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3 (일)

  • 맑음동두천 9.7℃
기상청 제공

[인턴뷰]최월순 울릉도 섬지기 펜션 대표

“최선의 서비스와 추억을 드리겠습니다.”

울릉도 저동항에 내려서 왼쪽 편으로 5분 정도 가면 방파제가 나온다. 가는 도중에 수산물시장이 보이는데, 조금만 가면 오른편에 아담한 3층 건물 ‘섬지기펜션(www.섬지기펜션.kr / 대표 최월순)은 2012년 5월에 오픈했다.

 


우아한 밤색 톤 대리석 건물로 신축한 유럽풍 외관에 발코니가 있어 한눈에 저동항을 관망할 수 있는 매력이 장점이다. 차량과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저동항에서 벗어나 끝 편에 위치해 조용한데다 펜션 앞마당에서 가족이나 단체로 야외식사를 할 수도 있다. 4월부터 10월까지는 성수기여서 예약은 필수다.

 

백년손님처럼 맞이하는 따스한 ‘섬지기’


포항이 본향인 최월순 대표가 운영하는 음식점에는 생선회와 찌개류, 나물 등 푸짐한 메뉴도 준비되어 있어 울릉도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 동해 바다처럼 푸근하고 인심이 넓은 최 대표는 고객을 백년손님처럼 늘 따뜻하게 맞이하는 진정한 ‘섬지기’이다. 깔끔하게 꾸며진 2층과 3층은 모두 펜션 앞에 저동항이 있어서 오징어 배들의 모습과 멀리 산세를 관망하기에 좋은 전망을 갖고 있어 숙소로서 최적지다.

 

 


펜션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100미터 가면 기다란 저동항 방파제가 나오는데 동해 바다가 펼쳐지는 시원함을 만끽할 수 있다. 방파제 끝에는 등대가 있어서 정취를 더한다. 또한 방파제 바로 오른쪽에 작은 터널이 나오는데 여기를 통과하면 해안선 둘레길이 시작되는 곳으로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곧 바로 해안산책을 즐길 수 있다.

 

 

 


물심양면... 친절함과 후덕한 인심


번잡함도 없고 한적하고 조용한데다 멀지도 않은 ‘섬지기펜션’은 조용히 머물기 원하는 손님에게는 그만이다. 울릉도에서는 주차공간이 부족한데 ‘섬지기펜션’은 주차할 공간도 넉넉하다. 언제나 웃음으로 반갑게 맞는 최 대표는 항상 친절하고, 넉넉한 인심으로 고객들이 항상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배려하는 진정한 ‘지기’다. ‘섬지기펜션’의 2인실은 7만원이며, 4인실이 10만원, 단체실은 45인까지 가능하고 상담 후 결정을 해도 된다.

 

 


신비의 울릉도... “10대 절경 강추합니다”


울릉도를 위한 이웃사랑 실천과 지역봉사 활동에도 적극적인 최월순 대표는 “울릉도는 바다보다는 산이 많습니다. 그래서 생선회보다 산나물이나 오징어가 좋습니다.”고 밝히고, “여기서 출발하면 가까운 거북 바위와 해변을 볼 수 있고요, 코끼리 바위와 관음도, 울릉도의 분화구인 나리분지, 봉래폭포와 풍혈 그리고 호박식혜, 도동항 해안 산책로, 서면 해안도로에서의 일몰과 저동항 야경, 한국의 10대 절경 중 하나인 대풍감과 내륙 산림과 독도박물관을 둘러보시면 울릉도의 참다운 모습과 신비로움을 아시게 될 겁니다. 전국에 계신 고객 분들의 많은 방문 부탁드리며, 찾아오시는 분들에게 최선의 서비스와 추억을 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는 말로 울릉도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인사말을 남겼다.

 

주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봉래1길 19-32
예약 : 054-791-8817 / 010-8817-4165

 

프로필

 

전 울릉군군부녀회회장
경상북도새마을 이사
행복만들기 지부장
'초록우산, 희망풍차, 대한적십자, 사랑의 열매'에 각각 매월 5만원 후원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해양 생물들의 안식처가 된 환경재단의 바닷속 잘피숲…환경재단, '잘피숲' 조성으로 해양 생태계 복원 효과 입증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가 인증한 바닷속 핵심 탄소흡수원인 ‘잘피’가 국내 연안에서 탄소 흡수뿐만 아니라 해양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는 데도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한국수산자원공단 남해본부와 공동으로 진행한 '2023~2024년도 잘피 식재 사업 생물종다양성 연구'를 통해, 잘피숲 조성이 해양 생태계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함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는 잘피숲이 해양 생물들의 산란장과 안정적인 서식지를 제공하며, 풍부한 먹이원과 산소를 제공한 결과로 분석된다. 환경재단, 기업과 협력해 총 3만주의 잘피숲 조성…해양 생태계 복원 효과 입증 환경재단과 한국수산자원공단은 2023년부터 신한투자증권의 사회공헌 기금으로 통영시 용남면 화삼리 548㎡에 잘피 2만 주를, 롯데칠성음료와 함께 태안군 의항리 500㎡에 1만 주를 이식해 총 3만 주의 잘피숲을 조성했다. 이식된 잘피는 서식지를 확장하며 해양 생태계 회복 촉진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통영 선촌마을 해양보호구역에서는 1년 동안 서식 면적이 548㎡ 증가했으며, 태안 의항리 지역에서도 서식지 안정화와 함께 생태 환

정치

더보기
임오경 의원, 중앙행정기관 전문용어 표준화 ‘국어기본법’국회 본회의 통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앞으로 공공기관의 어려운 전문용어들이 국민들이 알기쉽게 표준화될 전망이다. 20일 문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임오경 국회의원(광명갑)이 대표발의한 국어기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현행 국어기본법은 전문용어를 국어화하고, 국민이 각 분야의 전문용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에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를 두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협의회가 형해화되어 있어 정부가 작성하는 공문서에는 여전히 외국어·외래어가 많아 국민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실제로 2024년 12월 기준 전체 48개 중앙행정기관 중 국가보훈부, 국토교통부, 재외동포청 등 15개의 중앙행정기관은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조차 설치하지 않았다. 그나마 협의회를 설치한 33개 기관 중 기획재정부, 법무부, 국방부 등 13개 기관은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개최 실적이 없어 사실상 국어기본법 규정이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임오경 의원 대표발의 국어기본법 개정안은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설치를 의무화하고, 연 1회 이상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회의 개최를 의무화하여 정부가 전문용어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