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29 (월)

  • 맑음동두천 26.7℃
  • 맑음강릉 23.2℃
  • 맑음서울 27.7℃
  • 구름많음대전 22.0℃
  • 대구 19.2℃
  • 울산 18.9℃
  • 흐림광주 21.3℃
  • 부산 18.9℃
  • 흐림고창 20.3℃
  • 제주 25.3℃
  • 맑음강화 21.6℃
  • 구름많음보은 21.1℃
  • 흐림금산 20.8℃
  • 흐림강진군 21.1℃
  • 흐림경주시 19.2℃
  • 흐림거제 19.1℃
기상청 제공

[해외이슈작가작품 기획연재(1)] 호앙 부 투앗(Hoàng Vũ Thuật) 시인의 시집 '바람을 잡는 이'

응우옌 또 평론가, "그의 작품집을 읽으면 밝은 일출과 보름달이 담긴 타고르의 '시', 그리고 푸시킨의 역사에 대한 고민이 보여"
"호앙 부 투앗 시인은 시에 대한 일종의 순교...시는 그의 사랑, 그의 삶, 그의 종교"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편집자주] 베트남의 호앙 부 투앗(Hoàng Vũ Thuật) 시인은 1945년생으로 베트남 쿠앙빈(Quảng Bình) 지방 레 투이(Le Thuy) 지역 홍 투이(Hong Thuy) 공동체 탁싸하(Thach Xa Ha) 마을 출신이다.

그는 1982년부터 베트남작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6권의 시집과 1권의 문학비평집을 출간했다. 많은 국제문학교류에 참가하였는데 하노이에서 개최된 베트남 국립예술문학협회와 러시아협회 주관행사에 참석했다.

호앙 부 투앗 시인은 러시아, 중국에 초청을 받았고 미국, 유럽국가들,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국가들도 방문했다. 그는 쿠앙빈(Quang Binh) 지방의 문학예술상인 'Luu Trong Lu Literature and Art Award'을 6회 수상했다. 또한 the Vietnam Writers’ Association for the poem collection of Thap Nghieng, Award of Van Nghe newspaper, Quan Doi newspaper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본지는 호앙 부 투앗 시인의 영문 시집 <바람을 잡는 이(The wind catcher)>
를 한국어로 번역, 기획 연재로 나누어서 소개하고자 한다.<편집 & 번역 : 장건섭 기자>

베트남의 저명 문학평론가 응우옌 또(Nguyen To)는 호앙 부 투앗 시인의 시집 <바람을 잡는 이(The wind catcher)>에 대해서 "바람은 유한한 인간의 삶에서 나를 알아볼 수 있다"고 평했다.

응우옌 또는 "전염병으로 뒤덮인 인간들의 혼란스럽고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도 호앙 부 투앗 시인은 외로운 예술적 상아탑에서 여전히 '암울한 마음'을 구하는 '바람을 잡는 이'로 침착하게 활약한다"며 "그의 이야기는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 나오는 문학적 인물인 산티아고가 '바다의 쓰레기'를 본토로 가져오는 외로운 ‘낚시’ 여행을 떠올리게 한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이어 "흰 생선 뼈대뿐인 맨손이지만 '텐트에서 노인은 여전히 잠을 자며 사자를 꿈꾸고 있다.' 삶의 상실, 무너진 시대의 끝에서 사람들은 여전히 꿈꾸는 것을 멈추지 않고 불타는 생각을 쓴다. 그는 문학적 영역에 온 힘을 기울였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호앙 부 투앗 시인은 긁히고 아픈 마음으로 역사의 망상을 통과했다"며 "슬픔으로 깨달은 자랑스러운 마음의 가슴에 화석화된 상처가 있는 우주의 위대한 유전(流轉)을 정화하여 정착시켰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그러면서 "생명의 법칙에 대한 믿음과 지혜는 그를 썩어빠지고 세속적이지만 살아 있는 에너지로 가득 차서 성취의 날을 기다리는 현세에 정박하게 하였다"며 "그리고 순수한 이마 안에 있는 피와 눈물과 지혜로 꽃이 피었다. 호앙 부 투앗 시인은 선배의 길을 그대로 따라가지 않았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계속해서 "그는 자신을 재충전하고, 자신을 탐구하고, 자신의 생명선을 위해 조각했으며, 살아 있는 신선한 시를 위하여 일생을 바쳤다"며 "그는 과거를 바꾸려고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역사는 그것이 잘못된 것이든 현명한 것이든 간에 각 시대의 사회적 얼굴에 각인된 근본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응우옌 또는 "인류는 혼돈에서, 광야에서, 고통의 한가운데서 짐승의 탈을 벗고 문명화되었다. 그러므로 그는 미래를 바꾸었다. 시인은 삶에서 느끼는 나쁘고 고통스러운 일에 대해 불평하지 않는다"며 "호앙 부 투앗 시인은 그 고통을 깊이 들여다보고 결정한다. 고통은 장애가 아니라 선물이었다. 따라서 '바람을 잡는 이'는 고통의 선물이며, 물론 행복, 무례함도 포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현자의 이마에서 철학적인 빛을 발산한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이어 "그의 시집은 찾기, 오기, 열기의 여정을 펼친다. '본질 – 원무(圓舞)– 그리고 끝이 없음'"이라며 "나는 호앙 부 투앗 시인이 보편적인 지혜를 인식하고 독자들에게 그의 지성을 아낌없이 퍼뜨리는 방식을 정말 좋아한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계속해서 "그는 자신의 고통에 관대하거나 군중의 감정에 인색한 사람이 아니다"라며 "그러나 간절한 향기의 씨를 뿌릴 향기로운 바람을 기다리며 세상 한가운데 그의 관대함을 펼치고 영혼의 어두운 구석에서 슬픔을 씻어낸다. 사람들은 '예'를 좋아하지만 '아니오'를 싫어한다. '아니오'라는 자신을 발견할 때는 마음 명상의 절정에 도달한 때일 것이다. 그는 측량할 수 없는 세계에서 개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부정적인 방법인 예라고 말하기 위해 '아니오'를 받아들인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호앙 부 투앗 시인은 시에 대한 일종의 순교"라며 "시는 그의 사랑, 그의 삶, 그의 종교"라고 했다.

그러면서 "100개 이상의 얼굴을 가진 <바람을 잡는 이(The wind catcher)>는 창의적이고 독특한 시인 호앙 부 투앗 시인의 한 단면"이라고 평했다.

이어서 "그러므로 그는 초현실주의적 상징양식의 동시대 시의 새로운 얼굴인 시의 대표자라 할 만하지만, 여전히 삶에 따뜻하고, 예술가의 개성이 넘치며, 시대를 배려하고, 민중의 운명을 애도하고 있다"며 "그리고 악의 여지가 없는 순수한 예술 세계를 갈망한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또 "그의 시는 과거 시의 법칙을 깨고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으며 생명의 씨앗을 품는다"며 "나는 그가 단어로 '비판'하는 페이지에서 역사의 존재, 우주 환생, 떨리는 마음 그 자체, 열정적인 사랑, 그리고 무엇보다도 순수한 이마에서 철학자의 빛이 발산되는 것을 본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그의 작품집을 읽으면 밝은 일출과 보름달이 담긴 타고르의 '시', 그리고 푸시킨의 역사에 대한 고민이 보이지만, 전에는 본 적이 없는 것들도 보인다"며 "자신의 목소리를, 그것이 예술가의 창의성, 작가의 성공이다. 그의 시는 철학에 대해서만 언급한다면 평범하지만, 철학적 의미에서는 존경의 경지에 도달했을 것이다. 완전히 이해한 마법 같은 생각이 그의 예술 세계에서 그의 지혜의 빛임을 깨달았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그러면서 "나는 그의 내면의 고귀함으로 그를 존경한다"며 "세상의 고통의 무덤에 갔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말은 여전히 순결한 빛을 발산하며 우아함과 고귀함을 발산한다"고 했다.

응우옌 또는 끝으로 "그는 과거에 관해 이야기하고, 현재를 폭로하고, 미래를 따뜻하게 한다"며 "지나갔고 살아 있는 앞으로 올 이야기들은 아무리 거센 폭풍우가 몰아쳐도 ‘바람을 잡는 이’의 행간들에서 끝이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람을 잡는 이

바람의 길을 아는 이 없다
바람의 얼굴을 아는 이 없다
나는 언덕에 앉아 오랫동안 잡으려 하였지

가는 줄을 가진 연들은 얇은 날개를 가진 먹이들
바람으로 부풀어 오르는
양 날개의 온갖 수단은 그저 공허할 뿐이네

어느 날 빈손으로 잡은 것은
검은 머리가 백발이 성성해진 것일 뿐
시간은 아직도 추우니

끝없는 바람은 영원히 그치지 않아
유한한 인생에서 나를 인식할 수 있으려나

- 2021. 3. 19.

The wind catcher

No one realizes the path of the wind
No one realizes the face of the wind
I patiently sit to catch on the hill

slender strings of kites are preys with thin wings
wind and wind blowing inflated
bag of tricks on the side is empty

oneday catching with empty hands returned a lifetime
catching black hair
turned white hair
the time is cold still

the endless wind is not over forever
can recognize me in a limited human life

- March 19, 2021

진흙탕 국화
- 기억해 VTC


강을 건너가는 배가 새벽에 떠나니
아래에서 붉은 흙이 일어나 순수한 자줏빛 국화를 피우네
그대가 볼 수는 있지만, 집으로 가져갈 수는 없어
오 년이 지나도 아직 기다리네
십 년이 지났건만 사람들은 빛을 기다리듯 아직도 기다리네
닿을 수 없는 곳을
행복도 이와 같아
그대가 매일 읽는 신데렐라 책처럼

진흙 냄새는 미묘했고 별보다 더 반짝이네
저 멀리서
탄생 진흙의 냄새
향기로운 진흙 냄새, 흙냄새가 나는 진흙, 뜨거운 혈관
사랑의 진흙 냄새
그대는 화석이라고 생각하면서
자줏빛 강물처럼 들판을 가로지르는 부드러운 손
백만 년
사람들은 진흙탕 국화라고 부르네

- 2019. 5. 8

Muddy chrysanthemums
- Remember VTC


Leaving at dawn with the boat crossing the river
under the brown mud growing innocent purple chrysanthemums
you would watch but not bring home
five years later still waiting
ten years later still waiting like people waiting for the light
unreachable place
happiness can not be the same
as in the book Cinderella you read every day

the smell of mud was ethereal and more shimmering than the star
far away
the smell of birth mud
the smell of fragrance mud, the earth with mud smell, hot blood vessel
the smell of love mud
with thinking you are fossil
soft hands crossing the field like a river rising purple
million years
people calling as the muddy chrysanthemums.

- May 8, 2019

난간에 있는 거울

오늘 밤 나타나는 난간의 풍경을 나는 보리라
붉은 입술의 부드러운 수평선 멀리
보라색 별의 작은 점들이 돌아오고

뿌리 같은
내 집에서, 나는 신선한 문을 연다
어둠을 꿰뚫는 친숙한 촛불처럼
모든 바늘구멍으로 빛이 비치듯이
소원을 넘어서

나는 갑자기 눈을 번쩍 뜬 장님처럼 보리라
물과 불이 섞인 것을 깨닫고, 그 생각은 잊히지 않으리
거울 앞 난간의 종이 위에 앉아서 움직이는 동안에는
그림자 같은 영상

- 2021. 3. 21.

A mirror at balcony

I will see the face of balcony appearing tonight
soft horizon line with red lips
distant little dots of purple stars are returning
root

my house, I open the fresh door
like a familiar candle that pierces the darkness
lighting every stitch
beyond the wish

I look as a blind man suddenly lit up the eyes
realizing the water mixed with the fire, the idea is not to be forgotten
while sitting and moving on the paper of the bacony in front of the mirror
reflection

March 21, 2021

신경 쓰지 마

하루하루 지체되어 불의 의도를 쓸 수 없네
신경 쓰지 마
사람들은 종종 대화에서 비판하지, 나도 그래
현장에서
백지에서
신경
쓰지 마

다른 것은 신경 쓰지 마
보내는 이가 모르는 꽃, 기다리는 의자
포장도로에서
20년간의 침묵
어딘 가에 박히려고 떠도는 한 모금의 연기를 아직도 기억하지
몇 분 동안 위에서
즐기지

호수의 맑은 물로 둘러싸인 대나무 집이 위아래로 흔들리네
웃음소리와 눈들도 마찬가지로 위아래로
세상이 뒤집히네
사랑은 과거로 뒷걸음질 치지만 – 신경 쓰지 마, 펜 끝에서 피가 흘러내리네
젖은 두 어깨로 얻은 것이 없네
그러나 난 부자보다 더 부유하지
여름 불빛의 섬광 같은 희귀한 새의 날개가 있어서
페이지의 저주처럼 나는 자랑스럽게 숨 쉬며 쓰지
책꽂이에서
단지 마지막 줄이 모자라
신경 쓰지 마
그걸로 충분해

자연이 정리한
피질(皮質)을 관통하는 4천 킬로미터ㅍ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신경 쓰지 마
나는 명확하게 이해하지 행복은 피질(皮質)이 없는 것이 아니라
길을 지나치는 것이라는 것을
그들이 서로를 비난할 때에
신경
쓰지 마

- 2019. 7. 20
(*) 철학자 데카르트(Descartes)를 인용.

Never mind

Day by day delayed and I can't write the intention of fire
never mind
people often criticize in dialogue, I do the same
on the field
white paper
never
mind

never mind the things else
flowers unknown to the sender, a chair waiting for a seat
on the pavement
twenty years of silence
still remembered a bit of smoke hovering somewhere to nail
up minutes
enjoying

clear water surface of a lake surrounds a bamboo house upside down
laughter and eyes are also upside down
the world was turning upside down
love went back to the past – never mind, on top of a pen is bleeding
I got zero on two wet shoulders
but I was richer than the rich
with the wings of a rare bird that flashes summer fire
like a curse on the page I wrote proudly breathing on
the bookshelve
only lacks of the last line
never mind
that was enough

four thousand kilometers piercing through the cortex
the nature has arranged
I am thinking, therefore I exist (*)
never mind
I understood clearly that happiness is the existence of no cortex
than the road
pass by when they scold each other
never
mind.

July 20, 2019
(*) attributed to the philosopher Descartes.

회상

잘 익은 사과 같은 햇살이 나를 매혹하네
오후의 붉은 부시버드나무(combretum quadrangulare) 솜털에 드리운 그림자가 흔들리네
잃어버린
끼어든 비가 길 잃은 새를 날갯짓하게 하고
나는 구름을 한 모금씩 마셨네
좁고 긴 줄은
지평선 끝을 둘러싸고

한 쌍의 꼬불꼬불한 속눈썹이 바다에 잠겨 있네
엄청난
얇은
두 팔로 감싼 사랑
나는 바다 우유 향이 나는 산호섬에서 태어난 아기였네

물 머리에 익숙한 배의 부드럽고 따뜻한 뱃머리를 만지며
엄청난
장마다 책의 페이지를 보여주는 고운 모래,
회상
글자들의 말이나 자유의 소리가 울리고
나는 장마가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네

- 2019. 8. 9.

Recalling

The sunshine as a ripe apple fascinating me
the shadow tilted in the afternoon shadowing on the combretum quadrangulare – hair
loosing
the interleaved rain making the astray bird wings
I drank every sip of the cloud
a lace strip
surrounding the end of the horizon

The pair of curled eyelashes immersing in the sea of water
immense
thin
two arms wrapping in love
I was a baby born on a coral island with sea milk fragrance

Touching the soft and warm bow of the boat, familiar with the forehead of the water
immense
the fine sand showing the pages of books, chapter by chapter, recalling
the word of letters or the sound of freedom ringing
I read when the rainy season coming.

(August 9, 2019)

i24@daum.net
배너
대한민국 수필학 대한명인 문학정신 기리는 '권대근문학상' 제정된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한민국 수필학 대한명인이며 수필가이자, 한국문학영문번역가, 문학평론가인 권대근 교수(대신대학원대학교)의 문학상 '권대근문학상'이 제정된다. 권대근 수필가의 문학상은 충북 단양의 한 독지가가 평소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문학창작과 비평 그리고 번역 분야 작가를 키우고 더욱 격려해야 한다는 권대근 수필가의 뜻에 공감해 상금을 후원하기로 하면서 만들어졌다. 권대근 수필가는 평소 살아있을 때 문학발전에 힘쓰는 후배 수필가를 격려하는 문학상을 만드는 것이 꿈이었고, 하루라도 빨리 제정해서 많은 수상자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왔는데, 이번에 이런 뜻을 이해하고 알아주는 든든한 후원자를 만나면서 문학상 제정이 결실을 이루게 되었다. 권대근 수필가는 1988년 등단하여, 수필창작, 수필평론, 수필번역, 본격수필이론 보급, 후진 양성과 미국, 영국, 중국, 캐나다, 일본,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 나가 본격수필창작론을 전파하는 등 문학발전을 위해 동분서주해왔다. 권대근 수필가는 등단 35년 차로 지금까지 수필집 이론서 평론집 번역집 등 20여 권의 책을 펴낸 바 있다. 한국본격문학가협회 회장, 사단법인 국제PEN한국본부 부산지
'강릉 출신' 쇼트트랙 심석희, 산불 성금 3천만원 희망브리지에 기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쇼트트랙 선수 심석희가 고향인 강릉을 위해 기부에 나섰다.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쇼트트랙 선수 심석희(서울시청)가 강원도 강릉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본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성금 3천만원을 전해왔다고 13일 밝혔다. 강릉이 고향인 심석희는 "태어나고 자란 곳에서 발생한 이번 산불에 마음이 아프다"라며 "피해를 본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많은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면 좋겠다”라는 뜻을 희망브리지에 전해왔다. 김정희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심석희 선수는 지난 코로나19 당시에도 상금을 기부해 주었던 감사한 분"이라며 "고향의 아픔을 달래기 위한 이번 기부에도 깊이 감사드리며 희망브리지는 그 뜻을 잘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재난 구호모금 전문기관인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는 1961년 전국의 신문사와 방송사, 사회단체가 힘을 모아 설립한 순수 민간단체이자 국내 자연재해 피해 구호금을 지원할 수 있는 유일한 법정 구호단체다. 특히 공익법인 평가 기관인 한국가이드스타가 발표하는 공익법인 투명성, 재무안정성 평가에서 5년 연속으로 최고등급을 받는 등 국민 성금을 투명하게 배분하며 집행하고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희망브리지, 전국 8개 권역 거점 구축 '순항'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의 전국 조직화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 희망브리지는 26일 개소한 경기북부지사를 비롯해 현재 경북, 인천, 광주전남지사 설립을 완료했고 내달 8일은 부산·울산·경상남도지사를 개소한다. 이후 신속하게 경기남부, 충청, 강원지역에 3개 지사를 추가로 설립하며 8개 권역의 거점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희망브리지는 지난 2월 5개 권역에서 각각 명망 있는 인사로 지사장과 지국장을 임명한 바 있다. ▲경기북부지사 남권희 지사장(육군학사장교 15~16대 총동문회 회장) ▲광주‧전남지사 한장희 지사장(전남대학교 경영학과 명예교수) ▲대구‧경북지사 김상현 지사장(영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부산‧울산‧경남지사 박종희 지사장(울산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 ▲인천지사 문상일 지사장(인천대학교 법학부 교수) 등은 앞으로 맡은 권역에서 모금‧구호 활동을 무보수로 돕는다. 지사장들과 함께 지사를 운영할 박상호(경기북부)‧김성수(광주‧전남)‧김종덕(대구‧경북)‧손창우(부산‧울산‧경남)‧최영규(인천) 등 5명의 사무국장도 임명한 바 있다. 한편, 26일 개소한 경기북부지사는 이 권역의 환경적, 사회적 특색

정치

더보기
김영배 의원, "난임치료 지원, 전폭 확대…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난임치료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는 국가의 현시적 책무"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성북갑)은 26일 ▲난임치료비 지원과 관련하여 연령과 소득에 따른 차등과 지원 횟수를 무제한으로 하고 ▲한방 난임시술 치료비까지 지원토록 하며 ▲난임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울증에 대한 검사 및 관리도 지원될 수 있도록 개정하는 '모자보건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 했다. 현재 '모자보건법'은 정부가 난임치료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근거규정을 마련해두고 있다(제11조). 그러나 난임치료비를 지원 받기 위해선 중위소득 기준 180% 이하여야 하며, 이 또한 최대 9번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더하여 정부의 치료비 지원으로 경제적 부담이 경감되더라도, 치료로 인한 체력 저하와 우울증 문제는 난임부부들의 고충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의 2023년 1분기 합계출산률은 0.81명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한 합계출산율 0명대 국가이다. 그동안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을 펼쳐왔으나, 정작 출산 의지가 있는 난임치료 부부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행정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다. 그럼에도 난임부부들의 임신 노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