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2년 시작으로 미술부문 한국화는 허백련 미술상, 서양화는 오지호 미술상으로, 올해까지 30년째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수상자에게는 광주광역시가 다음해에 문화예술 창작활동을 지원한다.

미술가이자 이론가인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총감독 안재영 교수(전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는 허백련미술상에 관련하여 "삼십년 동안 허백련 미술상에는 장우성, 김기창, 서세옥, 윤애근, 이돈흥, 방의건, 허진, 김병종 작가가 수상하였고 특별상에는 박문수, 조문현, 이창훈, 박소화, 작가를 배출하며 남도 한국화 화단을 이끌어가는 명예로운 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고 전했다.
안 교수는 이어 "수상자 명현철 작가의 점(點)들을 조금 들어다보면 내재된 다른 모습도 보이고 보이는 것이 결코 전부가 될 수 없는 것처럼 다가온다"며 "혼합재료나 황토, 먹, 채색 등을 이용해 나무에 그려낸 반복된 점(點)이 잎으로 보인다. 왠지 잎을 따서 두면 금방 향이나 나무의 싸한 맛이 사라져버릴 것 같다며 명 작가는 남도화단을 중심으로 꾸준하게 작품성과를 보이며 화단의 전문가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는 작가다"고 말했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올해로 30년째를 맞은 문화예술상은 유능한 문화예술인을 발굴해 예향 광주의 위상과 문화적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