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우원식 의원, 지방소멸시대의 지역 청년 일자리 정책, 해법은?...국회 토론회 개최

11일 오후 2시 , 국회 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
지방소멸시대, 지속가능한 지역 정주를 위한 지역 청년일자리 정책의 해법 모색을 목표로 진행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서울 노원을)은 청년유니온과 함께 11일 국회 의원회관 제6 간담회의실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속가능한 지역 정주를 위한 지역 청년일자리 정책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지역 청년일자리 포럼, 지방소멸시대의 지역 청년일자리 정책, 해법은?> 토론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는 청년유니온 김지현 정책팀장과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평가센터 이상호 센터장이 각각 ‘지속가능한 지역 정주를 위한 청년일자리정책의 과제’와 ‘지역 청년일자리 문제현황과 대응방향’에 대해 발제자로 참여하며 중앙대 사회복지학부의 이승윤 교수, 대구여성노동자회 토리 활동가,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의 박혜령 운영위원, 광주청년유니온의 김다정 위원장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2023년 3월 기준 전국 인구대비 청년비율 (단위 : 명, %)]

지역

전체인구

청년인구

전체인구대비 청년 비율

전국청년대비

지역청년비율

전국

51,414,281

10,173,414

13

23

13

23

22.3

19.8

100

서울특별시

9,426,404

2,234,110

25.1

23.7

22.5

22.0

경기도

13,603,546

2,793,696

22.6

20.5

24.1

27.5

인천광역시

2,974,481

608,366

23.4

20.5

5.9

6.0

부산광역시

3,313,539

620,194

22.2

18.7

6.9

6.1

대구광역시

2,358,988

455,974

21.8

19.3

4.8

4.5

광주광역시

1,427,508

300,438

23.0

21.0

3.0

3.0

대전광역시

1,445,519

315,300

23.3

21.8

3.1

3.1

울산광역시

1,107,746

205,867

23.0

18.6

2.3

2.0

세종특별자치시

385,609

69,655

20.0

18.1

0.2

0.7

강원도

1,533,719

261,783

19.5

17.1

2.6

2.6

충청북도

1,594,056

294,562

20.9

18.5

2.9

2.9

충청남도

2,124,650

370,421

20.7

17.4

3.7

3.6

전라북도

1,765,175

298,638

19.6

16.9

3.2

2.9

전라남도

1,813,872

281,839

18.1

15.5

3.0

2.8

경상북도

2,593,210

406,899

19.9

15.7

4.7

4.0

경상남도

3,269,228

534,301

20.7

16.3

6.0

5.3

제주특별자치도

677,031

121,371

19.9

17.9

1.0

1.2


한편, 토론회 주제 중 하나인 지역청년 소멸과 관련해 우원식 의원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23년 3월 기준으로 청년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청년(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인구 중 55.5%가 서울·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청년 10,173,414명 중 5,636,172명이 수도권에 거주중인 것이다. 전국 청년인구 대비 지역청년 비율이 가장 낮은 지자체는 세종시로 0.7%에 불과했으며 제주, 울산, 강원이 그 뒤를 이었다.

지자체별 전체 인구 대비 청년 비율의 경우에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경우 모두 20%를 넘었으나 수도권 외에는 대전(21.8%)과 광주(21%)가 유일했다.

전남과 경북의 경우 각각 15.5%와 15.7%를 기록하며 전체 인구에서 청년 비율이 가장 낮은 지자체로 나타났으며 비수도권의 평균 비율은 2013년에 비해 2.8% 줄어든 18.1%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해 우원식 의원은 "2013년과 비교해봤을 때 수도권의 청년 인구는 3%가 증가했지만 비수도권의 경우 그 감소세가 뚜렷하다"라며 "당장의 현실적 손익을 떠나 장기적인 시각에서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정부가 더 과감하게 행정적, 재정적 역량을 투여해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우 의원은 또한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수도권으로 가지 않아도 되는 청년들이 많아질수록 청년 일자리 문제도 해결되고, 대한민국의 지속 성장 또한 가능해질 것이다"라며 지역특화 청년일자리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청년세대 노동조합 청년유니온이 주관하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우원식(서울 노원구을),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용진(서울 강북구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해식(서울 강동구을), 이은주(비례대표) 의원이 공동주최한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이종찬 광복 회장, "정신과 문화의 힘으로 세계 선도하자"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광복 80주년을 맞아 열린 중앙경축식에서 이종찬 광복회장은 "대한민국은 정신과 문화의 힘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위대한 문화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15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중앙경축식에는 이재명 대통령 내외를 비롯해 정부 주요 인사와 독립유공자 후손, 각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80년 전 우리 민족은 잃었던 이름과 말을, 그리고 주권을 되찾았다"며 "그날은 단순히 빼앗긴 것을 되찾은 날이 아니라 새로운 역사를 쓰기 시작한 날이었다"고 회고했다. 이 회장은 지난 80년을 "민족의 승리의 역사"로 평가하며 민주주의 발전, 산업화와 경제 성장, 문화의 세계화를 성취한 대한민국의 성과를 강조했다. 이어 "민족운동의 심장 속에는 민주주의가 있었고, 민주주의의 뿌리에는 민족운동이 있었다"며 올바른 역사 인식과 정체성의 확립을 당부했다. 특히 이 회장은 백범 김구 선생의 "문화 선진국 대한민국"의 꿈을 언급하며, 광복 100주년을 향한 국가 비전을 제시했다. 이 회장은 "정신적·도덕적 풍요를 누리며 존경받는 나라, 문화 강국 대한민국을 향한 20년 대기획이 마련되길 소망한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교육부·여성가족부 장관 등 장관급 6명 인선…"상상력과 실천으로 난제 해결" (서울=이재명 대통령이 13일 교육부 장관, 여성가족부 장관, 공정거래위원장, 금융위원회 위원장 후보자를 지명하고 대통령 소속 국가교육위원장,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을 내정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인사에 대해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과감한 상상력과 신속한 실천으로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의 이날 브리핑에 따르면,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최교진 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이다. 중학교 교사로 시작해 교육감에 이르기까지 40여 년을 교육 현장에서 보낸 최 후보자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과 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내며 지역 균형 발전에도 깊은 이해를 쌓았다. 대통령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 이행에 핵심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원민경 변호사다. 민변 여성인권위원장과 국회 성평등 자문위원회 활동 등을 통해 여성과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에 앞장서 왔다. 원 후보자는 “양성평등은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인식 아래 통합과 포용을 바탕으로 성평등 사회 구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는 주병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지명됐다. 소득 불평등 해소와 공정한 경제체제 연구를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