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에 관한 시라면 이백을 뒷전에 둘 수 없다. 대표적으로 '파주문월(把酒問月)'에서 달은 "거울 같은 밝은 보름달"로 묘사한다. 선궁(仙宮)에 걸린 거울 같은 이미지를 담았다. 다른 시 '월하독작(月下獨酌)'에서 달이 시인에게는 영혼의 거울이자 확대된 자아로 묘사했다.
'꽃 사이에 술 한 병 놓고,/ 벗 없이 혼자 마시노라./ 잔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니,/ 그림자 비추어 세 사람이 되었구나./ 달은 본래 술 마실 줄 모르고,/ 그림자는 그저 흉내만 내네./ 잠시 달을 벗하고 그림자를 거느리고,/ 이 봄을 마음껏 즐겨보세./ 내가 노래하니 달도 서성이고,/ 내가 춤추니 그림자도 어지럽구나./ 취하기 전엔 함께 즐기지만,/ 취하고 나면 각자 흩어지겠지./ 영원히 정에 얽매이지 않는 우정을 맺어,/ 아득한 은하수에서 만나기를 기약하세.' <월하독작> 전문이다.
이백은 시에서 낭만적 정감의 원천이자 동경의 대상으로 그렸다. 그뿐 아니라 '정야사(靜夜思)' 시에서는 달빛을 “땅 위의 서리”와 비교하며 고향을, 생각하게 만드는 달의 이미지를 그렸다.
이백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는데 곧장 시를 등장시켰다. 현대인이 잃어버리는 자연을 연결하고자 하는 대표적 시인이다. '산중 문답'에서는 산속에서 한가로운 삶을 통해 조화로운 자연과 사람이 융화하는 모습을 그리려 했다. 이백은 탈 세속적이고 이상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생관을 보여 준다. 이백의 시는 간결 하면서도 강렬한 감정을 전달한다.
요즘 정치권에서 화제가 된 "호수에 비친 달을 쫓는다"라는 표현은 비유적 의미다. 예를 들어 "물고기를 잡듯이"나 "바람을 잡다"와 같이 허상을 이른다. 실체가 아닌 것을 쫓는다는 의미다.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불가능하거나 실현 불가능한 일을 시도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굳이 이들의 표현의 근거를 둔다면 이백이나 한용운 박목월의 시구의 구절의 인용쯤으로 보는 것이다.
한분순 시인의 근작 시조집 <그대의 끼니가 아름답기를> 멋진 시조집이 나왔다.
'좋아지는 속내만큼/ 입술이 붉어진다// 연애는 육식성/ 심장을 움켜 먹는//사랑에 드러낸 마음/ 식지 않는/ 달이 된// 비 닿으며/ 흰 달빛/ 내리는 허무의 뼈// 올곧은 지평선에/ 축성된 길몽들// 무지개, 태양의 이교/ 흘려 쓰는 긴 복음' <달빛 밤의 고백> 전문이다.
한분순 시인이 보는 달은 매우 감각적이다. 시인에게, 달의 고백은 붉은 입술 만큼이나 뜨거운 달이다. 달이 뜨겁다고 보는 것은 한분순 시인 만의 시의 건축이다. 시인은 달이 뜨겁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 다만 시의 마지막 연 "무지개, 태양의 이교(異敎)"를 들어 달의 뜨거움으로 자의적 해석을 해본다. 이교는 이단의 가르침이다. 자기가 믿는 종교가 아닌 다른 종교다. 종교인이라면 이교는 뜨거운 혼란이다.
'목월의 달', '한용운이 그리는 달', '이백의 달'은 각각이다. 시는 그래서 신의 언어다. 한분순 시조의 근작은 달의 흐름이 가장 빠르게 보인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