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카뮈는 왜 담배를 물고 있는가"

카뮈, 첫 번째 장편소설 '페스트'…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의 투쟁을 묘사
전염병이 창궐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존엄과 우애를 역설
오늘의 '코로나19' 전염병을 대하는 우리에게 큰 의미 시사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광화문 교보서점에 가면 역대 노벨상 수상자 얼굴판을 볼 수 있다. 백남준의 비디오 작품을 연상 하는 설치 미술이다. 그중에 한사람이 삐딱하게 담배를 문 장면이 시선을 끈다. 금연 환경과 뒤 틀린 사진이다.

왜 교보의 노벨수상자 설치 담당자는 담배 피우는 사진을 선택했을까. 의문이 간다. 교보는 교육을 근본으로, 반듯한 사람을 지향하는 서점이다.

교보의 설치 담당자에게 물을까, 생각도 가졌다. 그러나 스스로 답을 찾는 길을 택했다. 담배를 물고 있는 주인공은 '이방인', '페스트'의 프랑스 작가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1913~1960)다.

소설가 카뮈는 당대의 작가들에 대하여 깊이 공부했던 학구파며 철학을 겸비한 지성의 작가다. '앙드레지드', '몽테를랑', '앙드레 말로'를 비롯한 작가들과 열띤 토론도 했다.

연극에도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희곡도 몇 편 썼다. 산문집도 두어 권 펴냈다. 신문사의 편집부, 정치부, 논설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그는 어떤 계기인지 담배를 무척이나 즐겼다. 담배로 인하여 의사의 건강경고를 받기도 했다.

'카뮈'의 담배 사랑은 다소 무리한 장면도 쉽게 마주친다. '카뮈'가 둘도 없이 사랑한 쌍둥이 자녀를 돌보면서 담배를 물고 있는 장면도 있다. 결국 폐질환으로 두 번이나 병원신세를 지기도 했다.

카뮈는 정치부 기자와 논설위원을 지내며 프랑스의 혼란기에 좌파와 우파의 대립을 몸소 겪기도 했다. 마치 지금의 대한민국의 실상과 비슷했던 상황이었던 모양이다.

카뮈는 좌파와 우파의 구태 의연한 편의주의에 지겹게 환멸을 느끼기도 한다. 카뮈의 결론은 작가란 모름지기 좌와 우를 지켜보는 ‘상위 앵글’을 갖는 것이라 판단했다.

그 같은 철학적 사고와 앞선 작가 의식은 스스로 공부하는 사고(思考)의 현실주의자였기 때문이다. 카뮈를 가벼이 보는 사람은, 사람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반사회적 인간으로 평가도 한다. 그의 소설 '이방인'에는 사람을 의미 없이 가볍게 죽이는 장면도 있다. 주인공은 자신의 얼굴에 햇빛이 정면으로 비춘다는 이유로 권총 살인을 한다. 죽이고 죄책감을 못 느낀다는 건 시대가 지나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독자들의 의견도 있다.

하여간 카뮈의 소설 속 주인공들은 다소 이해가 가지 않는 사고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렇다고 작가의 의식을 소설속의 주인공의 사고로 단정하는 것은 편협의 비극이다. 마치 한국의 정부가 작가의 시선을 가지고 블랙리스트에 올렸던 것과 같다.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소재로 한 ‘변호인’ 영화를 후원 했다는 이유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2년 동안 해외에서 이방인의 유랑생활을 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의 문인은 좌와 우를 가르는 편협의 일상에서 서성이는 못난 위치에 있는 실정이다. 스스로 노력에 의하여 시대를 보는 앵글을 갖지 않는다. 기껏 종편 나부랭이를 보고 마치 자신의 지식처럼 행세한다.

다소 독선 적이지만 시대를 보는 앵글이 바늘 끝처럼 좁기만 하다. 문제의식이 없는 가짜뉴스를 친구나 문인에게 퍼 나르기에 열중한다. 아카데미 4관왕으로 관심이 된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과 '기생충'의 제작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이미경 회장도 블랙리스트에 오른 장본인들이다.

어찌 보면 블랙리스트라는 굴레가 아카데미의 ‘기생충’을 낳게 했을 수 도 있다. 엉뚱한 논리는 아니다. 같은 우산을 쓰면 어깨를 마주하게 된다. 마주하는 어깨는 사상의 시간이 된다. 사상은 진리를 만든다.

카뮈는 두 번의 폐병으로 프랑스 알프스 지방에 있는 휴양지의 맑은 공기를 마시며 치료 했다. 그리고 그의 시선은 이탈리아 피렌체 피사 및 제노바를 여행하며 사고의 틀을 키웠다.

카뮈는 첫 번째 장편소설 '페스트'(1947)를 오랑이라는 도시에서 펴내며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의 투쟁을 묘사한다. 그는 전염병이 창궐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존엄과 우애를 역설했다는 점에서 오늘의 '코로나19' 전염병을 대하는 우리에게 의미를 크게 준다.

광화문 교보에 담배를 문 카뮈의 사진에 결론을 내야할 시간이다. 교보의 노벨수상자 사진을 배치한 담당자는 카뮈의 사진 선정에 고심의 흔적을 보인다.

애연가 카뮈는 폐렴으로 두 번의 병원 신세를 졌던 기록도 참고가 되었을 것이다. 물론 카뮈의 일상의 사진에서 담배를 물고 있다는 것도 가점에 들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소설작품의 주인공들이 담배를 물고 세상을 삐딱하게 보고 있다.

- 최창일(시인·이미지문화학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남인순 의원, "노후 특수의료장비 보험수가 개선 필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보건복지위원회·서울 송파구병)은 29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대한영상의학회,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함께 '환자 안전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노후 특수의료장비 보험수가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2000년대 이후 MRI(자기공명영상장치), CT(전산화단층촬영장치), Mammography(유방촬영용장치) 등 고가 특수의료장비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의료영상의 질 관리와 사후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3년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어 장비 품질검사를 통해 저화질 영상 장비 사용을 제한해 왔다. 그러나 현행 건강보험 수가체계는 장비 성능이나 사용 연수를 반영하지 않는 단일 구조다. 이 때문에 장비 노후화로 인한 진단 정확도 저하와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 문제에도 동일한 수가가 적용돼, 의료기관이 신형·고사양 장비를 도입할 유인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노후 특수의료장비 실태 점검 ▲환자 안전 및 의료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수가체계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다. 행사는 남인순 의원의 개회사와 정성은 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