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세계 피아노 날'은 있고 '거문고 날'은 없다"

달성군, 2011년부터 '달성 100대피아노' 축제 매년 열기도
"거문고는 한국의 소리며 색깔은 하얗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일부교회는 예배시작 전 준비찬송을 하면서 피아노와 함께 드럼을 치는 교회가 늘어난다. 일부교회만의 것이 중대형 교회로 번진다.

소리가 너무 커서 드럼 주변에 유리박스가 아이러니다. 드럼은 연주보다는 친다는 표현이 더 익숙하다. 친다는 것은 격정의 표현으로 와일드한 분위기, 폭풍을 연상케 한다. 교회는 신나게, 즐겁게, 젊게 의미를 둔 것으로 보인다.

교회의 분위기는 뭐니 뭐니 해도 피아노 반주의 클래식 함이다. 우리나라에 1900년 3월 26일 미국 선교사 사이드보텀(Sidebotham)이 들여 온 게 피아노의 시작이다.

대구의 사문진 나루터(현 화원동산)로 들여왔다. 121년 전에 피아노를 접한 사람들은 '귀신 통'이라 불렀다. 육중한 피아노를 상여 막대기를 이용해 옮기는 과정서 붙여진 이름이다.

달성군은 2011년부터 피아노가 들여온 날을 기념하여 '달성 100대피아노' 축제를 매년 열기도 한다. 낙동강의 석양빛 노을과 100대의 피아노 연주는 사람들의 큰 호응을 받기에 족하다.

시간은 흘러 피아노 없는 교회는 상상할 수 없다. 교회의 찬송가 반주는 피아노가 상징이다. 피아노는 세계적 악기의 명사다. 피아노 발명자는 이탈리아악기 제작자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i.1655~1731)다.

그는 자신이 만든 피아노포르테(Pianoforte)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탈리아어로 ’부드럽고 강하게‘라는 뜻이다. 음량의 조절이 자유롭다. 초창기 건반이 54개였다. 모차르트가 살던 18세기 말 건반이 61개로 늘어났다.

쇼팽(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과 리스트(Franz Liszt.1811~1886)가 활동하던 19세기에는 82개까지 늘어났다. 지금의 88개로 자리 잡은 것은 1900년 이후다. 건반이 88개인 것은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영역 대를 기준으로 만들어 졌다.

88개의 건반 이상은 잡음으로 들린다는 뇌 과학적 근거에 기초를 두었다. '세계 피아노 날'도 있다. 피아노의 날은 피아노의 건반, 88개를 뜻하는 일 년 중 88일째 되는 날이다. 올해는 3월 29일이었다. 이를 기념해 조성진과 이루마, 랑랑 등 세계적 피아니스트는 온라인에서 약 2시간 50분 동안 마라톤 공연을 했다.

한국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거문고' 악기가 있다. 악기 중 음넓이가 가장 넓다. 고구려 때(552년경) 만들어 졌다.

만든 사람의 이름은 미상이다. 앞면은 오동나무, 뒷면은 밤나무로 속이 비게 울림통을 짜고, 그 위에 명주실을 꼰 6개의 줄이 있다. 3개의 줄에는 16개의 괘를 받쳐 놓았다. 음정은 16개의 괘로 조절한다.

우리나라의 거문고는 빼어난 악기인데 교회는 왜 드럼을 치고 있는가. 그것도 소음에 가까운 드럼이다. 장로였던 황금찬 시인은 교회에서 색소폰(Saxophone, Sax)이나 드럼을 치는 것은 거룩함을 훼손한다 했다.

우리나라 교회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기여도가 있다. 많은 성악가와 대중음악 뮤지션도 교회의 성가대 출신이 많다. 문화를 선도한 교회가 우리의 거문고를 연주하면 예배의 분위기는 한껏 클래식 하지 않을까.

'세계 피아노의 날'은 있는데 '거문고 날'은 없다는 것에 이의를 달고 싶지 않다. 우리 것에 목 메인 것도 옳지 않다. 드라마 ‘달의 연인 보보경심 려’에 배우 남주혁이 켜는 거문고는 허기진 인간의 영혼을 위로한다.

시인 김영랑은 '거문고' 시를 발표했다. 일제 강점기에 영영 돌아 올 해방의 기미가 보이지 않음을 빗댄 시다.

"검은 벽에 기대선 채로/ 해가 스무번 바뀌었는데/ 내 기린(麒麟)은 영영 울지를 못한다./ 그 가슴을 퉁 흔들고 간 노인의 손/ 지금 어느 끝없는 향연에 높여 앉았으려니/ 땅 우의 외론 기린이야 하마 잊어졌을랴."(부분)

시인은 거문고를 기린에 비유했다. 거문고는 나라 잃은 일제 강점기를 상징한다.

영랑은 거문고라는 우리의 악기에 강하게 기댄 시어로 보인다. 거문고는 한국의 소리며 색깔은 하얗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원·시민 1,600명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해임해야" 국민감사 청구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광복회원과 일반시민 1,600여 명이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해임을 촉구하며 감사원에 국민감사를 청구했다.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19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제출한 요청서를 통해 "김 관장은 역사관·도덕성·자격 면에서 모두 부적격"이라며 즉각 해임을 요구했다. 광복회는 김 관장이 광복을 "연합국의 승리가 가져다 준 선물"이라고 규정한 발언을 문제 삼았다. 이는 독립운동의 가치를 부정하고 선열들의 희생을 모욕하는 망언이라는 주장이다. 또한 그는 ‘1948년 건국절’ 주장을 비롯해 임시정부 법통과 한일병합 불법성을 부정하는 발언을 해 왔다며, 대한민국 정체성과 정통성을 흔드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도덕성 논란도 제기됐다. 김 관장은 과거 대북지원사업 관련 국가보조금을 불법 수령해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으며, 이후 국비 연구비를 수령해 독립기념관장 응모 실적에 활용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직무 수행 역시 사실상 마비 상태라는 비판이 나온다. 독립기념관은 올해 광복 80주년 특별기념관 예산 240억 원을 집행하지 못한 채 반납 위기에 놓였으며, 경축식도 일방 취소됐다. 학계와 독립운동 단체, 내부 노조까지 김 관장의 역사관에 반대해

정치

더보기
전국 최초 '교량 음악분수' 탄생… 봉양순 서울시의원, 감사패 수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 노원구 경춘철교 상부에 전국 최초의 교량형 음악분수가 조성됐다. 버려진 철교 위에 새로운 문화를 심어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게 된 이번 사업은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 과정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한 결과다. 이에 노원구청은 지난 22일 열린 개장식에서 봉 의원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경춘철교 음악분수는 옛 경춘선 철교의 역사성을 문화 콘텐츠로 재해석한 공간이다. 레이저 4대와 미러 기술을 활용한 연출, 고·저음을 입체적으로 구현한 음향 시스템, 창작곡을 포함한 21곡의 음악 퍼포먼스가 어우러져 시청각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복합 공연 콘텐츠로 완성됐다. 개장식에서는 ▶기차 바퀴를 형상화한 '트위스터 분수', ▶큰 아치를 그리며 쏟아지는 '빅아치 분수', ▶다채로운 색채와 레이저 퍼포먼스가 함께 어우러진 장면이 선보여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봉양순 의원은 사업 구상 단계부터 실무 조율과 의사 결정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2024년도 서울시 예산 30억 원을 노원구로 재배정되도록 조정해 음악분수 설치를 현실화한 주역으로 평가된다. 이는 단순한 예산 확보를 넘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