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9.3℃
  • 구름조금서울 7.6℃
  • 안개대전 6.9℃
  • 박무대구 8.5℃
  • 박무울산 11.9℃
  • 박무광주 8.4℃
  • 맑음부산 15.0℃
  • 맑음고창 5.7℃
  • 맑음제주 15.8℃
  • 구름많음강화 7.5℃
  • 맑음보은 2.2℃
  • 구름많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6.7℃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남이장군과 '겨울연가'

"문학과 정치의 불화는 변하지 않아...권력 세계는 문학과 예술의 심장에 비수를 호시탐탐한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대학로엔 남이장군(1441~1468) 집터가 있다. 남이장군은 詩 한 편을 쓰고 그 시로 말미암아 오지가 찢긴 참혹한 죽임을 당한 시인이며 무관이라는 사실이다. 그의 나이 28세였다.

장군의 집터의 정확한 위치는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의 후문 근처다. 종로5가역 방향으로 200m 정도 내려가다 보면 남이장군이 태어난 집터라는 돌판이 도로변에 위치한다. 가까이 있는 꽃가게 주인은 간혹 자그마한 꽃 화분을 시인 남이장군 집터 돌판 아래에 놓곤 한다. 꽃집은 1평도 되지 않지만 비교적 손님이 끓이지 않아 장사가 잘 되는 꽃집이다.

시도반(詩道伴, 詩 공부자)은 그 꽃집의 주인이 남이장군 집터에 꽃 화분을 놓는 것에 늘 궁금했다. 주인에게 묻기보다는 추측을 하기로 했다. 우리나라 무속인들은 힘이 센 장군을 사당에 모신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영하다는 무속인에 의하면 무속인들이 남이장군을 가장 많이 모셨을 것이라 한다.

연유인즉, 남이장군은 우리나라에서 최연소 나이인 17세(세조 3년 1453년)에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오른다. 장군은 이시애(李施愛) 난을 3개월 만에 평정한 기개를 보인다. 여세를 몰아 만주 요동의 노략자(擄掠子), 여진족을 강순 장군과 함께 출전하여 토벌에 혁혁한 전과를 올린다.

그 기개는 세조에게 인정을 받아 26세의 조선 최연소 병조판서(兵曹判書), 오늘날의 장관직에 오른다. 고려말부터 조선 초에 걸쳐 압록강 너머에 오랑캐 정벌이 네 차례 있었다.

첫 번째는 공민왕 때 이성계 장군이 두 번, 요동을 정벌한다. 세 번째가 최윤덕 장군이다. 마지막 네 번째가 남이장군이다. 이 전투들은 우리나라 전투사에 큰 승전보라는 기록을 남긴다. 남이 장군이 26세에 세운 전과다. 전쟁을 치르고 귀경하면서 백두산에 올라 두만강을 바라보며 詩 한 수를 짓는다.

후일 생명을 담보한 문제의 시가 될 줄 짐작하지 못했다.

'북정가(北征歌)'다. "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 없애고/ 두만강 물은 말을 먹여 다 없애리/ 사나이 스물에 나라를 평정하지 못한다면/ 후세에 대장부라 하리오."

詩의 해석을 보태지 않아도 남아의 기개가 넘친다.

또 다른 혼자 말이 화근에 보태진다. 밤하늘의 혜성이 땅으로 떨어지는 광경에 "묵은 것이 가고 새것이 나타날 징조다"라고 말한다. 이 말을 평소 시기와 질투를 하던 유자광(柳子光 1439~1512)이 듣는다. 세조에 이어 예종이 왕권을 잡고 궁궐에는 역모가 끓이지를 않던 분위기였다. 유자광은 예종에게 남이장군이 역모를 꾀하고 있다며, 근거로 ‘북정가’ 시와 밤하늘의 떨어지는 혜성을 보고 뱉은 말을 근거로 간신(姦臣) 상소한다. '아주 나쁜' 필화모략이다.

기록에 의하면 이 필화로 남이장군은 한강 변에서 두 팔과 두 다리 그리고 머리를 별처럼 5개 방향으로 우마차에 묶여 참수당한다. 우리 역사상 가장 잔혹한 참수 기록이다. 억울한 모략의 죽임이다. 얼마나 한이 많은 장군인가. 그의 영혼은 지금도 우리의 주변을 떠돌 것이다.

남이섬(춘천시 남산면 남이섬길 1번. 둘레 약 5km)에 가면 남이장군의 묘가 있다. 그곳은 '겨울연가'(2002년)의 촬영 장소이기도 하다. 겨울연가로 남이섬은 일본 관광객까지 붐비게 하는 명소가 되었다. 학인은 겨울연가의 관객몰이는 남이장군과 무관치 않다 말한다.

한 많은 남이 장군은 겨울연가 제작진과 배우에게 위로를 받았으리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남이장군은 영의 세계에서 겨울연가 제작에 참여한 시인 장군이라는 흥미로운 해석을 한다. 겨울연가는 그에 힘입어 국내의 흥행은 물론, 동남아 전역에 붐을 일으켰다고 덧붙인다. 학인의 해석은 무속답지만, 흥미로운 작가적 발상으로 웃어넘기기로 했다.

하나의 설화는 이를 더 설득력이 있게 한다. 남이 장군은 어렸을 때 거리에서 놀다가 어린 종이 작은 상자를 보자기에 싸서 들고 가는 것을 본다. 그런데 보자기 위에 '분 바른 여자 귀신'이 앉아 있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겨 따라간다.

권람(1416~1465)의 집으로 들어간다. 잠시 뒤 그 집에서 통곡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어린 남이는 급히 들어가 자초지종을 묻는다. 들어가 보니 분 바른 여자 귀신이 낭자의 가슴을 누르고 있었다. 남이는 지체없이 귀신을 향하여 "썩 물러가라" 고함을 치자 허겁지겁 귀신이 달아나고 낭자는 숨을 쉬었다. 그 모습을 본 권람의 가족은 놀란다. 이로 인해 영의정을 지낸 권람의 딸과 남이는 결혼을 했다는 설화다. 이런 연유로 무속인들이 남이장군을 사당에 모시는 것이라 설명한다.

예나 지금이나 문학과 정치의 불화는 변하지 않는다. 詩 한 편으로 억울하게 오지가 찢긴 남이 장군, 오적(五賊)의 詩를 만들어 사형 선고를 받았던 김지하 시인. 오늘도 '그들만의', '그들만이' 공정하다는 권력 세계는 문학과 예술의 심장에 비수를 호시탐탐한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문학, 영혼을 깨우는 묵향의 잔치… 단테문인협회 '제2회 국내문학상 출판기념회' 및 '제1회 단테문학 작가상' 시상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가을의 문턱, 시와 사람의 향기가 한자리에 모였다. 단테문인협회(이사장 오선 이민숙)는 지난 11월 2일 서울 YMCA 인근 문화공간온에서 '제2회 국내문학상 수상작품집' 출판기념회와 '제1회 단테문학 작가상' 시상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시인과 문학인 60여 명이 참석해 시와 영혼으로 엮은 가을의 잔치를 함께했다. 이날 김호운 (사)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은 축사에서 "문학은 쓸모를 초월해 인간을 자유롭게 한다"며 "어머니의 동화책에서 떡이 나오냐 밥이 나오냐 묻던 그 시절, 문학은 우리에게 눈물을 가르쳤고 자유를 허락했다"고 말했다. 그의 말은 문학이 시대의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영혼을 밝히는 등불임을 상기시켰다. 오선 이민숙 단테문인협회 이사장은 "묵향으로 빚어낸 작가들의 시와 수필은 애잔한 인생의 연민에서 건져 올린 문학의 진주"라며 "오늘 이 자리는 K-문학의 새로운 빛을 확인하는 축제의 장"이라고 전했다. 이종태 서울시의원도 "단테문인협회는 발족 초기부터 지역 문단을 넘어 행동하는 작가들의 연대로 자리 잡았다"며 "천만 시민을 대표해 문학의 가치와 감동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길 바란다"고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재)송호·지학장학재단, '제39회 송호장학금' 및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국내 굴지의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가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송호지학장학회관 지학홀에서 오는 10월 28일(화) 오후 2시, '제39회 송호장학금'과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이 열린다. 이번 수여식은 재단법인 송호·지학장학재단(이사장 정희준)이 주최하는 연례 장학행사로, 올해는 총 35명에게 1억 1천8백만 원의 장학금 및 연구비가 전달된다. 화성에서 피어난 39년의 교육 나무 '송호·지학장학재단'은 고(故) 정영덕 선생이 1985년 고향 화성 지역의 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한 '송호장학회'를 모태로 한다. '송호(松湖)'는 선친의 아호로, 선친의 뜻을 이은 장남 정희준 이사장이 2009년 재단법인으로 확대 개편하여 현재의 송호·지학장학재단으로 이어오고 있다. 1987년부터 시작된 '송호장학금'은 화성 시내 고교 재학생 중 학업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발해 지원해 왔으며, 올해 역시 화성 남양고등학교 재학생 10명에게 총 1천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한편 2010년부터 시행된 '지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장학 제도로, 실질적 연구성과를

정치

더보기
용혜인 의원 "선방한 협상… 국민경제 대개혁으로 나아가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는 30일 29일 타결된 한미 무역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국익 중심의 전략적 협상을 통해 선방했다"며 "이제 국민경제의 대개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용 대표는 이날 논평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과도한 압박 속에서도 정부가 원칙을 지켜냈다"며 "현금 3,500억 달러의 '묻지마 투자' 요구를 거부하고, 외환시장 충격을 최소화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주력 수출품의 대미 관세율을 유럽연합과 일본 수준으로 맞추고,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을 막아낸 점은 큰 성과"라며 "정부와 민간이 국익을 중심으로 협력한 결과, 이번 협상은 '선방'이라 부를 만하다"고 강조했다. 용 대표는 그러나 "이번 협상이 한국 경제의 구조적 한계를 다시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과도한 대미 수출 의존과 불균형한 재정·외환 운용, 그리고 국민에게 환원되지 않는 대기업 중심의 수출 구조가 여전히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수출대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국민의 세금이 투입된다면, 그 성과 또한 국민이 나눠 가져야 한다"며 "기업의 이익이 국민의 이익으로 환원되는 구조, 즉 '공유부 기본소득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