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9 (일)

  •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6.7℃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광주시, 귀성객 맞아 다채로운 문화관광 프로그램 운영

‘5‧18 택시운전사’ 등 도심투어…광주디자인비엔날레 등 문화행사도
국립광주박물관‧시립미술관‧우치공원 등 10월9일까지 무료 개방

(광주=미래일보) 이중래 기자 = 올해 추석명절은 102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10일간의 연휴를 지내는 만큼 올해 귀성객도 어느 해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시는 고향을 찾은 귀성객들이 광주의 곳곳을 살피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을 대거 마련,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최근 화제가 된 영화 택시운전사에 등장한 역사적 현장을 직접 둘러볼 수 있는 프로그램은 물론 예스러운 관광 프로그램, 체험 행사 등 다채롭게 준비했다. 세계 30개국이 참여해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디자인비엔날레 역시 추석 연휴 중 만나볼 수 있다.

 

요즘 가장 뜨고 있는 관광 프로그램은 단연 518 사적지 탐방 프로그램인 광주로 갑시다. 영화 택시운전사흥행을 계기로 광주를 찾는 탐방객에게 제공하고자 마련된 이 프로그램은 추석연휴 기간인 30~101, 107~8일 등 주말마다 운영된다. 하루 2대의 택시가 투입돼 오전오후 두 차례, 40회 운영된다.

 

코스는 광주송정역과 광천터미널에서 출발해 518자유공원~시청(힌츠페터 추모사진전)~국립518묘지~구 광주MBC~구 적십자병원~구 전남도청(민주광장)~금남로를 거쳐 다시 송정역으로 돌아오는 방식이다.

 

운전과 해설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소개가 가능한 개인택시 운전사가 맡는다. 탑승 신청은 광주문화재단 홈페이지(www.gicf.or.kr)로 하면 된다.

 

또한 광주시는 도심관광 트레일과 관광자전거 여행, 시티투어 버스, 역사문화 관광 프로그램 등을 상시 운영하고 있다.

 

도심관광 트레일은 무료로 운영되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 광주 출신 명사의 발자취를 따라 역사문화예술자원을 살펴보는 방식이다.

 

연휴 중 매주 토·일요일마다 김현승의 플라타너스길 허백련의 예술유람길 정율성의 음악산책길 K-POP 아이돌골목길 민주열사의 오월길 등 5개 코스가 운영되며 도심관광해설사가 설명을 맡는다.

 

자전거를 타고 도심여행도 떠날 수 있다. 광주시는 역사와 문화, 생태환경이 공존하는 빛고을 광주의 볼거리를 소개하기 위해 2015훈이오빠관광자전거를 도입했다.

 

관광객은 자전거 뒷좌석에 앉아 라이더의 설명을 들으며 숨겨진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코스는 아시아문화전당, 대인시장, 충장로, 예술의 거리, 동명동, 양림동 등 총 5개다. 매주 토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즐길 수 있다.

 

좀더 넓은 지역을 살펴보고 싶다면 빛고을 시티투어 버스가 좋다.

 

매주 토일요일에 오전 830분부터 오후 745분까지 운영되는 빛고을 시티투어는 광주송정역에서 출발해 김대중컨벤션센터~광주시청~광주종합버스터미널~중외공원(미술관 입구)~국립518민주묘지~광주호수생태원~분청사기전시실~무등산(충장사)~지산유원지~남광주시장(푸른길)~양림동역사문화마을(선교사 유적)~국립아시아문화전당~대인예술 야시장~광주공원(빛고을시민문화관)~월드컵경기장(광주김치타운)~광주송정역 등의 순서로 돈다.

 

하루 총 9회 운행하며 순회 간격은 60~90분이다.

 

광주의 풍류를 즐기고 싶다면 풍류남도나들이를 추천한다. 상시 개최돼 온 풍류남도나들이는 추석 연휴기간인 30일과 107일에는 더욱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귀성객을 맞는다. 환벽당, 취가정, 식영정 등 누정별로 체험, 교육, 공연 프로그램이 개최되므로 취향별로 골라 즐기면 된다.

 

환벽당에서는 전통책 제작, 독서대 낙죽체험 등으로 구성된 환벽책와 한자 및 인문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환벽추구학당등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식영정에서는 선비복을 입고 다례, 서화를 체험하는 식영풍류도원과 가사문학에 대해 배우는 식영인문학당등이 이뤄진다.

 

취가정 프로그램은 전통음식을 만드는 취가화전놀이와 김덕령장군을 체험하는 나는 김덕령이다등으로 구성됐다.

 

국제적 메가 이벤트를 만날 기회도 있다. 광주시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프린지페스티벌30일 오후 3시부터 8시까지 518민주광장에서 펼쳐진다. 이번 행사는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공연팀이 대거 참여해 다양한 마임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아시아마임캠프로 꾸려진다. 주제는 이심전심이다.

 

107일 오후 2시부터 8시까지 진행되는 프린지페스티벌은 뷰티카니발쇼로 준비됐다. 주제는 () 열정으로 메인 프로그램 변신’ ‘사랑등을 포함해 다양한 공연이 진행된다. 또 뷰티 관련 산업, 전시, 체험부스도 운영된다.

 

예술의 거리에서는 도심을 찾은 관광객들에게 광주의 매력을 알리는 행사가 진행된다.

 

30일에는 광주아트페어와 연계해 드로잉하는사람들이라는 주제로 드로잉퍼포먼스’, ‘자화상그리기’, ‘인간군상만들기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거리에서 펼친다.

 

107일에는 고향에 내려온 가족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거리의마술사라는 주제로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좋은 과학마술쇼’, ‘버블매직쇼등을 선보인다.

 

예술의거리의 숨겨진 명소와 갤러리를 미션투어방식으로 둘러보는 스탬프투어와 예술로 마음을 치유하는 미술심리치료’, ‘첫사랑칵테일바’, ‘걱정인형만들기등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특히 축제가 열리는 토요일에는 한복체험, 다례체험, 사군자그리기, 쌍륙놀이, 팽이만들기, 들꽃자수 놓기 등 다양한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도 있다.

 

추석 연휴 광주에서 절대 놓치지 않아야 할 프로그램을 꼽는다면 북구 용봉동 비엔날레관에서 열리는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있다.

 

광주 대표 예술 축제 중 하나로 올해 7회째를 맞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는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중국, 베트남 등 34개 국 디자이너 등 485, 367개 기업이 참여해 미래들’(FUTURES)을 주제로 1341개 전시 아이템을 선보인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에서의 디자인 역할과 비전을 미리 들여다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특히 비엔날레재단은 추석을 맞아 광주 충장로 한복소공인특화지원센터와 공동으로 디자인비엔날레 전시관에 전통한복 무료 체험장을 설치, 운영한다.

 

체험장 운영기간은 103일부터 5일까지로 이 기간 성인 남, 어린이용 등 3벌로 구성된 가족용 한복 3세트를 무료로 빌려준다. 특히 한복을 입고 디자인비엔날레를 관람하면 입장권을 50% 할인 판매한다.

 

더불어 같은 기간 무등울림축제 사무국과 연계해 전통의상 무료 체험장도 운영한다. 궁중한복, 장군복 등 전통 전통의상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103~9일에는 외국인 근로자들과 유학생, 다문화가족의 경우 입장권을 50% 할인 판매하는 이벤트도 벌인다.

 

연중 운영되던 미디어아트 플랫폼도 추석 연휴에 특별한 프로그램을 내놓는다.

 

빛고을시민문화원에 자리잡고 있는 미디어아트 플랫폼은 930~31일과 107~8일 등에만 운영된다.

 

이 기간 홀로그램 극장은 스타들의 홀로그램 콘서트 ‘K-POP 공연과 교육용 홀로그램 다큐 인체의 신비’, 홀로그램 유아 뮤지컬 번개맨과 먼지괴물’, 홀로그램 어린이 뮤지컬 메이플스토리등을 상영한다.

 

미디어 놀이터에서는 아티스트와나’ ‘미디어바다’ ‘바람의공간’ ‘창조의벽’ ‘미디어마당’ ‘미디어곤충채집’ ‘액티브퍼즐등 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체험전시 콘텐츠 7종이 전시된다.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옥상 홀로그램 파사드에서는 518민주광장, 양림동근대문화마을 등 광주의 상징적 장소를 옥상 홀로그램으로 선보인다.

 

복합전시장 미디어338’에서는 미디어 아티스트 진시영 작가의 ‘2017유럽그랜드아트투어-다큐르포&미디어아트과 이이남 작가의 VR체험전시 혼혈하는 지구등을 만날 수 있다.

 

디지털 갤러리와 미디어아트 아카이브에서는 광주 미디어 아티스트 김명우 등 15인의 작품 디지털 소스 등도 공개한다.

 

광주아트페어, 광주디자인비엔날레와 동행하는 의미로, 대인예술시장에서는 별장프로젝트가 29일과 30일 이틀 동안 아트주간 특별한 별장을 진행하고 추석연휴 기간인 107일에도 개장한다. 특히 지역 디자인학과 학생들과 청년 작가들이 참여하는 아트주간 특별한 별장에서는 다양한 디자인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유별난 예술극장(주차장)에서는 별장 세레나데와 더 드림 앙상블의 성악·현악연주와 더 드림 싱어즈의 혼성 성악공연, 남성 성악팀 SC 싱어즈의 클래식 공연 등이 가을소야곡의 정취를 전달한다.

 

한평갤러리에서는 파인더(finder)’를 주제로 30일까지 여덟 번째 전시회가 열리고 대인수산주차빌딩 5층에 위치한 대인문화창작소 지음에서는 이명은 작가가 일상예찬을 주제로 30일까지 릴레이 전시 구색을 맞추다를 이어간다.

 

추석 연휴 기간인 107일에는 별달거리 별장이라는 주제로 판소리, 한국무용, 전통현악기 연주 등 전통예술 공연과 민화그리기, 탈만들기 체험 등이 진행된다.

 

30일에는 풍암호수공원에서 아트피크닉이 열린다. 이번 행사에서는 하모니카 공연, 레크리에이션, 아트 동화나라, 원예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무료로 알차게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도 풍성하게 준비됐다. 국립광주박물관은 30일부터 109일까지 무료 개방한다. 이 기간 상설특별전시를 비롯해 유물관람, 어린이 체험관, 가족영화관 등이 모두 운영된다. 단 추석 당일은 휴관이다.

 

광주시립미술관도 정기휴관일인 102, 9일과 추석 당일인 104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무료로 개방한다. 본관에서 미술전시는 물론 하정웅미술관, 어린이미술관,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무료로 즐기는 재미가 쏠쏠하다.

 

광주민속박물관도 시립미술관과 같은 날을 제외하고는 모두 무료로 문을 활짝 연다. 추석 기간에는 민속놀이, 전통문화, 송편빚기 체험, 민속공연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전라도 김치의 모든 것을 살펴볼 수 있는 광주김치박물관도 102, 4, 9일을 제외한 모든 날 개방한다. 특히 자전거 대여, 놀이기구 이용, 김치담그기 체험 등 프로그램을 마련, 관람객 편의를 돕는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도 102, 4, 9일만 문을 닫고 홍보관, 유네스코기록물, 영상관, 현장체험 등 프로그램을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한다.

 

우치공원은 추석 당일에도 쉬지 않고 매일 문을 연다. 동물원 관람, 동물 먹이주기 체험, 생태해설 등이 계속 이어지니 가족단위 나들이객이 찾기 좋다.



◆ 2017 추석명절 맞이 문화행사 계획

행사명

주최 및 주관

(연락처)

일 시

장 소

행사내용

광주프린지

페스티벌

광주문화재단

(010-6632-1324)

2017. 9. 30.

5.18민주광장

아시아마임

(해외4, 국내8)

대인예술야시장

전라도지오그래픽

(010-5351-3522)

2017.9.29.

9.30, 10.7.

대인시장

공연, 예술작품 전시,

먹을거리

궁동예술의 거리

다정다감

(016-658-58417)

2017. 9.30,

2017.10. 7

궁동예술의거리

예술체험프로그램

공공미술, 문화공연

누가(樓歌,WHO)”

풍류남도 나들이

광주문화재단

(062-232-2153)

2017. 4. 22

~ 10.28

(14:00~17:00)

환병당, 취가정, 식명정,

한국가사문화관 등

매주 토요일에 누정,

가사문화권에서

다양한 선비풍류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미션투어

2017 광주디자인

비엔날레

()광주디자인센터

(062-611-5130)

2017. 9. 8.

~ 10. 23

비엔날레전시관,

시립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본전시, 특별전,

특별프로젝트,

체험 및 이벤트

2017 한가위

민속문화 한마당

광주시립민속박물관

(062-613-5338)

2017. 10. 3.

~ 10. 6.

광주시립민속

박물관 야외마당

전통문화체험(민속놀이,

차례상 차리기 등),국악

공연,무료음식(올벼쌀,

전통차)나누기 등

시립미술관 전시

(The 4th Media

Art : Post Human)

시립미술관

(062-613-7141)

2017. 9. 1.

~ 11. 5.

시립미술관 본관

광주디자인

비엔날레 특별전

시립미술관 전시

(근원 구철우 서예전)

시립미술관

(062-613-7143)

2017. 8. 10.

~ 11. 26.

시립미술관 본관

근원 구철우 선생

서예 작품

시립미술관 전시

(소장품전 "남도가

낳은 예술가들")

시립미술관

(062-613-7142)

2017. 7. 27.

~ 2018. 1. 28.

시립미술관 본관

시립미술관 소장

작품 전시

시립미술관 전시

("완행버스")

시립미술관

(062-613-7132)

2017. 9. 23.

~ 10. 22.

하정웅미술관

하정웅컬렉션

작가 작품 전시

시립미술관 전시

(박하선 개인전)

시립미술관

(062-613-5402)

2017. 9. 5.

~ 11. 5.

사진전시관

사진작가 박하선

고구려 주제 전시

2017년 한가위

우리문화한마당

국립광주박물관

(062-570-7016)

2017.10. 3.

10.5.~9.

국립광주박물관 내

(교육관 주변)

전통놀이체험, 어린이

공연 (마술&버블),

유진박밴드 추석 특별

공연, 가족 영화상영 등

무등울림축제

광주문화재단

무등울림추진위원회

(062-232-1599)

2017. 10. 7

~ 10. 9.

전통문학관

개막식(체험·참여 프로

그램, 가훈써주기,

줄타기 등 개막공연)

전국국악대제전 등

한가위 맞이

한마음 한뜻 연날리기

첨단청년회

(010-2784-5293)

2017. 9. 23.()

14:00~21:00

쌍암공원

송편만들기, 연날리기,

전통전래놀이 등

7회 삼도동민

추석 맞이 주민화합

노래자랑

삼도청년회

(010-3124-7295)

2017. 10. 3.()

17:00~22:00

삼도초등학교

운동장 특설무대

풍물놀이, 무대공연,

주민노래자랑 등

7회 송정골

전통민속놀이대회

송정2동 주민자치위원회

(010-3605-8999)

2017. 10. 12.()

13:30~17:00

송정5일시장 주차장

전통민속놀이대회,

한복체험, 노래자랑 등

용봉골 지구촌

작은마을

사랑나눔 한마당

용봉동지역사회

보장협의체,

용봉동행정복지센터

(062-410-8665)

9. 27.()

15:00~

용봉동

공용주차장

전통문화 체험

(송편빚기, 김치담그기,

전통놀이),

외국문화 체험 등

지역주민한마당

오치골축제

오치종합사회복지관

(263-8200)

9 .27.()

15:00~20:00

오치종합사회복지관

체험행사

(송편빚기,벼룩시장 등)

문화공연

2017년 제3

추석맞이 노래자랑

( “나도 가수다” )

광주광역시남구

장애인종합복지관

(611-1913)

’17. 9. 27.()

13:30~16:00

광주광역시남구

장애인종합복지관

3층 강당

식전행사, 개회식,

노래경연 및 축하공연

2017 노대골

한가위 대잔치

노대청년회

(671-1003)

’17. 10. 3.()

20:00~23:00

노대마을회관

풍물패공연, 참가자

노래 및 장기자랑,

초대가수 공연

독거어르신

합동차례상

차려드리기

충장동 주민복지공동체

(062-608-3510)

’17.09.26.

16:00

충장동 주민센터

3층 대회의실

합동차례 지내기

명절음식 함께하기

윷놀이 행사

추석맞이 동천동

전래놀이 한마당

동천마을1단지

임차인대표회

(062-410-8707)

’17. 9. 22()

16:00

동천마을1단지 내

전래놀이 및 체험,

나눔마당

서창골 주민화합

한마당

송학축구회

송학산학회

(062-350-4462)

’17. 10. 3.()

19:00

송학초교운동장

노래자랑, 공연,

서창골 주민화합잔치 등

유덕동 한가위 주민

노래자랑

유덕동 유촌청년회

(062-350-4302)

’17. 10 3.

~ 10. 4.

유덕동주민센터

주차장

노래자랑행사


chu7142@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박찬대 의원, "특전사의 이례적인 '호남 교도소' 집중 투입, 내란 대비 대규모 구금 시설 확보 의혹 규명 필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국방위원회, 원내대표·3선)은 "특전사 7공수 부대가 호남 지역 교도소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 임무를 수행한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전례 없는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해 명확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찬대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12.3 불법계엄 선포 9개월 전,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7공수특전여단(이하 : 7공수)은 2024년 3월부터 교도소와 한국은행, KBS방송국 등을 총 17차례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교도소는 호남 지역(군산·정읍·전주)에 집중됐으며, 해당 시설에 대한 내부 사진 촬영과 설계도면 확보가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7공수가 단기간에 교도소를 비롯한 중요시설 등을 반복적으로 진입한 점은 7공수 자체적으로도, 다른 특전여단과 비교하더라도 ‘이례적’이다. 박찬대 의원이 특수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특수전사령부의 국가중요시설 현장확인 임무 수행 현황’자료에 따르면, 7공수는 9년(2015년~2023년) 동안 해당 임무를 수행한 적이 단 한 건도 없었으나, 24년 3월부터 국가중요시설에 대해 총 17차례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 12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