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와미래위원회는 선대위 교육대전환위원회 유기홍 위원장, 노동위원회 이수진(비례) 위원장, 이신철(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소장)이 공동으로 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안병욱(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조광(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김도형(전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주진오(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장), 이준식(전 독립기념관 관장), 박찬승(한양대 명예교수) 등이 고문으로, 정용욱(서울대 교수), 김현철(서울대 교수), 이지원(전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이나영(중앙대 교수), 김광운(경남대 초빙석좌교수), 한홍구(성공회대 교수), 오항녕(전주대 교수), 하종문(한신대 교수), 허영란(울산대 교수), 정진아(건국대 교수) 등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했다.
선대위에 따르면 향후 뜻을 같이 하는 국회의원과 민간 위원들을 계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유기홍 공동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내년은 간토대지진 조선이 학살 사건 100주기가 되는 해로 아직 진상규명도 다 이뤄지지 못했고, 일본군‘위안부’ 문제 등 해결하지 못한 역사문제들이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 고 지적하며 “오늘 출범하는 역사와미래위원회를 통해 관련 단체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입법활동을 통해 역사정의 수립에 박차를 가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이수진(비례) 공동위원장은 역사문제와 노동문제의 불가분을 언급하면서 앞으로도 강제동원 노동자문제와 일본군‘위안부’ 문제 등 현안 해결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고 입법을 통한 문제 해결에 힘을 보탤 것을 다짐했다.
이신철 위원장을 비롯해 참석 위원들도 정부 역할의 중요성과 책임을 강조하고 20대 대통령과 함께,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역사정의와 평화공생의 미래를 향한 대한민국 역사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을 공표했다.
출범식에는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역사정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용만 위원장(백범 김구 선생 증손자)도 참석해 "역사를 제대로 바로보고 정의를 실현한다는 역사와미래위원회의 취지에 공감"하며 "그릇된 역사인식으로 과거의 상처가 미래의 상처로 이어지지 않도록 역사와미래위원회가 역할을 충분히 해주실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진 출범선언을 통해 역사와미래위원회는 식민과 냉전의 피해를 겪은 대한민국이 민주주의와 산업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국가가 되었음에도 아직 피해자들의 고통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고, 피해사실 조사, 명예회복, 기억·기념 사업 등을 포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역사정책을 수립하고 실천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또 가해국 일본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역사정의를 실천하고, 이를 통해 피해자의 명예회복은 물론 올바른 역사교육과 동북아 평화를 주도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함께 해 줄 것을 호소했다.
한편, 출범식 이후에는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나영), 민족문제연구소(김영환),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김명준), 우키시마호 폭침 희생자 유족회(김영채), 군무원유족(윤경남), 강제징용피해자유족(임명순), 강제동원피해자유족(이윤재), 1923한일재일시민연대(김종수, 서면제출) 등이 참석한 정책 간담회가 개최되었다.
이들 피해자와 단체들 역시 피해자들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고, 대통령선거 공약에 자신들의 문제를 포함시켜 줄 것과 향후 실천을 반드시 담보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단체들의 경우는 각 단체의 요청사항을 문서로 전달하기도 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