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각 부문 대상 수상자를 시상하고 대상 수상작을 상영, YouTube 장건섭TV를 통해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상작의 상장과 팸플릿은 수상자 주소지로 각각 우송·전달했다.

김문옥 집행위원장은 이어 "영광된 수상식장에 수상자 모두가 직접 참석하여 수상 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각 언론사의 온라인 체널과 유튜브를 통하여 시상을 하게 되었다"라며 "상장과 팸플릿은 수상자 각자의 주소지로 우송하게 됨을 이해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양윤호 사단법인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이사장(영화감독)은 격려사에서 "충무로단편·독립영화제가 주관하여 매년 작고하신 선배 영화인들의 발자취와 업적을 추모하는 '작고 영화인 추모 영상전'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기에 감사하게 생각한다"라며 "충무로단편·독립영화제가 한국영화의 소중한 자산으로 남기를 기원한다"라고 말했다.

김종진 사단법인 한국영화감독협회 이사장(영화감독)은 축사를 통해 "충무로단편·독립영화제는 비록 규모는 작고, 인력과 조건이 열악해도 한국영화를 사랑하는 열정과 정성 하나로만 14년을 버텨온 저력을 자랑하고 있는 영화제다"라며 "본 영화제에 참여하는 전국의 만은 청소년·청년들의 패기와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라고 말했다.

송영호 심사위원장은 이어 "특히 그동안 우리 충무로단편·독립영화제는 미래 영화인들을 격려하고 정진하는 의미에서 수상작의 폭을 넓혀 왔으나 금년도 부터는 수상작을 대폭 축소한 것은 절제된 상의 표현임을 양해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2024 제14회 충무로단편·독립영화제 각 부문 수상자(작)이다.

▲ 청소년 대상 : 박성준(회색물결) ▲ 금상 : 정경섭(돈 '드랍') ▲ 은상 : 임민규(양동이), 이상비(아빠의 대마초) ▲ 동상 : 이서진(은퇴), 유선아(Mom away), 박율(미끄럼틀에서 다시 올라 가는 법) ▲ 장려상 : 임찬주(대본대로).

▲ 청년대상 : 임승오(개미) ▲ 심사위원 대상 : 황여경(운전연수) ▲ 심사위원 특별상 : 최세린(짝사랑 성공 하는 법), 최린(불청객), 최지혜(장미빛 인생) ▲ 최우수 작품상 : 손지형(목사와 형사) ▲ 우수 작품상 : 김진우(현장실습), 김경모(마몬), 박서영(애정의 정도) ▲ 감독상 : 이상원(끈) ▲ 촬영상 : 전소영(체크아웃) ▲ 각본상 : 홍지은(유효기간) ▲기획상 : 신은민(심장벌레) ▲ 편집상 : 이상빈(볼일) ▲ 프로듀서상 : 송동현(풋사랑), 전아현·류형준(싸대기) ▲연기상 : 김문수(우리집에 왜 왔니) ▲ 신인 연기상 : 김혜은(나는 심장이 뛴다) ▲ 특별 언급상 : 김새민(행복한 고등어), 김하늘(히어로는 왜 이렇게 촌스러울까) ▲ 와일드앵글상 : 박민아(파티), 서수정(러브 디스크), 홍노경(우리집에 왜 왔니) ▲ 가작 : 박천현(배우님은 무슨 역할을 하고 싶으세요), 김 애쉬란 현준(그녀가 돌아 온 이유), 정유리(셋 둘 하나, 김치)

▲ 일반·비경쟁 대상 : 차준호(어느 멋진 여행) ▲ 심사위원 대상 : 이원준(카트를 끄는 여자, 그리고 영수증) ▲ 심사위원 특별상 : 윤진(걷다 보니 아버지가 된다), 김찬호(거짓말), 박재원(사람 대여 서비스) ▲ 최우수 작품상 : 정우상(여름날의 봄) ▲ 우수 작품상 : 변태진(나는 이제 배우를 그만 둔다), 유형래(이삐야), 양다운(줍줍) ▲ 특별 작품상 : 황성운(그래도 바람은 분다) ▲ 감독상 : 손호승(올라 오실래요) ▲ 촬영상 : 김선우(부탁) ▲ 각본상 : 오세섭(퇴근) ▲ 기획상 : 전우신(피어나) ▲ 편집상 : 박재원(달리기) ▲ 프로듀서상 : 김윤희(영웅은 없다), 이성원·이성윤(CITY OF BALLOON)·조은란(끝과 시작) ▲연기상(남) : 강지구(그래도 바람은 분다), (여) : 최유주(여름날의 봄) ▲ 특별 연기상 : 임연비(그래도 바람은 분다) ▲ 특별 언급상 : 정영훈(여름이었다), 주기우(내가 이것밖에 안 돼), 유호재(눈을 가리고) ▲ 와일드 앵글상 : 홍서백(1박2일), 지웅배(터미널), 이철우(살아가다, 일상) ▲ 가작 : 김예은(바람 잘 날 없는 하루), 성스러운(우리들의 어제), 오혜령(접속, 못다한 이야기), 이용수(잔치집).



▲ 장편·독립영화 대상 : 전권하(마지막 수업) ▲ 심사위원 대상 : 동제주종합사회복지관 실버스타 ▲ 심사위원 특별상 : 차형은(여배우들) ▲ 감독상 : 서필현(내안에 나) ▲ 각본상 : 이범규(스모크) ▲ 촬영상 : 최인규(리퀘스트) ▲ 우수상 : 지상우(새로운 손님을 찾아서), 차예선(마지NO선) ▲ 특별 언급상 : 고 학(봉우야) ▲ 연기대상: 이예리(마지막 수업), 정재연(내안에 나) ▲ 연기상 : (남) 박효근(소확행), 박봉우(봉우야), (여) 최다형·김지인(붉은 댕기) ▲ 특별 연기상 : 한미래(소확행) ▲신인 연기상 : 김민정(달의 몰락) ▲ 아역 연기상 : 이재준(마지막 수업).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