁행동마당’(상임의장 송운학)에 참여하는 ‘국민주권개헌행동’을 비롯한 53개 시민단체 대표단이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홍범도 장군과 후손이 없는 광복군 17위 선열을 추모하는 합동차례를 올렸다.
대표단 약 20여 명은 이날 묘역 참배 후 '화이부동(和而不同)'과 좌우합작 정신을 계승해 국권국익 수호, 남북 평화공존, 국민개헌 보장 등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자는 데 뜻을 모으고 서약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홍범도 장군·무후 광복군 17위 선열에 추모차례
1부 행사는 독립유공자 제7묘역에서 김동섭 ‘독립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됐으며, 2부는 송운학 '국민주권개헌행동' 상임대표가 이어받아 참배와 헌시 낭독으로 이어졌다.
참석자들은,▲"항일무장투쟁 만세!", ▲"대한독립 만세!”, ▲"국권국익 수호 만세!"▲"남북평화공존 만세!", ▲"국민개헌보장 만세!" 등의 구호를 외치며 선열들의 뜻을 기리고, 참된 자주독립과 직접민주제 실현의 길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무후 독립유공자 7,285명… 후손 확인 못 해 예우도 미흡"
송운학 상임의장은 모두발언에서 "이곳 무후 광복군들은 대부분 고향이 이북이며, 사망 당시 평균연령이 25세 안팎이었다"며 "현재 후손이 확인되지 않아 훈장이나 보상금을 받지 못하는 독립유공자가 7,285명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이어 "본적 미상(26.2%), 북한 본적(41.3%) 등 약 68%는 신원 확인이 어렵고, 나머지 32%는 가족관계 입증 자료가 부족해 예우가 미흡하다"며 "국가보훈부는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지원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복군 창군일 9월 17일을 국군의 날로 변경해야"
또한 송 상임의장은 "여러 시민단체가 광복군 창군일인 9월 17일을 국군의 날로 정하자고 요구해왔지만 정부는 여전히 묵묵부답"이라며 "진정한 국군의 뿌리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지난 2023년 설 연휴에도 이곳을 찾아 △이북 독립유공자 가족 유전자 검사, △이산가족 상시상봉 평화공원 조성, △남북 공동관리 경제특구 설치 등 3대 남북협력사업을 제안한 바 있다"며 "이 사업들이 적대적 관계를 평화공존의 관계로 바꾸는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성대표단, ‘무후 광복군 추모 헌시’ 낭송
임은화 ‘더위즈덤’ 대표, 최순애 ‘아리랑예술단’ 단장, 표옥란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공동대표로 구성된 여성대표단은 아래의 **헌시 「무후 광복군 추모시」**를 낭송해 참석자들의 마음을 울렸다.
비바람도 찼어라
나라 잃은 나그네야!
바친 길 비록 광복군이었으나,
가시밭길 더욱 한이었다.
순국하고도 못 잊었을 조국이여!
꽃동산에 뼈나마 여기 묻히었으니
동지들아, 편히 잠드시라!
- '무후 광복군 추모시' 중에서
이 헌시는 1967년 광복군동지회가 서울 도봉구 수유리 산골짜기에 후손 없는 광복군 유해를 합동 안장할 당시 헌정한 시로, 이날 낭송 때 묘역에는 숙연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이날, 시민단체 대표 및 주요 참석자로는 이근철 '국민연대' 상임대표, 이전오 '친일청산 한국사복원운동' 대표, 김장렬 흥사단 단우, 임양길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공동대표, 전재홍 민속화가, 김태현 사진작가, 손병주 '한터역사문화연구회' 대표, 한일영 '선감학원 아동인권유린 진상규명추진위원회' 회장, 문재환 '개혁연대 민생행동' 초대 공동대표, 김종대 '의민특검대' 대장, 박철연 '고백고통일연구소' 소장, 오영세 전 대전시의원 등 여러 인사들이 참석했다.
또한 '가상화폐와 탈세 등 범죄자금 환수국민연대'(준), '흥사단 서울대아카데미 총동문회', '무후광복군기념사업회' 등도 공동 주관 또는 연대협력 단체로 참여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