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눈이 내리는 날, 시인의 귀환'

영혼은 몸속에 살고 있는 영원불멸의 생명 원칙...문화와 기억, 상상력은 정신에 속해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오늘도 눈이 내리 내요" 학인의 전화다. "무슨 말씀이세요. 4월인데요. 저 사는 동네, 성북동은 쾌청합니다." "아 네, 저의 마음에 눈이 내린다는 것입니다."

한동안 말을 잊지 못했다. 학인의 마음의 온도, 깊은 뜻을 헤아리지 못할 바에야 차라리 침묵이 대답이라는 생각이 든다, 눈이라는 것은 폭은 함을 상징도 하지만 매섭고 우중충한 날씨가 되기도 한다.

특히 시인들에게는 눈에 대한 인식이 트라우마인 경우도 있다. 시간은 1945년이다. 용정의 3월 초순. 눈이 내리고 있었다. 용정역에서 2백 리나 떨어진 두만강 변의 한국 영토인 상삼봉역(上三奉驛)에는 그날따라 정갈한 농지기(혼수 婚需의 전라도방언)를 입고 나온 시골 사람이 붐볐다.

눈은 내리면서 얼어붙고 있다. 그날의 눈은 눈물을 흘리면서 휘날리는 것이다. 모두가 긴장된 모습들이다.

"저기 온다, 저기." 시선들이 한곳으로 쏠렸다. 백발이 성성한 윤영석 앞으로 흰 상자 하나가 건네졌다. 차가운 시간의 공간에서 차가운 시선을 받으며 고인이 된 시인의 유골은 눈이 내리는 상삼봉역에 말이 없이 내린 것이다. 별의 시인, 서시의 동주는 말이 없이 돌아왔다.

모든 것이 멈춤의 침묵 속에 진행이 되고 있었다. 별과 노래한 시인에게 별들은 하얀 눈을 보내고 있다. 눈이 만가(輓歌)의 노래를 부른다. 이런 시간을 두고 납덩이가 무겁게 내려앉는다고 할까.

다시 유해는 아버지 품에서 아우 일주에게 옮겨졌다. 같은 교회를 나가던 교우들은 침묵으로 긴 행렬로 무겁게 발걸음을 딛는다. 김정구(1916~1998. 눈물 젖은 두만강)의 노래처럼 한 많은 두만강은 늘 한의 강 이려는가.

별의 시인은 꽁꽁 언 두만강을 건너 고향에 돌아왔다. 유골을 봉송하는 고향의 교우(敎友)들은, 뱀 꼬리 마냥 긴 행렬이다.

너무나 슬픔이 크면 눈물도 마르는 법. 조촐한 가족장이다. 집이며 교회의 뜰에서 거행된 장례식이다. 윤 시인의 집과 교회는 나란히 붙어있어 갖은 마당을 쓴다.

아버지 일가친척과 교회의 집사, 장로, 지도자와 유지들이 모여들었다. 조촐하고 무거운 장례식이다. '자화상(自畵像)'과 '새로운 길'이 낭독되었다. 연전(延專) 졸업 무렵, 교내 잡지 문우(文友)에 발표된 작품이다.

윤동주 시인의 할아버지는 손자가 의사와 같은 직업을 원했다. 그렇지만 시인은 자신의 혈관에 흐르는 시인의 물음에 답하고 말하고 싶다 했다.

영혼은 몸속에 살고 있는 영원불멸의 생명 원칙이다. 문화와 기억, 상상력은 정신에 속하는 것이다. 과학과 철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것은 인문학에 말하고 있다. 인문학 속에서도 해결이 되지 못한 것을 시가 말하려 한다.

할아버지와 가족은 윤동주 시인의 의견을 존중했다. 그런 가운데 굳은 결심으로 대한해협을 건넜다.

그런데 차가운 장송(葬送)의 노래를 가지고 귀국을 했다. 그 시인의 조부 윤하현과 부친 윤영석의 심정에 대하여 그 누가 헤아릴 수 있을까. 그들을 생각하면 학인처럼 마음에 함박눈이 하염없이 내린다.

제자를 먼저 보낸 어느 교수는 장송사(葬送辭)에서 이렇게 읊었다.

"그는 처음에 나의 제자였었고, 다음에 나의 친구였으며 나중엔 나의 스승이었다."

비록 손자요 자식이지만, 대의(大儀)에 순(殉)하고 높은 시혼(詩魂)에 불탔던 그의 죽음에 가치 부여는 어른들이 더 정중하였다.

묘비 '시인 윤동주 지묘(詩人尹東柱之墓)'는 다름 아닌 조부와 부친이 세운 것이다. 아직은 장한몽(長恨夢)에 조을고 있을 때 문단 밖의 시인에 머물러 있던 그에게 최초의 시인이 관사(冠詞)를 붙여준 처사는 진정 개화된 의식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비문을 짓고 쓴 이는 해사(海史) 김석관(金錫觀)이다. 순 한문으로 300자 정도의 비문이다. 조롱(鳥籠)에 갇힌 새가 때를 못 만났다는 내용이 새겨졌다. 당시의 시대상으로 옥사의 내력이 고스란히 엮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장지는 용정 동산이다. 지금도 별은 빛나고 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는' 삶을 살다가 시인의 추억은 겨레의 생명이고 등불로 활활 타오르고 있다.

청청히 벚꽃은 피고 있는데, 마음에 눈이 내린다는 학인의 마음을 알 것 같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신석정 시인 서거 51주기…부안 가을에 문학인들 모여 '서정의 혼' 기린다
(부안=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그대 앞에 봄이 있다"는 노래처럼, 가을빛으로 물든 부안에 다시 문학의 봄이 찾아온다. 한국 서정시의 거목 신석정 시인의 문학혼을 기리는 '신석정 시인 서거 51주기 추모기념식'과 '2025 대한민국 문학인 어울림한마당'이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부안군 일원에서 펼쳐진다. 이번 행사는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가 주최하고, (사)신석정기념사업회·전북문인협회·석정문학관·석정문학회가 공동 주관한다. 전국 지회·지부 문인 300여 명이 부안에 모여 신석정 시의 세계를 되새기고, 부안의 가을 정취와 함께 문학의 향기를 나눌 예정이다. 행사 첫날인 29일은 문학학술포럼과 세미나, 시화전으로 막을 올린다. 신석정의 대표 시집 <촛불>을 중심으로 서정과 사상의 동일화, 시에 담긴 유토피아적 인식과 생태정신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연구발표가 이어진다. 학자와 시인들의 발표 속에서 신석정의 시어는 여전히 오늘을 밝히는 등불임을 확인하게 된다. '석정시 컬로퀴엄'에서는 가족과 제자, 동료들이 기억하는 인간적인 신석정의 모습이 공개된다. 동시에 한국수필예술극단이 준비한 창작 수필극 '못다 부른 牧歌'가 초연되고, 시극과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남인순 의원, "노후 특수의료장비 보험수가 개선 필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보건복지위원회·서울 송파구병)은 29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대한영상의학회,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함께 '환자 안전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노후 특수의료장비 보험수가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2000년대 이후 MRI(자기공명영상장치), CT(전산화단층촬영장치), Mammography(유방촬영용장치) 등 고가 특수의료장비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의료영상의 질 관리와 사후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3년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어 장비 품질검사를 통해 저화질 영상 장비 사용을 제한해 왔다. 그러나 현행 건강보험 수가체계는 장비 성능이나 사용 연수를 반영하지 않는 단일 구조다. 이 때문에 장비 노후화로 인한 진단 정확도 저하와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 문제에도 동일한 수가가 적용돼, 의료기관이 신형·고사양 장비를 도입할 유인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노후 특수의료장비 실태 점검 ▲환자 안전 및 의료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수가체계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다. 행사는 남인순 의원의 개회사와 정성은 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