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9월 22일부터 9월 27일까지 열리는 이번 개인전은 '臥遊山水(와유산수) - 꽃을 피우다' 라는 타이틀로 한국적 색채감에서 오는 생등감과 대조시켜 현대적 감각의 입체적 산수풍경을 볼 수 있다.
김기나 작가의 작품을 보면 색한지와 오방색을 소재로 한국적 산수화에 편안한 안식처와 같은 고향, 아늑한 그리움이 배어있는 산수풍경을 통하여 그림을 바라볼수록 대중들에게 희망과 행복을 선사한다.

임 교수는 이어 "종병(宗炳)의 그림에 대한 태도는 자아성찰(自我省察)이라는 심오한 경지로부터 보고 즐기는 대상으로서의 소박한 마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아우르는 것"이라며 "김기나 작가는 단청(丹靑)을 연상시키는 오방색(五方色)의 한지와 헝겊, 수묵채색을 혼용(混用)함으로써 전통 수묵산수화풍을 탈피하여 현대적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그러면서 "잊혀져가는 전통과 옛 정신을 살리면서 오늘을 사는 작가로서 그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누구나 보고 즐길 수 있는 친밀함으로 다가가서 관객과 소통을 원하고자 한다"며 "그가 주로 표현한 산과 물과 나무 그리고 목가적 풍경들이 누구에게나 행복으로 다가가서 작가가 추구하는 와유(臥遊) 정신이 자리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인간의 본성이 황폐해질수록 자연의 순수한 모습에서 정신적 위로와 꿈의 방편을 찾는 것이 인간의 마음이다.
따라서 자연에서 모티브를 찾아서 표현하는 것이 작가의 역할이라고 말하는 김 작가는 "산수화가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아름다운 선경(仙境)을 동경하면서 시작되었다"며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사상(無爲自然思想)과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 정신이 중국 한(漢)나라와 남북조(南北朝)시대를 거치면서 자연을 중시하는 데서 비롯한 것"라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계속해서 "관람객들이 고정된 그림 밖의 시선에서 단순히 들여다보지 말고 작품의 산수경치 속으로 들어가서 시점을 이동하면서 산을 올려다보고 계곡을 굽어보며 다시점에서 시선을 두고 그림을 바라보아야 심상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서 노니는 와유가 될 것"이라며 "작가는 관객의 입장에서 의미를 찾아야하는 것이 작품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김 작가는 그러면서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다가서는 것이 관객과의 진정한 소통"이라고 강조했다.

교동미술관(2020), 인사아트센터(2019, 2015), Asia Contemporary Art Show(2015, HongKong), Seoul Open Art Fair(2016, 서울COEX), Art Busan Art Fair(2018, 부산BEXCO), 서초 한전아트센터(2015), 한국소리문화의 전당(2007), 군산시민문화회관(2003) 등에서 여덥 번의 개인전, 개인부스전을 열었고 Affordable Art-Fair(2018. Amsterdam), 평창동계문화올림픽 아트-배너전(2017-2018, 서울올림픽 평화의문 광장), 영호남 미술교류전(2016,광주메트로갤러리), International Korean Art & Culture Expo (2008, Greenville Convention Center in North Carolina USA) 등 기획전, 초대전, 단체전에 150여회 참여했다.
현재 사)한국미술교육학회(KAEA)이사, 사)한국미술협회 회원,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전담강사, 보절중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