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평론집은 양왕용 이사장이 전국 주요 포럼이나 행사에서 발제를 맡아 연구한 지역문학의 위치와 활동가들을 일별하고 진단한 연구론집이라 더욱 의의가 크다.
넓게는 정지용 해금 이후의 문제들과 김수영 시의 신화, 6.25 전쟁이 낳은 종군시의 양상 등 아직도 보완해야할 우리문학의 역사와 근년의 평창 동계올림픽과 한국현대시의 접목점, 펜데믹 시대의 한국현대시의 방향 등 다양한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특히 지역문학으로는 남강문화권의 진주, 남해 등에서 활동해온 설창수, 이경순 시인과 김보성, 박경리 소설가 등과 경남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고 있으며 홍문표, 정성수, 이희춘, 신길우, 박장희, 최은혜, 김현근 등 서울 중심에서 벗어난 전국 각지의 문학활동을 진단하고 있다.
나아가 미주지역의 문학인들에게도 관심을 두어 미국 동부 한인사회 문인들과 캐나다, 남미문인들의 작품들까지 폭넓게 활동성을 연구하였다. 어쩌면 서울 중심의 문학일변도 역사에서 잊혀져 가는 지역문학의 소중한 자산들을 파헤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결국 이번 양왕용 이사장의 평론집 <한국 현대문학과 지역문학>은 대한민국 문학의 현주소를 정립한 것이자, 한국 문학의 폭과 깊이를 한층 두텁게 파악한 귀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양 이사장은 이번 평론집 발간과 관련, "2015년부터 지금까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전국적인 문인단체의 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그런데 이 기간 동안 필자가 주로 행한 일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각 지역에서 개최되는 문학 심포지엄이나 세미나에 주제발표자와 좌장 혹은 행사 자체의 기획자로 참여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양 이사장은 이어 "그러면서 관심과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 지금의 한국문학의 현상은 한국문학의 영역이 계속 확장될 것이라는 생각이었다"며 "한편으로는 그로 인하여 문인들만의 문학이 되어 오히려 독자들로부터 멀어지는 역기능은 어떻게 하면 극복할 것인가 하는 명제도 중요한 관심사였다"고 강조했다.
양 이사장은 그러면서 "그 결과 이 평론집의 글들 가운데는 각급 자치단체의 행정당국에 당부하는 구체적 제안의 글들과 문인들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을 통한 문학의 위상 회복이 결론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며 "제1부에서는 주로 전국 단위의 현대시 관련 심포지엄의 주제 발표와 탄생 100주년 시인의 작품론,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으로 개최된 행사에서 발표한 글들로 편집되었다"고 말했다.
양 이사장은 덧붙여 "행사가 개최된 도시는 옥천군, 계룡시, 청주시, 평창군, 그리고 서울이었다"며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행사는 그 지역 작고 시인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 결과적으로 그 지역 현역시인들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져 지역 시단의 활성화에도 기여하였다"고 소회를 밝혔다.
양 이사장은 이번 평론집 중에서 '펜데믹 시대의 한국현대시의 나아갈 방향'에서는 국내 현역시인뿐만 아니라 교포 시인들의 작품까지 살펴 한국문학 영역의 확장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양 이사장은 "제2부에 편집된 글들은 지역문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글들로 부천시와 창원시 그리고 남해군에서 발표한 글들과 남강문화권이라는 독특한 문학 활동의 중심에 있는 진주시에서 발표한 글들"이라며 "특히 진주를 연고한 작고문인들의 작품세계와 진주문학의 구심점인 개천예술제에서 그들의 역할에 대하여 언급한 글들은 지난 2020년에 엮은 평론집 <한국현대시와 토포필리아>에서 살핀 ‘남강문화권 시인들의 작품세계’와 같이 읽으면 하나의 진주문학사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양 이사장은 이어 "제3부는 그동안 살핀 전국 각 지역 현역시인들의 작품세계에 대한 글들로 그 가운데는 오래전의 글들도 있다"며 "마지막 제4부의 글들은 해외 거주하면서 한글로 시와 소설을 쓰는 문인들의 작품의 특성을 살핀 글들"이라고 밝혔다.
양 이사장은 그러면서 "그 가운데 많은 글들은 주로 미국 동부 수도 워싱턴 근교에서 활동하고 있거나 활동하였던 문인들에 관한 글들이 많다"며 "이는 2016년 한국문인협회의 워싱턴 심포지엄에서 만난 작가들과의 인연 때문이다. 이들을 포함한 남미와 캐나다 거주 한인문인들의 작품들도 이제는 당당하게 한국문학사에 편입되어야 한다는 소신에서 살핀 글들"이라고 덧붙였다.

양 이사장은 국제PEN한국본부 입회(1981.12.29.) 및 이사(28~29대 회장 회기), 한국현대시인협회 지도위원, 한국시문학회 회장, 국어교과교육학회 회장, 한국크리스천문학가협회 회장, 부산문인협회 수석부회장, 남강문학회 회장, 한국기독교문학선교협회 부회장, (사)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등 역임하고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자문위원, (사)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장, 동북아기독교작가회의 한국 측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시문학상 본상(1991), 한국크리스천 문학상 시 부문(1997), 설송문학상 본상(2003), 부산시 문화상 문학 부문(2006), 한국장로문학상 시 부문(2010), 부산시인협회상 본상(2014), 한국예총 예술문화대상 문학 부문(2015), 제1회 부산 크리스천문학상(2017), 상록수문학 대상(평론 부문, 2019), 한국현대시인협회 국제교류문학대상(2019) 등 수상했다.
시집으로 <갈라지는 바다>(형설출판사, 1975), <달빛으로 일어서는 강물>(문장사, 1981), <여름밤의 꿈>(열음사, 1986), <섬 가운데의 바다>(오상출판사, 1990), <버리기, 그리고 찾아보기>(고려원, 1999), <로마로 가는 길에 금정산을 만나다>(푸른사상, 2006), <백두산에서 해운대 바라본다>(문예바다, 2014, ‘2015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 <천사의 도시, 그리고 눈의 나라>(작가마을, 2017), 1960년대 <시문학> 데뷔 7인 공동시집 <평생 시를 쓰고 말았다>(스타북스, 2020) 등이 있다.
연구논저로는 <한국근대시연구>(삼영사, 1982), <정지용시연구>(삼지원, 1988), <현대시교육론>(삼지원, 1997, 2000 개정 증보판), <한국 현대시와 기독교세계관>(창조문학사, 2005), <한국 현대시와 지역문학>(작가마을, 2006), <한국 현대시와 디아스포라>(작가마을, 2014), <한국 현대시와 토포필리아>(작가마을, 2020)가 있고, 공저로 중고등학교 교과서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금성출판사), 제7차 중학국어(3-1)(교육부), 제8차 고등국어(더 텍스트) 등이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