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모성의 본능을 간결하면서도 강렬하게 담아낸 전민 시인의 시 '엄마'가 독자들의 깊은 울림을 자아내고 있다. 화마 속에서도 병아리를 품고 끝내 자리를 떠나지 않은 어미 닭의 숭고함은 곧 '엄마'라는 존재의 상징이자, 인간을 포함한 생명의 본능적인 사랑을 보여주는 '사랑의 원형'으로 자리매김한다. 시인은 짧은 시 한 편을 통해 '엄마'라는 단어만으로도 깊은 감정의 파동을 불러일으키며, 이 말의 무게와 울림을 새삼 되새기게 한다. [편집자 주] 엄마 - 전민 시인 화재에 휩싸인 닭장에서 수탉들은 다 빠져나갔는데 병아리를 품속에 꼭 껴안은 채 어미 닭만 까맣게 모두 타 죽었다 사람이나 동물나라에서도 가장 뜨겁게 달아오르는 말 나직이 말하며 듣기만 해도 가슴이 물컹해지는 엄마, 어머니! - 서울지하철역 스크린 안전 도어 게시 시에서 Mother - Jeon Min / Kim In-young Out of the henhouse caught in fire All the roosters escaped, But hens remained, holding baby chicks In their bosom—until they were all bur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제계관시인연합·한국위원회(UPLI-KC : United Poets Laureate International-Korea Committee : 이사장 전민(본명 전병기)에서 기획한 'Poetry Korea' 제17호가 2024년 여름호로 발행되었다. 'Poetry Korea'는 UPLI-KC의 연간 앤솔로지(Annual Anthology)로 4호까지는 영문판으로 발행하던 것을 5호부터는 한·영대역판으로 발행해 오고 있다. 특히 이번 17호에서는 지난 4월 29일 급환으로 작고한 고(故) 김용재 본 협회 전 이사장의 지나온 업적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기 위하여 김 전 이사장의 대표시 '더하기와 지우기', '순환 형식', '어느 여인을 보며', '잃어버린 여름', '이승과 저승이 따로 없을 것도 같았다' 등 5편을 추모 특집으로 소개했다. 이 중 '이승과 저승이 따로 없을 것도 같았다' 전문을 한·영대역으로 소개한다. 이승과 저승이 따로 없을 것도 같았다 - 고(故) 김용재 시인 검은 벽이 보인다 하얀 빛이 일렁인다 육신의 병이 뺨을 친다 정신의 시(詩)가 실바람 소리를 낸다 제 몸을 돌아보고 제 옛날 돌아보고 한(恨)익은 사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