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한글날은 눈들이 반겨주는 '빛나는 날'이다. 한글은 눈의 보석이다. 한글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한다. 오늘날 국문 또는 한글을 사용하기 전 세종임금께서 민족문자로 발표한 것이 훈민정음이다. 훈민정음은 세종임금께서 1443년(세종25)에 창제하셨다. 1446년(세종 28) 반포하셨다. 세종임금은 우리 민족이 쉽게 배워 편리하게 쓸 수 있는 것에 고민하셨다. 우리말은 완벽하게 표기하는 장점이 갖는 데 노력도 하셨다. 세종임금의 이러한 노력에 문자 생활을 확대하고, 민족문화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구실을 했다. 민족문자를 우리나라만이 만든 것은 아니다. 동아시아 각국이 모두 중세 동안에 한문과 자국어 두 가지 글쓰기가 필요해, 한자를 차용(借用)하며 자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를 만드는 작업을 일제히 했다. 우리는 향찰(鄕札)을 사용했다. 향찰은 당문(唐文, 漢文)이라 하여 대립하는 뜻으로 향가의 문장과 같은 우리말의 문장이라는 뜻이다. 현재 국어학에서 향찰이라는 말은 향가의 문장과 같다. 우리말의 차자로 완벽하게 표기하는 문장이나 그 표기체계(표기법)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20세기에 들어서며 학자들은 모든 차자표를 이두(吏讀)라고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세로쓰기의 편집,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권일송 시집은 1966년 9월 10일 발행 됐다. 137 페이지 책값은 250원이다. 판형은 세로쓰기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 <진달래> 김소월의 시집은 단기 4284년(서기 1950년)에 숭문사에서 펴냈다. 가격은 230원이다. 백석 시인의 정본 시집, 깊은샘 도서출판에서 원본 그대로 2007년 1월에 펴냈다. 당시의 가격을 표기하지 않았다. 정본이라는 말은 처음 펴낸 시집을 그대로 다시 만들었다는 말이다. 이들의 시집은 세로쓰기다. 세로쓰기는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쓰였다. 세로쓰기는 주로 한자의 사용과 관련이 깊다. 문서나 책의 디자인에 따라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편집이 됐다. 우리나라가 한문을 사용하던 시절에는 일본, 중국과 같이 세로쓰기를 자연스럽게 사용됐다. 대표적으로 성경도 그렇다. 세로쓰기는 문화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발전해 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책들은 가로쓰기로 시작되었다. 이처럼 인쇄술 발달과 함께 가로쓰기는 책의 판형에 자연스럽게 세계의 모든 나라는 가로쓰기에 자리를 잡았다. 우리나라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세상이 온통 병이 들었다. 아니 병이 든 것이 확실하다. 나 자신이 세상 병의 한 부분이다. 문제는 병이 들어 병소(病巢)임이 분명한데 인정하지 않는다. 작가는 병든 세계 속에서 온몸으로 그 병을 앓고 있는 이의 다른 이름이다. 이 상황의 중심에 서 있으면 그 실체가 보이지 않는 법이다. 작가가 병든 세상을 꿰뚫어 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세계 안에 있으면서 그 세계로부터 한발 비켜나 세계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더 정직, 직설로 말해보자. 작가는 도둑, 소경, 고아, 무당, 광대, 칼잡이와 마찬가지로 세계 안에 정주하지 못한다. 세계 밖을 하염없이 떠돌아야 하는 저주받은 운명들이다. 이 저주받은 운명이란 범속한 인간에게는 견디기 힘든 고통이지만 작가에게는 그 예술을 위한 하나의 지복(至福)인지 모른다. 여름 폭한, 날씨를 원망하지만, 그 날씨는 지복을 타고나지도 못했다. 스스로 움직일 힘이 없다. 주어진 환경에 바퀴 되어 나쁘면 나쁘게 우락부락한 몰골로 가야만 하며 꿈을 꾸지 못한다. 저 가을 산을 넘어가는 사람은 있으나 가을 산은 그저 정해진 시간 안의 부분일 뿐이다. 우리 삶에는 열리고 닫히는 많은, 문들이 있다. 어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학인은 장정(裝幀) 보기가 취미다. 교보문고에, 들려 신간(新刊)의 장정을 보는 것은 출판의 흐름 즉 경향(景香)을 알게 한다. 표지를 넘기다 보면 개성을 드러낸 저자의 사진을 보는 것도 꽤 흥미롭다. 교보문고 입구에는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 전(展)에서 담배를 물고 있는 카뮈의 그림도 의문을 품는다. 교육적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다는 뜻이다. 34년 전에 설립된 교보문고는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대산 신용호 창립자의 정신이 담긴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 공간이다. 종각 쪽에서 들어오면 횡보 염상섭의 좌상 뒤 돌판에 그 문구가 십계명처럼 새겨졌다. 교보의 노벨 수상자들의 초상은 우리 청소년과 젊은이들의 세계 최고의 석학들을 만나고 꿈을 키우게 하는 뜻을 담고 있다. 교보문고는 1992년부터 노벨상 수상자들의 초상화를 전시했다. 지난 2010년 리모델링 과정에서 그 초상화들이 사라졌다. 시민들이 아쉬움과 복원 요청이 잇따랐다. 교보문고는 시민의 여론을 부응하고 새로운 예술적 영감과 인문 정신이 깃든 예술 문화 공간으로 수상자의 전시공간을 다시 마련했다. 노벨 수상자의 초상화는 개성이 강한 화가들의 그림이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이상(李箱, 본명 김혜경) 시인은 왜 '천재', '광인'이라 부를까. 학인은 이상을 들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라 부른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영국의 동화다. 어려운 환경에서 살아남는 이야기다. 다른 시도반은 이상을 '모던 보이' 초극(超克)을 지향한 이단아의 예술가로 불리는 한국문학의 현대성을 창조해가는 시인이라 한다. 분명 이상의 시는 당대인(1930년)에게 모독을 당했다. 예술사조로서의 모더니즘을 주장하고 그 길을 걸었던 현대 시사에 이상 이상의 두드러진 평가의 시인은 없다. 그와 같은 증거로 이상은 '한국을 빛낸 100인의 위인들'이라는 노랫말에 소개된다. 고조선부터 근대~현대 초기까지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단군으로 시작 이중섭 화가가 100위로 막을 내린다. 수많은 역사의 인물에서 현대사의 시인으로는 유일하게 윤동주와 이상만이 들어갔다. 국민 시인으로 불리는 김소월도 지성의 시인으로 불리는 김수영, 정지용, 미당도 들어가지 못했다. 이상의 시는 독해력이 난해한 시다. 그런데도 5월이면 어린이를 상대로 '오감도(烏瞰圖)' 시가 연극 무대에 올려진다. 2024년에도 예외 없이 대학로 아이들 극장서 보름 남짓 올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1910년 8월, 성하지중(盛夏地中). 대한 제국이 일본에 의해 통치권을 잃었다. 조선총독부가 한국의 동맥을 그어 버렸다. 국민은 감시에 들어갔다. 여자들은 어디론가 자꾸만 사라졌다. 그 시절은 상실의 시대라 한다. 아니다. 일본제국에 확장 주의적 야욕에 한국의 정체성을 덮어버렸다. 그것을 역사는 '식민' 낙인이라 한다. 무려 36년간을, 비탄의 시간으로 이어졌다. 114년이 지난 2024년 대한의 8월, 한증(悍蒸)의 극성은 사뭇 다르지 않다. 피서랍시고 식민시대의 문학을 들여다보다 엉뚱한 곳으로 시선이 간다. 일본제국하의 신문은 제호는 하나 같이 한문이었다. 시대는 한문 시대라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114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한국의 신문은 혁명과 같은 변화를 보인다. 조선일보(朝鮮日報)와 동아일보(東亞日報)를 제외한 다수의 신문은 한글의 제호다. 왜 두 개의 신문만 유독 한문 제호를 오늘에도 고집하고 있을까?. 강자 독식 구조의 식민지배 하에서 대한 제국은 식민권력에 의해 ‘조선’으로 다시금 국명이 바뀌었지, 않는가!. 그렇다면 그 시절의 한문 제호 신문은 지금쯤 반성도 요구될 법하다. 대한 제국의 여자들은 ‘조선 여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03~1950)은 정치 풍자 우화형식을 빌어 볼셰비키 혁명 이후 스탈린 독재화의 소비에트를 비판하였다. 나아가서 영국이나 독일을 풍자의 대상으로 올려놓기도 했다. '배반 된 혁명', '타락하는 독재 권력'에 대해 동물을 의인화하여 후학들에 경각심을 불러 주었다. 오웰의 풍자는 시간이 지나도 엄청난 힘을 지니고 걸어간다. 작가는 작품을 통하여 자각의 정신을 바로 세우고 정치적 목적과 예술의 목적을 융합하여 완벽한 구성, 예리한 통찰력, 부드러우면서도 박진감이 넘치는 문장으로 날카로움의 극치를 보여 주는 작품이 <동물 농장>이다. 오웰의 많은 작품에서도 빼어나다는 평단의 칭찬을 받으며 세계의 독자에게 불후의 명작으로 읽히고 있다. 오웰이 그러하듯 김민기(金敏基, 1951~2024)는 칼이 아닌 음유시인으로 가슴을 적신다. 노래를 듣는 이는 광장을 떠나지 못하게 하는 마력도 가졌다. 노래는 합창하게 한다. 스스로 어눌함으로 살아온 김민기는 대학로의 건강한 연극의 중견 사업가다. 주먹구구식의 연극 경영을 4대보험을 들어주는 경영수완을 보였다. 거리에 포스터나 붙이던 연극인이 4대보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하이쿠(俳句) 시는 17자의 짧은 장르다. 정형 운문으로 450년 전부터 일본의 상류사회, 서민사회까지 사랑을 받았다. 짧은 시는 긴 시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몇 마디의 말, 눈빛, 손짓 같은 것으로 언어 너머의 것을 이야기한다. 바쇼(芭蕉)는 학인들에게 이렇게 권고한다. "모습을 먼저 보이고 마음은 뒤로 감추어라." 시의 의미는 뒤로 감추고 모습(形)을, 풍경을 먼저 보이라는 것이다. 설명하지 말고 묘사를 말한다. 자신의 감정을 직접 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이류라 하는 것은 옳다. 하이쿠는 눈으로 보이고 눈으로 만질 수 있는 가시적인 것을 보인다. 17자로 구성되는 한 줄의 정형시는 계절과 자연을 노래하면서 인간의 실존에 가장 근접한 문학으로 평가받는다. 문명권에서 창작된 가장 짧은 장르에 꼽힌다. 그러고 보면 유럽에서는 소네트, 일본의 하이쿠 한국의 시조가 일정 부분 비슷한 면을 공유한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비롯해 많은 시인은 자국어로 하이쿠 시를 만들었다. 영국의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시인이나 아르헨티나의 대문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는 하이쿠를 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