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9.6℃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17.4℃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3.0℃
  • 맑음보은 15.9℃
  • 맑음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9.1℃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여행은 키스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은 천국의 편지…여행은 늘 자연과 부딪치는 키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키스는 내가 하는 것이 아니다. 여행도 내가 스스로 걷는 것이 아니다. 설레거나, 벅찬 감정의 순간을 심장(心臟)이 시키는 것. 한시도 멈춤 없는 심장은 키스나 여행에 대하여 관심이 크다. 그것은 설렘이 부딪히는 결정체다. 결국 부딪치지 않는 것은 불륜일까?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의 문이 닫혔다. 여행을 못한 사람들의 우울게이지가 100이다. 새해, 비행기와 배를 타지 않고 국내여행의 '걷기 코스'를 잡는 것은 어떨까.

서울의 걷고 싶은 길, 1위는 덕수궁길이다. 남대문을 오른편에 두고 덕수궁 길을 돌아 정동으로 이어진다. 작은 언덕을 오르면 서울시립미술관이 된 옛 대법원이 있다. 정동교회(1882년)는 붉은 벽돌 교회로는 나지막한 것이 오히려 높은 천국이 가깝다.

교회는 한국 최초로 지어졌으며 민주화의 성지 역할을 했다. 조금 지나면 러시아공사관이 나타난다. 구한말에 지어졌으나 가슴 저린 사연을 담고 있다. 순종이 커피를 처음 맛본 장소다. 장인의 손길이 만든 돌담길은 태평로의 번잡함을 잠재우고 정동으로 이어진다.

이 고즈넉 분위기가 팡세가 말한 '군중속의 고독'일 것이다. 그곳은 시간을 거꾸로 돌린다. 이국적인 분위기, 심장이 뛰면서 안내 한다.

어느 해 정초였다. 이 길을 걷는데 함박눈이 눈앞을 가렸다. 선(線)으로 지어진 덕수궁 기와지붕위에 함박눈이 겨울그림을 그렸다. 궁궐에 내리는 눈은 왕들의 눈이다. 그것은 '겨울연가'와 '러브스토리'의 영상처럼 기억의 시간을 만든다.

함박눈은 덕수궁을 걷는 이들의 이마에 부딪치며 무슨 말인가 하고 싶다. 시인은 말한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은 천국의 편지다. 편지를 받아 읽는 자는 마음이 가난한 자다. 한복차림의 젊은 연인들은 휴대폰을 꺼내들고 눈의 결정체포착에 여념이 없다. 외국인들은 하늘을 향하여 그만 넋을 놓는다.

함박눈과 조우(朝雨)는 예고된 일도 아니다. 뜻하지 않는 우연이다. 여행은 늘 이렇게 자연과 부딪치는 키스다. 그칠 줄 모르는 함박눈을 맞으며 돌담길 따라 구불구불한 길을 걷는다. 이곳에서 한발 한발 내 딛는 것은 역사의 시간이다.

시청별관 스카이라운지에서 덕수궁을 바라보는 것은 조선 왕조 600년 위엄이 들린다. 얼굴이 들여다보이는 아메리카노가를 들고 창가에 앉아 덕수궁정경을 담는다. 비행 중 구름을 내려 보는 그것이다. 덕수궁 길은 언제나 평온하다. 가끔씩 차들이 일방통행으로 지나갈 뿐, 걷는 사람은 추억의 시간을 주머니에 넣는다.

'걷고 싶은' 거리 2위는 성북구의 성곽길이다. 구 시장관사는 성곽위에 지어진 건물이다. 한양이었던 그 시절을 잠시 여행하도록 자료들이 정돈되어 있다. 성곽을 따라 따라가면 플로리스트 박물관이 보인다.

플로리스트 박물관은 세계최초로 꽃을 주제로 한 박물관이다. 박물관 설립자는 방식(독일 상공부가 수여한 독일명장)회장이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드라이플라워를 도입한 꽃장식가다. 300여 평이 되는 정원에는 천여 종의 식물이 있다. 설립자가 세계 여러 나라 여행 중, 우리나라에 없는 식물들을 하나씩 들여온 종들로 채워졌다.

1, 2층에는 방식명장이 손수 만든 작품들이 있다. 콩 중에서 제일 크다는 콩도 있다. 어린아이의 주먹 정도다. 물속에서 3년을 떠다니면서 싹이 튼다. 꽃장식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박물관이다.

어머니를 주제로 한 골무의 벽면 장식은 장관이다. 무려 1만개의 골무를 한 땀 한 땀 바느질로 만든 작품이다. 방식 명장이 새벽이면 일과를 시작하기 전, 한 시간여씩 공들인 작업의 결과다.

백남준(1932~2006) 아티스트는 비디오를 통하여 20세기에 살고 있는 예술가들의 심장에 충격을 주었다. 예술가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굿모닝 미스트 오웰'의 작품에 감동을 받았다. 우스개로 백남준 작가는 예술가들의 생명을 연장시켰다.

예술가들에게 예술로 충격을 먹이면 심장이 강해진다는 속설이다. 방식 명장도 백남준 작가와 더불어 비범(非凡)의 작품을 보여준다. 박물관 1층 공간의 천정은 식물들이 자라며 꽃을 피우고 있다. 유리천정은 구름이 흐르는 모습이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곳들이 우리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어떤 의미에서는 그래서 더 고즈넉하다. 우리, 새해는 심장이 키스 하게 하자. 걷고 싶은 거리를 심장이 시키는 대로 걷자. 키스는 여행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재)송호·지학장학재단, '제39회 송호장학금' 및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국내 굴지의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가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송호지학장학회관 지학홀에서 오는 10월 28일(화) 오후 2시, '제39회 송호장학금'과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이 열린다. 이번 수여식은 재단법인 송호·지학장학재단(이사장 정희준)이 주최하는 연례 장학행사로, 올해는 총 35명에게 1억 1천8백만 원의 장학금 및 연구비가 전달된다. 화성에서 피어난 39년의 교육 나무 '송호·지학장학재단'은 고(故) 정영덕 선생이 1985년 고향 화성 지역의 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한 '송호장학회'를 모태로 한다. '송호(松湖)'는 선친의 아호로, 선친의 뜻을 이은 장남 정희준 이사장이 2009년 재단법인으로 확대 개편하여 현재의 송호·지학장학재단으로 이어오고 있다. 1987년부터 시작된 '송호장학금'은 화성 시내 고교 재학생 중 학업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발해 지원해 왔으며, 올해 역시 화성 남양고등학교 재학생 10명에게 총 1천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한편 2010년부터 시행된 '지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장학 제도로, 실질적 연구성과를

정치

더보기
용혜인 의원 "선방한 협상… 국민경제 대개혁으로 나아가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는 30일 29일 타결된 한미 무역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국익 중심의 전략적 협상을 통해 선방했다"며 "이제 국민경제의 대개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용 대표는 이날 논평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과도한 압박 속에서도 정부가 원칙을 지켜냈다"며 "현금 3,500억 달러의 '묻지마 투자' 요구를 거부하고, 외환시장 충격을 최소화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주력 수출품의 대미 관세율을 유럽연합과 일본 수준으로 맞추고,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을 막아낸 점은 큰 성과"라며 "정부와 민간이 국익을 중심으로 협력한 결과, 이번 협상은 '선방'이라 부를 만하다"고 강조했다. 용 대표는 그러나 "이번 협상이 한국 경제의 구조적 한계를 다시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과도한 대미 수출 의존과 불균형한 재정·외환 운용, 그리고 국민에게 환원되지 않는 대기업 중심의 수출 구조가 여전히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수출대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국민의 세금이 투입된다면, 그 성과 또한 국민이 나눠 가져야 한다"며 "기업의 이익이 국민의 이익으로 환원되는 구조, 즉 '공유부 기본소득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