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정치여 하이쿠를 읽어라"

시는 압축이 생명,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것은 카톡…여기에 표현되는 것들이 하이쿠의 하나'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하이쿠(俳句) 시는 17자의 짧은 장르다. 정형 운문으로 450년 전부터 일본의 상류사회, 서민사회까지 사랑을 받았다.

짧은 시는 긴 시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몇 마디의 말, 눈빛, 손짓 같은 것으로 언어 너머의 것을 이야기한다. 바쇼(芭蕉)는 학인들에게 이렇게 권고한다. "모습을 먼저 보이고 마음은 뒤로 감추어라." 시의 의미는 뒤로 감추고 모습(形)을, 풍경을 먼저 보이라는 것이다.

설명하지 말고 묘사를 말한다. 자신의 감정을 직접 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이류라 하는 것은 옳다. 하이쿠는 눈으로 보이고 눈으로 만질 수 있는 가시적인 것을 보인다. 17자로 구성되는 한 줄의 정형시는 계절과 자연을 노래하면서 인간의 실존에 가장 근접한 문학으로 평가받는다.

문명권에서 창작된 가장 짧은 장르에 꼽힌다. 그러고 보면 유럽에서는 소네트, 일본의 하이쿠 한국의 시조가 일정 부분 비슷한 면을 공유한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비롯해 많은 시인은 자국어로 하이쿠 시를 만들었다. 영국의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시인이나 아르헨티나의 대문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는 하이쿠를 즐겨 만들었다.

노벨 문학수상자인 멕시코 작가 옥타비오 파스(Octavio Paz Rozano는 마츠오 바쇼의 하이쿠를 좋아해 바쇼의 하이쿠 시를 직접 스페인어로 번역했다. 일본의 하이쿠 시인으로 마츠오 바쇼, 고바야시 잇사(小林一茶),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 등이 있다.

바쇼는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에 등장해 일본 문화를 잘 모르는 한국인에게도 약간의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하이쿠가 한국에서는 그리 유명세를 치르지 않는 것은 한국인의 일본 문화에 대한 반감의 작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60년대 이어령 교수는 일본을 들어 '축소지향의 나라'로 소개하여 반향을 일으켰다. 일본은 모든 물건을 소형화하여 대중의 사랑을 받게 하는 기술의 나라다. 하이쿠도 일본의 축소지향 문화 속에 하나의 장르로 보인다.

'허수아비 뱃속에서/귀뚜라미가/울고 있네' / <잇사>. '꽃잎 하나가 떨어지네/어, 다시 올라가네!/나비였네' <모리다케>. '미안하네, 나방이여/난 너에게 해줄 것이 아무것도 없어/그냥 불을 끄는 수밖에’ <잇사>. '붉은 꽃잎 하나가/소똥 위에 떨어져 있다/마차 불꽃처럼' <부손>. 이처럼 하이쿠는 짧고 함축적이기에 작품에 내포된 의미를 독자는 다양하게 해석의 공간을 갖게 된다.

독서가 그러듯 각자의 경험 미학에서 나오는 배경 지식이 17자로 만나면 지구본을 돌리는 기분, 언어 우주를 넘나드는 느낌이다. 우주는 아주 미세하고 광활하다. 밤바다처럼 고요하다. 불타는 장작처럼 격정이다. 이것들이 들어 있는 하이쿠를 독자는 사랑하게 된다.

미국의 시인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는 하이쿠의 영향을 받은 시를 섰다. 미국은 60년대부터 하이쿠가 좋은 반응을 받으며 대중화된 장르다. 미국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다.

2019년 타임스는 하이쿠 시를 독자에게 공모, 타임스에 연재하기도 했다. 미국인이 일본 여행 때 오래된 정원의 벤치에서 하이쿠를 짓는 것을 일본의 방송사가 인터뷰하여 보여준 적도 있다.

하이쿠는 철학계도 적지 않는 영향을 주었는데 구조주의 철학의 대표주자 한 명이었던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가 일본의 하이쿠에 강한 인상을 받아서 그의 철학을 완성 시켰기 때문이다.

굳이 말할 필요도 없이 시는 압축이 생명이다. 이야기를 지어내거나 생각되는 대로 글을 푸는 다른 문학과는 차별성이 있다.

우리는 이미 일상이 하이쿠의 시대에 살고 있다. SNS를 통한 표현과 주장은 가장 짧은 표현으로 나의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미국의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짧은 SNS 문장을 이용하여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것은 카톡이다. 여기에 표현되는 것들이 하이쿠의 하나다. 요즘 정치권에서는 카톡의 문장이 나라를 혼란에 넣는다. 하이쿠를 읽어보기를 권한다.

하이쿠가 요구하는 것은 인간의 존재를 넣는 철학이 요구된다. 말의 유희는 늦은 시대의 산물이다. 인생과 자연의 뛰어난 형태 언어를 사용하면 너와 나의 소통은 향연(饗宴)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 평론가)

i24@daum.net
배너
김영두 작가, "연애의 본질을 향한 도발적 질문과 문학적 실험"… 장편소설 <벚꽃이 진다 해도> 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연애는 언제나 문학의 주요한 화두였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에서부터 근현대 한국소설에 이르기까지, 사랑은 인간 존재의 본질과 맞닿은 서사의 원천이었다. 그러나 연애가 더 이상 낭만적 설화로만 그려지지 않는 시대에, 소설은 어떤 방식으로 사랑을 새롭게 말할 수 있을까. 최근 월간순수문학사가 펴낸 김영두 소설가의 장편 <벚꽃이 진다 해도>는 이 질문에 정면으로 답한다. 작가는 연애를 설렘과 황홀의 감정으로만 다루지 않고, 그 속에 도사린 지겨움과 갈등, 치떨림과 회피, 그리고 결국 맞닥뜨려야 할 자기 성찰을 드러낸다. 벚꽃이 피고 지는 순간의 화려함이 결국 사라짐을 내포하듯, 연애 또한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불가피한 소멸을 품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작품은 남녀 간 연애라는 고전적이면서도 끊임없이 새롭게 변주되는 주제를 정면으로 응시한다. 김영두 작가는 연애의 설렘과 황홀, 그러나 그 이후 찾아오는 지겨움과 치떨림까지 숨김 없이 드러내며, 사랑의 본질을 도발적으로 질문하는 서사를 펼쳐낸다. 소설 속 화자는 '노아'라는 남자를 중심에 두고 수많은 관계의 굴곡을 경험한다. 부부, 후배, 선배, 제자, 친구라는 사회적 역할 속에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희망브리지, '안아드림 페스티벌’ 참여…소방관 응원 부스 운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임채청)는 26일부터 27일까지 경상북도청 천년숲에서 열리는 '2025 안전경북 아이행복 드림 페스티벌(안아드림 페스티벌)'에 참여해 ‘특명! 소방관을 응원하라’ 부스를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안전경북 아이행복 드림 페스티벌(안아드림 페스티벌)은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경상북도 소방본부가 주관하는 도내 최대 규모의 안전체험 행사로, 올해로 4년째를 맞는다. 희망브리지는 이번 부스에서 ▲소방관 OX 퀴즈 ▲소방관 긴급출동키트 꾸리기 ▲소방관 응원 메시지 남기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시민과 어린이들이 직접 체험하고,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며 소방관을 응원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활동은 희망브리지의 '국민 히어로즈'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국민 히어로즈는 월 2만원의 후원으로 소방관에게는 출동키트, 이재민에게는 구호키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이 일상에서 소방관과 이재민을 응원하는 나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경북도민과 함께 소방관을 응원할 수 있는 소중한 자리에 함께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소방관들과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