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대근 회장(대신대학원대학교 교수)은 모시는 말씀에서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이 사랑에 빠지는 일이고, 가장 어려운 일은 부산펜문학상 같은 큰 상을 받는 것이다"라며 "특히 어려운 일을 해낸 수상자 분께 부산지역위원회 회원 모두가 함께 축하를 드린다"고 말했다.
권 회장은 이어 "문학상 수상자의 수상 조건 중의 하나가 작가정신을 작품 속에 투영시키는 것이다"라면서 "작가정신이란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약자를 도와주는 것"이라 부연 설명했다.
변종환 고문의 격려사와 이석래 부산문인협회 회장의 축사에 이어 진행된 출판기념회에서, 김경희 부회장은 자신의 시 '언제나 같이 있고 싶은 얼굴'을, 노유정 부회장은 '텍사스의 젖소'라는 시를, 박혜숙 부회장은 '물안개 피면'이란 시를 낭독하여 출판 기념식장의 분위기를 고조시켰으며, 곧 이어 열린 제3부 제10회 부산펜문학상 시상식에서 김석규 고문은 부산펜문학상 대상 심사평에서 "꽃의 세계에 생의 순리를 담아 삶의 지혜로 승화시켜 낸 대상 수상자 김희영 시인의 시는 독자에게 큰 감동을 주고 있다"고 평했다.
김 고문은 이어 "작가상을 수상한 이도연 시인의 수상 시집은 향기가 넘치는 삶의 내용들로 수놓아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형했다.

대상 수상자 김희영 시인은 수상소감에서 "시인만이 알고 있는 시적 고통에는 쾌락이 있다는 영국의 시인 윌리엄 쿠퍼(William Cowper)의 명언처럼 밤늦도록 깊고 아득한 어둠 속에서 시의 깊고 내밀한 곳을 더듬으며 고통과 환희를 함께 느꼈던 순간들, 그 시적 고통에서도 나만이 느끼는 따뜻한 희열이 있었기에 지금까지 멈추지 않고 이 길을 걸어왔고 걷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작가상 수상자 이도연 시인은 "한 발 한 발 느리더라도 차곡차곡 실력을 쌓아나가, 대중의 심금을 울리는 작가가 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2022년 부산펜문학인의 밤 행사는 2023년도의 풍성한 사업계획에 대한 회원들의 기대를 안겨주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