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강경화 장관이 오는 25일 스위스 소재 세계경제포럼 '코로나19 액션 플랫폼' 관련 화상회의에 주요 발표자로 참석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강 장관은 회의에서 개방성·투명성 원칙에 기반한 한국 정부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을 설명하고, 상황 극복을 위한 국제 사회의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액션 플랫폼'은 세계경제포럼이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해 만든 회의체로 약 4주째 화상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한국의 대응 정책이 각국에서 긍정 평가되는 만큼, 방역 및 대응 상황 공유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스테프 블록(Stef Blok) 네덜란드 외교장관은 전날 강 장관과 전화 통화에서 한국에 방역 경험 공유와 방호 용품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김 대변인은 이와 관련 "외교부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에 대응해 국제 공조와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변인은 또 외교부가 주한미군 한국인 무급휴직 시행기한을 일주일 남겨놓은 상황에서 한미방위비분담금특별협상(SMA)과 관련해 "유선 내지는 화상을 통해 긴밀히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SMA과 관련해 취재진의 질문에 "국제적으로 이동이 많이 제한돼 있고 이런 상황에서 회의가 개최될지는 불투명하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앞서 지난 1월 주한미군은 방위비 분담금 협정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들에게 4월 1일부로 잠정적 무급휴직을 시행할 수 있다고 사전 통보했다.
김 대변인은 "11차 SMA회의 체결을 위한 7차례 회의가 있었다"면서 "협정 공백 최소화를 위해서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무급휴직이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부의 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주한미군에서 근무를 하는 우리 국적 근무자들에 대해서는 미국 측에서 보수가 지급되고 있다"면서 "우리가 직접적으로 보수를 지급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4월 1일까지 시간이 있으니 긴밀히 협의해 가면서 그 문제 포함해서 협의해 나갈 것"이라며 "좀 지켜봐 달라"고 덧붙였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