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Bożena Helena Mazur-Nowak)는 폴란드의 오폴레에서 태어났으며, 2004년 6월 이민을 결정하고 영국으로 떠나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태어난 나라에 대한 그리움으로 글을 썼으며 그녀는 폴란드어로 된 시집 4권과 국제번역 시집을 합쳐 총 19권을 출간하였다. 그녀는 다수의 국제상과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거의 20년이 지난 지금도 그녀는 외국 시민권을 받지 않았으며, 그녀는 자신의 전기에서 폴란드적 정체성과 출생지인 오폴레을 자랑스럽게 강조하고 있다. 그녀의 시는 호주, 캐나다, 스페인 등의 라디오에서 소개되었다.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는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국제 시 문화 축제에 초대되었으며, 그녀는 자신의 시와 소설이 폴란드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독자들에게 이해되고 감상 되고 있다는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다. [편집자주] 모래시계 -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Bożena Helena Mazur-Nowak) 시간의 모래알은 모래시계 목구멍에 막혀있어. 시간은 여전히 흘러가지만, 이제는 어떻게 측정할까? 천식 환자는 숨이 가쁘고 가슴이 아픈데 여름은 정원을 꽃
(서울=미래일보) 최현숙 기자= 영화 ‘연평해전’의 김학순 감독이 올해 하반기에 불독사진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불독사진전은 일상에서 감동을 선사하거나 의미 있게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내용으로 사진전의 제목은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사진전’이다. 즉, 휴머니즘적 사진전을 일컫는 말이며, 이 행사는 매년 시행해오던 불독국제영화제를 부가적으로 보완하여 기획 되었다. 김학순 감독은 본 사진전에 대해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모든일이 말 그대로 Humanism과 관련되지 않은 일이 없다”며 “정치나 사회, 문화, 경제 등 모든 분야가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일이고, 그 사람들로 인해 여러 갈등과 상생 화합이 일어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이어 “살기 좋은 나라와 안전한 사회, 그리고 풍요로운 문화를 이루는 것도 바로 그러한 휴머니즘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라며 “그래서 금번 불독사진전에서는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전을 개최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김 감독은 “또한 이전의 사진전은 주로 제복을 입은 대원들이 대부분 이었다”라며 “그러나 금번부터는 제복을 입은 대원들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의미로 인간과 자연을 모토로 한 휴머니즘
(서울=미래일보) 장다빈 기자 = 시각장애예술인 연주자 15명과 비장애인 연주자 10명으로 구성된 장애예술인 오케스트라가 청와대 춘추관을 화합과 감동의 하모니로 채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과 함께 20일 오후 오후 4시 춘추관에서 특별공연 '함께 누리는 마음의 선율'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은 지난해 8월 장애예술인 특별전에 이어 춘추관에서 열리는 두 번째 장애예술인 행사다. 프로그램은 일반 대중들에게 친숙한 영화와 뮤지컬 OST 수록곡 등으로 구성했고 시각장애인 이상재 지휘자가 음악 이야기를 직접 들려주며 관람객들에게 감동과 재미를 선사한다. 이상재 지휘자는 "시각장애 연주자의 공연은 서로의 호흡으로 사인을 보내며 연주를 이어가는 특별한 감동을 전한다"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화합을 통해 새로운 희망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는 문화예술환경을 만들어가는 주역으로 MZ 세대들의 만남을 기획했다. 이번 공연에는 시각장애인 예술 꿈나무, 청년 장애예술인과 더불어 문체부 MZ 드리머스(2030자문단)를 초청한다. 또한 장애예술단체 대표 등도 참석할 예정이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베트남의 저명 소설가이며 영어 번역가인 키유 빅 하우(KIỀU BÍCH HẬU)는 1972년 베트남 흥옌 성(Hưng Yên Province)에서 출생, 하노이 대학의 외국어(영어)사범대학을 1993년 졸업하고 본격적인 작가의 길을 걸었다. 현재 베트남작가협회 회원(Member of Vietnam Writers’ Association)으로 베트남작가협회 대외업무 이사직을 지난 2019년부터 현재까지 맡고 있다. 베트남 패션잡지 'New Fashion Magazine'의 편집 담당, 'Intellectual Magazine'의 부 편집장, 'Garment'의 부 편집자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하노이에 거주하고 있다. 1992년에 티엔퐁(Tiền Phong)신문사와 응우옌 두(Nguyễn Du School) 학교가 공동 주최한 문학상을 수상했고, 2007년에 문학신문이 주최한 문학상에서 2등 수상했다. 또 2009년에 '무술과 문학 잡지(Military Arts & Literature Magazine)'가 주최한 문학상에서 우수 단편소설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해군사령부(Naval Command)'에서 주최한 문학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시인이며 수필가이며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이정인 작가가 첫 수필집 <마음 밭 꽃씨 하나>를 최근 지식과사람들을 통해 발간했다. 이번 이정인 작가의 첫 수필집은 그동안 작가가 <골프타임즈>에 '이정인의 마음 밭 꽃씨 하나'의 제목으로 오랫동안 연재해 왔던 기명 칼럼을 한 권의 수필집으로 묶어낸 것이다. 제1부 '어느 날의 달빛', 제2부 '그럴 수 있지 뭐', 제3부 '여름 이야기', 제4부 '모든 것의 모든 것이 되어', 제5부 '무념무상이 되는 날'로 구성된 이 책은 총 45편의 주옥 같은 생활 수필로 채워져 있다. 이정인 작가는 이 책의 '작가의 말'에서 "모든 인생은 마땅히 행복해야 한다"며 "행복한 마음을 채우기 위해 많은 사람을 만났고, 사람들에게서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만지며 채집했다"고 말했다. 이 작가는 이어 "그러다가 마음 사용법을 알게 되었다"며 "마음 사용법은 의외로 간단해서 날마다 눈을 뜨면 먼저 나의 마음에 불편하다고 대답하면 어떤 이유로 불안한 지를 알아가는 일을 습관적으로 하다 보니 마음은 어느새 내가 생각하는 범위보다 훨씬 커져 있었고, 나를 지켜낼 수 있는 엄청난 힘을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김삼진)이 전통 분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2023 청년예술가 창작지원' 공모를 진행한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전통공연예술인을 위한 창작공간 '전통공연창작마루'가 연습실, 공연장, 강의실, 콘텐츠 제작실 등 공간 인프라를 바탕으로 예술인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청년예술가 창작지원' 사업은 전통예술 분야 청년예술가의 창작활동 기반을 마련하고 실험적인 창작품을 발굴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지난 공모를 통해 선정된 청년예술가들은 창작활동비와 결과 발표 공연 등을 지원받아 수제천 반주에 부르는 서도좌창 초한가, 현대 무용의 일부분이 된 피리 연주, 환희와 신명으로 승화된 살풀이춤 등을 발표했다. 올해 청년예술가 창작지원 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 전통예술 분야 청년예술가들이며, 창의성 및 발전 가능성 등을 중점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8팀의 청년예술가는 활동을 증명하는 절차를 거쳐 5개월간 월 1회의 창작활동 지원금을 받고, 창작활동 결과 발표회 준비를 위한 1회의 발표 준비금을 받게 된다. 또 이후 발표회 영상 제작을 지원받아 앞으로 창작활동을 홍보하는
(서울=미래일보) 송파문인협회(회장 이원우)는 9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동호수변무대에서 박호은 사무국장의 사회로 200여 명의 협회 회원들과 많은 구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시낭송, 시노래, 시극, 난타공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석촌호수 봄 축제 詩 콘서트'를 열었다. 송파문인협회가 주최하고 송파구청이 후원한 이날 식전 행사로 오수민 시낭송예술가의 윤동주 시인의 시 '별 헤는 밤' 시낭송과 초대가수 김응삼의 가요 '훨훨훨', '가슴 아프게' 노래로 열띤 오프닝 공연이 시작되었다. 이어 박호은 사무국장의 개회사, 이원우 회장의 내빈소개 및 회장 인사, 서강석 송파구청장,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의 축사가 이어졌다. 이원우 회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봄꽃이 만개한 아름다운 계절에 애정과 관심으로 송파문인협회의 발전을 기원해 주시는 송파구민을 비롯한 회원님들, 그리고 문학을 사랑하는 문학 가족을 모시고 '석촌호수 봄 축제 詩 콘서트'를 열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오늘은 봄꽃처럼 아름다운 분들을 모시고 詩와 음악을 함께 나누고 문학의 향기에 젖어보는 행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서 초대 성악가 소프라노 김보영이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센터장 육경숙)는 4월 22일(토)부터 5월 14일(일)까지 지구의 날(4.22)과 세계환경의 날(6.5)을 기념해 '2023 가족환경그림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위치한 국내 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로, 서울 도심 속에서 환경,에너지,기후변화에 관련된 다양한 체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가족환경그림대회는 드림센터의 대표적인 연례행사로 환경의 가치와 가족 간 화합이 함께 빛나는 환경문화축제이다. 2022년에 개최된 가족환경그림대회는 300가족이 그림을 출품, 16가족이 수상했으며 연계 행사까지 총 2100여 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올해 그림 주제는 '지구를 살리는 도시, 미래의 서울'이다. 다가올 탄소중립시대에 우리 가족이 살고 싶은 미래의 서울 모습을 상상해 자유롭게 표현하면 된다. 참여 대상은 '모든 형태의 가족 누구나'로, 1인 가족·성인 부부 등 나이나 가족의 형태와 관계없이 모두 참여 가능하다. 참가 방법은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도화지를 수령해 공원과 전시관 내에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린 후, 당일 16시까지 제출하면 된다. 또한 대회 기간 매주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직지심체요절, 직지)이 프랑스에서 50년 만에 대중에 공개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이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과 협력해 직지와 한국불교의 인쇄 문화유산을 다루는 컨퍼런스를 오는 13일 문화원 오디토리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는 오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프랑스국립도서관에서 열리는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전시를 통해 공개한다. 특히, 직지는 1973년 '동양의 보물' 전시에서 소개한 이후 50년 만에 대중에 공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문화원은 이번 전시와 연계해 직지를 비롯해 한국불교의 인쇄 문화유산의 가치와 위상을 알리는 직지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사회부장 범종 스님이 직접 강연을 하고, 고려 불교를 전공하고 직지 불어판 번역을 담당한 파리7대학 야닉 브뤼느통 교수가 통역을 맡았다. 컨퍼런스에서는 선의 요체를 담고 있는 직지의 발간 배경을 살펴보고, 한국의 인쇄문화 발전 속 직지가 차지하고 있는 가치와 위상을 재조명한다. 더불어
(서울=미래일보) 장다빈 기자 = '제5회 대한민국 맥주박람회(KOREA INTERNATIONAL BEER EXPO, 이하 KIBEX 2023)'가 4월 6일(목)~8일(토)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개최된다. KIBEX는 맥주 재료와 양조 장비·설비 기업부터 양조장, 수입·도매사, 프랜차이즈, 서비스·교육·미디어 기업에 이르기까지 산업 밸류체인의 모든 비즈니스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맥주 산업 전문 박람회다. 국내외 맥주·주류 분야 전문 전시 컨벤션 기업인 글로벌마이스전문가그룹(GMEG)이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주한 미국대사관 농업무역관(US ATO), 캐나다 대사관, 한국수제맥주협회, 일본크래프트맥주협회, 한국주류안전협회가 후원한다. 이번 KIBEX 2023은 글로벌 효모 기업인 프랑스의 퍼멘티스(Fermentis)와 세계 톱 맥주 양조 장비 기업인 브라우콘(BrauKon)이 전시회 공식 스폰서 기업으로 참가한다. 미국, 캐나다 등의 미수입 맥주 양조장들도 대거 참가하는 등 글로벌 전시회로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보다 2배 정도 성장한 이번 전시회는 10개국 197개 업체, 935개 브랜드가 참가하는 등 팬데믹의 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이 도심 11개 창작공간에서 매월 첫째 목요일에 진행하는 예술공감 콘서트 '서울스테이지11'의 2023 시즌이 4월 6일(목) 정오에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 서울예술교육센터, 청년예술청, 시민청 등 4개 공간에서 동시 개막한다.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종로구 동숭동)에서는 대한민국 모던 록 밴드이자 욕망 밴드, 괴물밴드로 유명한 몽니의 화려하고 시원한 사운드로 봄을 시작하고, 서울예술교육센터 용산(용산구 한강로3가)에서는 구독자 700만을 보유한 핑거 기타리스트 정성하와 종편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밴드 '호피폴라' 멤버로 우승을 차지한 바 있는 기타리스트 김영소의 듀오로 감미로운 어쿠스틱 기타 선율을 선보인다. 청년예술청(서대문구 충정로3가)에서는 고전 음악과 현대 음악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을 지향하는 앙상블 포시즌스와 다원 예술가 옥창엽의 미디어 아트의 새로운 협업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민청(중구 태평로1가)에서는 청아하고 기분 좋은 음악으로 위로를 전하는 '제이레빗표' 음악을 통해 새로운 시작을 도전하는 모든 이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번 시즌에 주요 달라진 점으로 오전 11시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전통문화 테마파크 한국민속촌이 화려하고 아름다운 조선의 밤, 야간개장 '달빛을 더하다'를 4월 7일부터 11월 12일까지 금, 토, 일 및 공휴일에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야간개장은 한층 더 새로워진 '2023 연분'을 선보인다. 궁중 무용인 '가화무'에 LED 퍼포먼스와 섀도 아트를 더한 연분은 한국민속촌 대표 야간 공연으로 자리 잡으며 많은 인파가 관람을 위해 일찍이 대기한다. 2023 연분은 대기하는 관람객을 위해 오프닝에 퀄리티 높은 무용 공연을 더했다. 또 직접 관람객이 참여해 오감이 즐거운 공연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달빛 아래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전통 한옥을 보았다면 민속촌 안쪽 내자원에는 극강의 토종 공포체험이 준비됐다. 워크스루형 공포체험 '귀굴:혈안식귀'는 지난해 소셜 미디어(SNS)에서도 반응이 뜨거웠던 만큼 올해는 더 무섭게 돌아와 관람객들에게 오싹한 추억을 선사한다. 이 밖에도 올여름을 더 시원하게 보낼 수 있도록 국내 최장 야외 공포체험 '살귀옥'을 준비하고 있다. 민속마을 곳곳에는 다채로운 체험 콘텐츠와 보기에도 아름다운 포토존을 만나볼 수 있다. 달빛이 그린 그림자로 인생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베트남의 호앙 부 투앗(Hoàng Vũ Thuật) 시인은 1945년생으로 베트남 쿠앙빈(Quảng Bình) 지방 레 투이(Le Thuy) 지역 홍 투이(Hong Thuy) 공동체 탁싸하(Thach Xa Ha) 마을 출신이다. 그는 1982년부터 베트남작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6권의 시집과 1권의 문학비평집을 출간했다. 많은 국제문학교류에 참가하였는데 하노이에서 개최된 베트남 국립예술문학협회와 러시아협회 주관행사에 참석했다. 호앙 부 투앗 시인은 러시아, 중국에 초청을 받았고 미국, 유럽국가들,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국가들도 방문했다. 그는 쿠앙빈 지방의 문학예술상인 'Luu Trong Lu Literature and Art Award'을 6회 수상했다. 또한 the Vietnam Writers’ Association for the poem collection of Thap Nghieng, Award of Van Nghe newspaper, Quan Doi newspaper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호앙 부 투앗 시인은 수십 년 동안 베트남 시의 친숙한 얼굴 중 하나이다. 반미 저항 전쟁에서 벗어나 한때 쿠앙빈 문학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매년 3월 21일은 언어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내면의 정화를 이뤄내는 시의 역할을 알리고 보호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제정한 '세계 시의 날'이다. 예스24가 '세계 시의 날'을 맞아 관련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시집 출간 종수가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하며 더욱 다채로운 시집이 변함없이 독자들의 마음을 위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집의 주 독자층이던 중장년층과 함께 젊은 세대가 시를 즐기는 트렌드도 지속됐다. 2022년 2030세대의 시집 구매 비중은 30%였으며 40대 30%, 50대 27%, 60대 이상 11.2%로 전 연령층에서 고루 시문학을 즐기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남녀 성비는 약 3:7로 여성 독자가 더 많았다. 근래 익숙하고 섬세한 언어로 위로와 공감, 깨달음을 전하는 한국 시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2020년에는 전년 대비 판매량이 감소했다가 2021년 6.1%의 증가율로 반등했고, 이후 2022년에도 3.1%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 미래일보. 2022년 시집 베스트셀러 16위를 차지한 최지인 시인의 '일하고 일하고 사랑을 하고'는 부조리한 세상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청춘들의 목소리를 생생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세계 여러 나라의 작가와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하여 소개하는 중국의 계간 문학지 <국제시가번역(國際詩歌飜譯)>에 강병철 시인(정치학 박사)의 시 두 편이 소개되었다. <국제시가번역(國際詩歌飜譯)> 季刊 2023年第2期(总第110期)에는 추천 시로 강병철 [한국] 시인의 '나의 친구 키유 빅 하우'와 '눈 내리는 자작나무 숲에서'와 실바나 디미트리예프스카(Silvana Dimitrievska) [북마케도니아], 저우 두안좡(周端庄, Zhou Duanzhuang) [중국] 시인들의 작품들이 각 2편씩 소개 되었다. 다음은 <국제시가번역(國際詩歌飜譯)>에 게재된 강병철 시인의 시 두 편이다. My friend, KIEU BICH HAU Kang, Byeong-Cheol Who are you? I do care about you I have been searching beautiful value in yourself I feel intimacy, care you and share activity My friend, KIEU BICH HAU You reveal me to the world, What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