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목)

  • 구름많음동두천 7.2℃
  • 맑음강릉 11.0℃
  • 구름많음서울 7.6℃
  • 구름조금대전 10.4℃
  • 맑음대구 8.9℃
  • 맑음울산 11.1℃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11.2℃
  • 맑음제주 13.2℃
  • 구름많음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7.3℃
  • 구름조금금산 10.1℃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6℃
  • 맑음거제 10.2℃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세계 피아노 날'은 있고 '거문고 날'은 없다"

달성군, 2011년부터 '달성 100대피아노' 축제 매년 열기도
"거문고는 한국의 소리며 색깔은 하얗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일부교회는 예배시작 전 준비찬송을 하면서 피아노와 함께 드럼을 치는 교회가 늘어난다. 일부교회만의 것이 중대형 교회로 번진다.

소리가 너무 커서 드럼 주변에 유리박스가 아이러니다. 드럼은 연주보다는 친다는 표현이 더 익숙하다. 친다는 것은 격정의 표현으로 와일드한 분위기, 폭풍을 연상케 한다. 교회는 신나게, 즐겁게, 젊게 의미를 둔 것으로 보인다.

교회의 분위기는 뭐니 뭐니 해도 피아노 반주의 클래식 함이다. 우리나라에 1900년 3월 26일 미국 선교사 사이드보텀(Sidebotham)이 들여 온 게 피아노의 시작이다.

대구의 사문진 나루터(현 화원동산)로 들여왔다. 121년 전에 피아노를 접한 사람들은 '귀신 통'이라 불렀다. 육중한 피아노를 상여 막대기를 이용해 옮기는 과정서 붙여진 이름이다.

달성군은 2011년부터 피아노가 들여온 날을 기념하여 '달성 100대피아노' 축제를 매년 열기도 한다. 낙동강의 석양빛 노을과 100대의 피아노 연주는 사람들의 큰 호응을 받기에 족하다.

시간은 흘러 피아노 없는 교회는 상상할 수 없다. 교회의 찬송가 반주는 피아노가 상징이다. 피아노는 세계적 악기의 명사다. 피아노 발명자는 이탈리아악기 제작자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i.1655~1731)다.

그는 자신이 만든 피아노포르테(Pianoforte)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탈리아어로 ’부드럽고 강하게‘라는 뜻이다. 음량의 조절이 자유롭다. 초창기 건반이 54개였다. 모차르트가 살던 18세기 말 건반이 61개로 늘어났다.

쇼팽(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과 리스트(Franz Liszt.1811~1886)가 활동하던 19세기에는 82개까지 늘어났다. 지금의 88개로 자리 잡은 것은 1900년 이후다. 건반이 88개인 것은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영역 대를 기준으로 만들어 졌다.

88개의 건반 이상은 잡음으로 들린다는 뇌 과학적 근거에 기초를 두었다. '세계 피아노 날'도 있다. 피아노의 날은 피아노의 건반, 88개를 뜻하는 일 년 중 88일째 되는 날이다. 올해는 3월 29일이었다. 이를 기념해 조성진과 이루마, 랑랑 등 세계적 피아니스트는 온라인에서 약 2시간 50분 동안 마라톤 공연을 했다.

한국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거문고' 악기가 있다. 악기 중 음넓이가 가장 넓다. 고구려 때(552년경) 만들어 졌다.

만든 사람의 이름은 미상이다. 앞면은 오동나무, 뒷면은 밤나무로 속이 비게 울림통을 짜고, 그 위에 명주실을 꼰 6개의 줄이 있다. 3개의 줄에는 16개의 괘를 받쳐 놓았다. 음정은 16개의 괘로 조절한다.

우리나라의 거문고는 빼어난 악기인데 교회는 왜 드럼을 치고 있는가. 그것도 소음에 가까운 드럼이다. 장로였던 황금찬 시인은 교회에서 색소폰(Saxophone, Sax)이나 드럼을 치는 것은 거룩함을 훼손한다 했다.

우리나라 교회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기여도가 있다. 많은 성악가와 대중음악 뮤지션도 교회의 성가대 출신이 많다. 문화를 선도한 교회가 우리의 거문고를 연주하면 예배의 분위기는 한껏 클래식 하지 않을까.

'세계 피아노의 날'은 있는데 '거문고 날'은 없다는 것에 이의를 달고 싶지 않다. 우리 것에 목 메인 것도 옳지 않다. 드라마 ‘달의 연인 보보경심 려’에 배우 남주혁이 켜는 거문고는 허기진 인간의 영혼을 위로한다.

시인 김영랑은 '거문고' 시를 발표했다. 일제 강점기에 영영 돌아 올 해방의 기미가 보이지 않음을 빗댄 시다.

"검은 벽에 기대선 채로/ 해가 스무번 바뀌었는데/ 내 기린(麒麟)은 영영 울지를 못한다./ 그 가슴을 퉁 흔들고 간 노인의 손/ 지금 어느 끝없는 향연에 높여 앉았으려니/ 땅 우의 외론 기린이야 하마 잊어졌을랴."(부분)

시인은 거문고를 기린에 비유했다. 거문고는 나라 잃은 일제 강점기를 상징한다.

영랑은 거문고라는 우리의 악기에 강하게 기댄 시어로 보인다. 거문고는 한국의 소리며 색깔은 하얗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전국재해구호협회-공무원연금공단, 재해 현장 구호활동 연계 협약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공무원연금공단(이사장 김동극)과 재해 현장 구호활동 연계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서울 마포구 전국재해구호협회 사무처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전국재해구호협회 송필호 회장과 신승근 부회장, 공무원연금공단 김동극 이사장과 강광식 고객만족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재난대응과 자원봉사 활동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재난 시 물적·인적 지원을 포함한 구호 활동에 힘을 모으고, 효과적인 위기 대응을 위한 운영 체계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이동극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은 "재해현장에서 여러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재난에 대응하는 사회안전망 구축에 오랜 공직 경험과 사명감이 있는 퇴직공무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송필호 전국재해구호협회 회장은 "재난이 발생하면 신속한 구호로 후속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며 "재해 구호 활동에 동참해 주신 공무원연금공단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는 1961년 전국의

정치

더보기
박정훈 의원, 서울시교육감 만나 '잠실4동 중학교 신설' 촉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송파갑)은 11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을 만나 '잠실4동 중학교 신설'을 촉구했다. 잠실4동에 거주하는 학생은 중학교가 없어 인근 학교로 분산배치 됐다. 이에 통학 여건을 개선하고, 과밀학급을 해소하기 위한 주민들의 요구가 꾸준히 있었다. 그러나 학교 설립은 지역단위가 아닌 학군 단위로 설립하게 돼 있어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번번이 무산됐다. 박 의원은 이러한 지역 주민의 염원을 해결하고자 지난 총선 공약으로 활용이 저조한 서울책보고 부지에 소규모 학교인 '잠실중학교 제2캠퍼스(도시형캠퍼스)'를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정 교육감과의 면담도 그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박 의원은 정 교육감에게 "진주·미성·크로바아파트의 재건축로 2030년에는 중학생 1,104명이 증가하게 된다"라며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반드시 잠실4동에 중학교 신설이 필요하다"라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정 교육감은 "진행 중인 용역 결과가 나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 추진하겠다"라고 화답했다. 박 의원은 '학교 이전·재배치 촉진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중학교 설립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학교가 설립되면 통학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