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5 (토)

  • 구름조금동두천 14.8℃
  • 흐림강릉 9.2℃
  • 맑음서울 16.2℃
  • 구름조금대전 14.0℃
  • 흐림대구 8.5℃
  • 울산 7.3℃
  • 흐림광주 12.1℃
  • 부산 8.3℃
  • 흐림고창 11.2℃
  • 제주 10.0℃
  • 구름조금강화 14.7℃
  • 구름많음보은 10.8℃
  • 구름많음금산 9.4℃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8.0℃
  • 흐림거제 7.8℃
기상청 제공

국제

CGTN 특별 프로그램 'G20 싱크 허브: 내일을 위한 동행' 개최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 건설 위한 글로벌 관점 공유

(서울=미래일보) PRNewswire, 장건섭 기자 = 전 세계가 경제적 불평등, 환경 지속 가능성, 사회 정의라는 복잡하게 얽힌 다양한 도전에 직면함에 따라 이제 글로벌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최근 CGTN은 특별 프로그램인 'G20 싱크 허브: 내일을 위한 동행(G20 Think Hub: Together for Tomorrow)'을 마련해 선진 20개국(G20) 정상회의의 주제인 '정의로운 세계와 지속 가능한 지구 건설(Building a Just World and a Sustainable Planet)'에 부합하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사고 리더들을 초빙해 이러한 도전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 프로그램은 ▲글로벌 정의와 경제 협력에 관한 원탁 토론 ▲지속 가능한 개발에 관한 TED 형식의 세션 ▲문화 교류에 초점을 맞춘 티룸 채팅(tea room chat)으로 구성됐다.

원탁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공평한 경제 회복과 국제 협력을 통한 글로벌 정의 실현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 투자자인 짐 로저스(Jim Rogers)는 경제적 상호의존을 주제로 공동의 경제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중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터키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제시카 두르두(Jessica Durdu)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추진 중인 개발, 안보, 문명에 대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주목하면서 "정의와 지속 가능성은 미래 세대를 위한 상호 연결된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숙 전 유엔 주재 한국 대사는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의 영향력과 정책 이행을 위한 실행 가능한 도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영국 편집자 데이비드 퍼거슨(David Ferguson)은 G20 같은 플랫폼 내에서 포용적 대화의 가치를 강조했다.

브라질의 기술 기업가 안드레 퀘메(André Quemé)는 브라질의 아마존 보호 노력이 어떻게 기후 행동과 세계 경제 안정에 모두 도움이 되는지를 조명했다.

아프리카 청년 대표 조셉 올리비에 멘도오(Olivier Mendo'o)는 아프리카가 주도하는 해결책을 마련하고, 글로벌 의사 결정에서 아프리카가 더 큰 목소리를 내줄 것을 촉구했다.

TED 형식의 세션에서는 연사들이 지속 가능성을 추진하기 위한 혁신적인 전략을 발표했다.

멕시코의 대학 총장인 아달베르토 노욜라(Adalberto Noyola)는 환경 회복력을 주제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인프라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고, 이탈리아 환경학 교수인 프란체스코 파이올라(Francesco Faiola)는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자연 기반 솔루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멘도오 대표는 아프리카 전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데 젊은이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강조했다. 캐나다의 박사과정 학생인 앤드류 저스틴 올스빅(Andrew Justin Olsvik)은 야생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를 홍보했고, 독일의 산업 정책 전문가인 엘리사 회르하거(Elisa H?rhager)는 녹색 전환을 위한 부문 간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세션은 문화 교류에 대한 성찰로 막을 내렸다. 호주의 문화 정책 전문가인 데이비드 모리스(David Morris)는 상호 이해 증진 주제와 관련해 존중과 협력을 구축하기 위한 커뮤니티 주도의 이니셔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티룸 채팅에서 참석자들은 서로 각자의 이야기와 관점을 공유하며 문화적 가치가 글로벌 협업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보여줬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박정훈 의원, 서울시교육감 만나 '잠실4동 중학교 신설' 촉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송파갑)은 11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을 만나 '잠실4동 중학교 신설'을 촉구했다. 잠실4동에 거주하는 학생은 중학교가 없어 인근 학교로 분산배치 됐다. 이에 통학 여건을 개선하고, 과밀학급을 해소하기 위한 주민들의 요구가 꾸준히 있었다. 그러나 학교 설립은 지역단위가 아닌 학군 단위로 설립하게 돼 있어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번번이 무산됐다. 박 의원은 이러한 지역 주민의 염원을 해결하고자 지난 총선 공약으로 활용이 저조한 서울책보고 부지에 소규모 학교인 '잠실중학교 제2캠퍼스(도시형캠퍼스)'를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정 교육감과의 면담도 그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박 의원은 정 교육감에게 "진주·미성·크로바아파트의 재건축로 2030년에는 중학생 1,104명이 증가하게 된다"라며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반드시 잠실4동에 중학교 신설이 필요하다"라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정 교육감은 "진행 중인 용역 결과가 나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 추진하겠다"라고 화답했다. 박 의원은 '학교 이전·재배치 촉진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중학교 설립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학교가 설립되면 통학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