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성탄절이면 붉은색의 옷과 붉은 모자를 쓰고 세계의 20억 명의 어린이가 사는 7500만 가구를 하룻밤에 돈다. 굴뚝이나 창문으로 들어가 선물을 놓는다. 이 때문에 마블 코믹 속 대영웅 앤트처럼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가설이 등장해야만 산타가 성탄에 선물 배달을 끝낼 수 있다.
오늘날 택배의 시작은 산타가 선배다. 그렇다면 그들이 입은 빨간색은 어느 학문에 속할까? 현대물리학에서는 아무런 조건 없이 빛과 색채에 대한 뉴턴(1816~1894. Sir Charles Thomas Newton. 영국)의 이론을 받아들였다.
빛은 온도가 6천도에 육박하는 천체인 태양으로부터 온다. 그것을 현대물리학에서는 백색 광선이라 한다. 시인이며 색을 가장 많이 연구, 분석한 사람은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 Johann Wolfgang Von Goethe. 독일)다. 그는 일생을 뉴턴의 이론과 싸웠다. 아서라. 오늘은 학문적인 이론보다 성탄의 색인 붉은 색만을 이야기하기로 하자.
붉은색은 권위적이거나 상류층의 힘과 권력의 상징이다. 붉은색의 상징은 뭐니 뭐니 해도 붉은 장미를 빼놓을 수 없다. 방식 명장이 주장하는 붉은 색의 우월은 붉은 장미의 역할이 컸다. 붉은 장미에 대한 시는 수만 편이다. 장미의 이름을 가진 여성의 이름도 많다.
레드는 본능이며 천연색의 매력을 인지하는 눈이 좋아하는 색이다. 신석기시대부터 흙과 돌, 곤충과 꽃, 풀 등에서 얻은 자연 재료부터 염료를 만들어 냈다.
우유를 싫어한 아이들에게 빨간빛 색소를 넣어서 우유를 좋아하게 되기도 했다. 우유에는 '코치닐'이라는 염료를 쓰는데 코치닐은 남아메리카의 선인장에 붙어사는 벌레인 '코커스 칵 티'로부터 얻었다. 하지만 코커스로부터 얻은 붉은 색은 알레르기나 비염의 부작용을 일으켰다.
16세기 초반 멕시코에 살던 아즈텍족이 성분이 우수한 천연, 붉은색 코치닐을 비밀리에 쓴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에서 코치닐 때문에 에스파냐 무역선을 약탈하고 색상의 원인을 알기 위해 스파이를 보내기도 했다.
이토록 붉은색에 대한 집착은 커져만 갔다. 유럽에서는 붉은색은 이미 상류사회의 상징이었다. 4세기 소아시아(현 터키)의 대주교였던 성 니콜라 오(270~343)가 붉은색의 옷을 입었다는 설도 있다. 거기에서 산타의 옷이 유래됐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물론 코카콜라가 상업적으로 만든 옷이라는 설도 무시하지 않는 것이 여유롭고 폭넓은 의견이 된다. 한국에서는 붉은색에 대한 이미지는 양면성을 가진다. 붉은색은 악마의 색이라 한다. 사상이 불온한 자들은 빨갱이라 한다. 말은 그렇지만 정치적으로 붉은색을 상징으로 하는 당도 있다.
한국에 프로야구가 태동하면서 해태 타이거즈는 붉은색의 단체복을 입으면서 김응용 감독이 1983년~2000년, 이 기간에 무려 우승을 9회(1983년, 1986~1989년, 1991년, 1993년, 1996~1997년) 했다. 한국에서 치른, 2002년 월드컵 응원복은 붉은색이었다. 붉은 악마의 응원과 선수들의 붉은 단체복이 준 열정은 4강 신화를 만들기도 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에는 의례 붉은색 고추장이 들어간다.
흰빛과 빨간색은 겨울의 상징이다, 흰색은 겨울에만 볼 수 있는 하얀 눈 때문이다. 붉은색은 산타클로스의 익숙한 이미지다. 연말 시상식에는 레드 카펫을, 크고 작은 크리스마스트리에는 빨간 구슬을 사용된다, 흰 눈이 쌓인 길가에는 진한 붉은 색을 자랑하는 포인세티아를 흔히 볼 수 있다. 레드 카펫은 귀한 귀빈에게 맨땅을 밟지 않게 하겠다는 극진의 상징이다.
인간에게 빛을 감지하는 망막은 붉은색과 녹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매우 탁월하다. 이 때문에 생존에 필요한 음식을 선택할 때도 색상이라는 영향력을 발휘한다.
광학 저널과 여러 논문에 따르면 붉은색은 남성과 여성을 이어주는 가장 연관성이 많은 매개체로 작용을 한다. 논문은 남성은 붉은 계통의 옷을 입은 여성에 더 많은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대로 빨강 색이 남성적인 매력을 더울 강화해 준다는 연구도 있다.
영국, 미국, 독일, 중국의 공동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남성이 빨강 옷을 입거나 빨간색의 넥타이를 매면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남성 호르몬이 다 많이 분비되며, 동시에 여성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인 것으로 분석이 됐다.
겨울의 눈도 붉은색을 좋아한다. 붉은색은 늘 혁명을 꿈꾼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