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유월이라는 이름의 계절

초여름, 푸름 속의 침묵과 다집
기억으로 피어나는 훈장의 의미

(서울=미래일보) 최현숙 기자 = 한 해의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달, 6월이다. 초여름 길목의 햇살은 더욱 깊어졌고, 바람은 한층 푸르러졌다. 누렇게 익어가는 보리밭은 저 언덕머리까지 깃발처럼 출렁이고, 나무들은 묵묵히 제 가지를 뻗는다. 장미의 겉잎이 바삭하게 말라갈 무렵, 계절은 제 몫을 다하듯 여름의 속살로 스며든다. 이름 모를 들풀들이 골목 어귀에 무성히 피어나고, 산과 들은 침묵 속에서 초록을 부풀린다.

시인은 6월을 '빛나는 상처'라 말하고, 농부는 '수확의 약속'이라 부른다. 한여름의 들판에서 땀으로 일궈가는 농부들의 등줄기에서는 이미 가을로 향하는 몸짓이 꿈틀거린다. 논두렁에 앉아 허리를 펴는 짧은 숨결 속에도 씨앗을 뿌릴 때의 기도와 거두어야 할 날들의 무게가 함께 얽혀 있다.

이 계절을 건너는 이들은 늘 한걸음 앞을 본다. 누군가는 기억을 꺼내는 회상의 달로, 또 누군가는 새로운 다짐을 품는 시간으로 이 달을 맞는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6월은 무엇으로 다가오는가. 우리는 무엇을 보고 어디에 마음을 두고 있는가. 기억의 저편을 더듬다 보면, 6월은 단지 아름답기만 한 달은 아니다.

'호국보훈의 달'이라는 이름 아래, 그 숲 어딘가에는 바람에 나부끼는 태극기와 무명용사들의 이름이 조용히, 깊이 우리 가슴에 새겨져 있다. 그리고 어느 날 행복했던 가족이 잃어야 했던 평범한 하루의 이름이, 바람처럼 마음을 스치며 지나간다.

필자 역시 6월이면 생전의 친정아버님이 더욱 그리워진다. 아버님은 '국가유공자'라는 이름을 달고 사셨다. 아버지의 아버지, 그러니까 나의 할아버지는 그 시절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던 훈장이셨다. 그 덕에 아버지는 남들보다 일찍 글을 깨우쳤고, 필체가 남달라 군 복무 중에도 사무병으로 일하며 많은 훈장을 받으셨다.

훈장의 이름과 모양은 달랐지만, 어린 시절 우리에게 아버지의 훈장들은 영웅의 증표였다. 삶이 다해 가던 마지막 날까지 아버지는 태극기를 몸에 두르고 조용히 눈을 감으셨다. 그날의 기억은 잊을 수 없다. 나는 아버지를 자랑스럽게 여기며, 태극기를 두른 그 몸을 다시 한번 안고 마지막 체온을 느꼈다. 6월은 늘 그렇게 푸르름과 깊어지는 햇살 속에 싱그럽고 환하지만, 그런 기억들 속에서 아버지의 얼굴은 더욱 또렷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6월은 슬픔만을 품은 달은 아니다. 오히려 그 슬픔을 씻어내는 시간이며, 뜨거운 햇살 아래서 피어나는 다짐과 희망이 있다. 잎사귀를 스치는 바람처럼, ‘잊지 않겠다’는 약속은 말보다 더 조용히, 그러나 깊게 마음을 건드리며 지나간다. 자연은 이 계절을 결코 허투루 흘려보내지 않는다.

매미의 울음은 아직 들리지 않지만, 공기 속에는 이미 여름의 등줄기가 숨 쉬고 있다. 계절이 먼저 말을 걸고, 말 없는 자연이 먼저 우리 삶을 바라본다. 그 앞에서 문득 ‘우리가 살아 있다는 단순한 진실’이 고맙게 느껴진다. 누군가의 희생 위에 서 있는 오늘, 누군가의 노동으로 맺어진 열매, 누군가의 기다림으로 지켜지는 평범한 일상. 6월은 그래서 기억의 달이며, 감사하지 않을 수 없는 달이다.

그리고 우리는 여름 들판을 바라보며, 한 해의 끝자락에 이루어질 열매를 더욱 간절히 바라보게 된다.

햇살이 짙어지고 나뭇잎의 그늘이 더욱 짙어질수록 우리의 마음도 조금은 천천히, 조용히 머물 수 있기를. 6월에는 한 문장쯤은 비워두고 살아도 좋을 것 같다. 그 빈 문장 속으로 낯선 바람 하나 스며들고, 누군가의 안부나 오래된 기도가 살며시 자리를 잡을 수 있다면, 말보다 눈빛이, 속도보다 느린 발걸음이 더 소중해지는 계절. 이 계절에는 그렇게, 자연 속에 내가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다.

gktkfkd04tkah@hanmail.net
배너
"평택의 역사인물 다시 본다"…장승재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장, <평택정치 인사이더와 아웃사이더> 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장승재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장(대진대 특임교수)이 평택의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인물을 새롭게 조명한 저서 <평택정치 인사이더와 아웃사이더>를 10월 25일 도서출판 밥북을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평택 지역 역사인물의 재발견과 지역 문화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장 회장이 수년간 축적한 자료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됐다. 650년 세거 평택인, 고향 뿌리에서 인물사를 탐구하다 장승재 회장의 가문은 조선 태조 때부터 약 650년간 평택에 세거해온 명문가로, 그는 평택 출신 대표 인물인 암행어사 박문수 선생의 선양사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2020년에는 '암행어사박문수문화관'을, 2024년에는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를 설립하여 박문수 선생의 위민정신(爲民精神)을 계승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책 출간 또한 "고향 평택의 인물사를 되살려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고, 역사와 관광이 공존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연장선"이라는 게 장 회장의 설명이다. 인물사·군사사·문화사로 본 평택의 정체성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평택의 입향조와 정치 인물사'에서는 ▲평택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재)송호·지학장학재단, '제39회 송호장학금' 및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국내 굴지의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가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송호지학장학회관 지학홀에서 오는 10월 28일(화) 오후 2시, '제39회 송호장학금'과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이 열린다. 이번 수여식은 재단법인 송호·지학장학재단(이사장 정희준)이 주최하는 연례 장학행사로, 올해는 총 35명에게 1억 1천8백만 원의 장학금 및 연구비가 전달된다. 화성에서 피어난 39년의 교육 나무 '송호·지학장학재단'은 고(故) 정영덕 선생이 1985년 고향 화성 지역의 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한 '송호장학회'를 모태로 한다. '송호(松湖)'는 선친의 아호로, 선친의 뜻을 이은 장남 정희준 이사장이 2009년 재단법인으로 확대 개편하여 현재의 송호·지학장학재단으로 이어오고 있다. 1987년부터 시작된 '송호장학금'은 화성 시내 고교 재학생 중 학업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발해 지원해 왔으며, 올해 역시 화성 남양고등학교 재학생 10명에게 총 1천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한편 2010년부터 시행된 '지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장학 제도로, 실질적 연구성과를

정치

더보기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여성기업은 경제 핵심 주체. 경기도가 버팀목 될 것" (수원=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24일 전국 여성 CEO들이 모인 자리에서 "여성기업이 축적된 역량과 성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경제의 핵심 주체로 확실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고 밝혔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이날 시흥시에서 열린 '2025년 전국 여성 CEO 경영연수'에서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고 부지사는 "경기도는 전국에서 여성 중소기업의 수와 매출액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며 "이미 85만 개가 넘는 여성기업이 172조 원의 매출과 141만 명의 고용을 책임지며 명실상부한 경기도 경제의 핵심축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이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 여성기업이 창업 초기부터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더 넓은 무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2025년 여성기업 지원 정책을 통해 창업초기 여성기업 30개사를 비롯, 도내 여성기업 56개사에 마케팅 사업화 지원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별 평균 매출액 7억 원, 수출액 15만 달러가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경기북부와 남부에서 여성경제인대회를 열어 600여 개 기업이 참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