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전문학인총연합회(회장 김명순, 이하 대전문총)는 각양각색 꽃이 피고 신록이 아름다운 봄을 맞이하여 15일 오후 5시에 제3회 대전문인총연합회 시화전 ‘식탁에 올라앉은 시’ 개막식을 갖고 오는 20일까지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개막식에는 대전문총 시인들뿐만 아니라 이정희 전 국제PEN한국본부 대전위원회 회장, 조성남 대전문학관장, 박헌오 전 한국시조시인협회 이사장, 전민 국제계관시인연합 한국본부 이사장, 김명수 충남문인협회 명예회장 등 내외 귀빈과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미경, 변선우, 홍명희 시인의 시낭송까지 이어져 성대하게 진행되었다.
대전예술가의집 제2전시실에서 전시되는 이번 시화전은 대전문총 출신 노수승 시인을 비롯한 35명이 53개 작품을 출품했다. 서정적인 대전문총 시인들의 아름다운 시가 한국 전통 서예와 현대적 디자인 요소를 결합한 이은희 캘리그라피 작가의 멋진 글씨가 마호가니 원목 도마와 나무 무늬가 살아 있는 접시 등에서 만나 한층 더 생동감 있는 시화전이 펼쳐지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같은 곳 바라보며/ 손잡고 가기로 약속하고/ 하나가 된 두 사람(임미경, 아름다운 약속)", "내가 혼자일 때/ 나와 우주는 하나(박종원)”, “하얀 눈 뚫고/ 뾰족이 솟아 나오는/ 파란 싹눈 봄노래(전민, 항상)", "풋풋한 꽃대궁/ 살얼음 깨고 올라와/ 톡 터지는 봄(심은혜, 냉이꽃 피면)", "내 영혼을/ 정결하게 하소서/ 아주 아주 깨끗하게(빈명숙)", "매화, 볼 빨간 사춘기/ 비꽃, 까치발 딛고 사뿐사뿐(문철호, 봄)", "꽃잎 떨어져/ 윤슬에/ 춤추는 바람(박정열)" 등의 출품 시가 전시회를 찾는 관람객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시적 감성을 북돋아 주고 있다.






대전문총의 시화전은 매회 개최 때마다 문학계와 문화계에 주목을 받고 있다. 시적 변용을 통한 시의 생활화에 앞장서면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실용적 행보를 보이기 때문이다. 2023년 제1회 때는 '말하는 그릇' 도자 시화전을 개최했고, 2024년 제2회 때는 '말하는 그릇' 도태칠기 시화전을 개최한 바 있다.
대전문총 관계자는 "도자 그릇과 도자 화병 시화전에 이어 나무 그릇 시화전으로 이어진 이번 대전문총의 시화전을 계기로 우리들의 식탁에 시가 올라앉는 순간 우리들의 삶이 시나브로 시적 순기능으로 좀 더 여유롭고 풍요로워지고 품격이 높아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시화전, 시 노래 작곡 발표회, 시 낭송 등 여러 가지 표현 방법을 통해 시민의 정서를 보듬는 적극적인 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김명순 대전문인총연합회 회장은 "대전문총은 해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시화전을 개최하여 시적 변용을 꾀하고 있다"고 전재하고, "올해에는 나무 그릇에 시를 입혀 식탁에 올려놓았다. 이 같은 문학 활동으로 시의 접근성을 높이고, 시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시민 정서를 아름답게 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