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1 (수)

  • 구름많음동두천 6.3℃
  • 흐림강릉 2.5℃
  • 맑음서울 7.6℃
  • 맑음대전 8.1℃
  • 구름많음대구 10.8℃
  • 구름많음울산 10.5℃
  • 구름조금광주 9.5℃
  • 구름많음부산 11.5℃
  • 구름많음고창 7.2℃
  • 맑음제주 11.5℃
  • 맑음강화 4.9℃
  • 맑음보은 7.2℃
  • 구름조금금산 7.4℃
  • 구름조금강진군 9.9℃
  • 구름조금경주시 11.4℃
  • 구름많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시인의 주량은 시대의 통곡과 같이하고 있어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이 땅은 술 마시게 한다>(1966년)의 권일송 시집의 제목이 새삼 회자 되는 시대다. 지난주 토요일 '착각의 시학', 송년회 자리. 통영에서 올라왔다는 시인은 지금의 시대를 권 시인의 시집 <이 땅은 술 마시게 한다>의 제목이 딱 떨어지는 시대라 한다.

권 시인과 함께 활동한 1960년대 동시대의 시인들이 대부분 전통적이거나 자연 친화적인 시의 경향을 보였다. 권일송 시인은 현실적이고 시사적인 사건들에서 소재를 즐겨 취하여 풍자·비판하는 주지적 시풍을 견지했다.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떠오르는 천년의 햇빛/ 지는 노을의 징검다리 위에서/ 독한 어둠을 불사르는/ 밋밋한 깃발이 있다// [중략]//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눈을 열면 심상치 않은 유린의 바람/ 그것은 외진 벼랑을 타고/ 미끄러. 져 내리는 살의와 이방의 꽃/ 짐승들의 머리 푼 주검이/ 놀에 비낀 텅 빈 광야의 한때// 허물어진 금관의 둘레 만큼이나/ 아아라히 저무는 가장 인간적인 것/ 무더운 원색의 여름날/ 땀 흘린 도주의 난간 위엔/ 처형을 기다리는 문명한 달과/ 디모크래시의 피 벌은 함성이/ 묻어나 있다//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스치는 바람결에 목을 늘여/ 만세록을 펼치고/ 서로의 더운 맨가슴을 마구/ 부비노라면/ 하나같이 열병을 앓는 사람들/ 포탄처럼 터지는 혁명의 석간(夕刊) 위엔/ 노상 술과 노래와 여자가 넘쳐난다//[중략]// 도는구나 세상이여/ 다섯 마당 여섯 마당… 열 마당째/ 돌고 도는구나 이승의 인연들이여/ 끝끝내 나의 사랑 선사(先史)의 하늘/ 타는 불씨를 땅속 깊이 묻을 양이면/ 비에 젖는 공화국 헌법 제1조//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부분이다.

시가 말하듯 시인의 주량은 시대의 통곡과 같이하고 있다. 날마다 맞는 아침은 위험한 아침이다. 한 줄의 뉴스가 속량(贖良)이 못 된다. 마음과 눈의 구속(拘束)이다. 문학은 마음에 선물을 얹어 주는 것이라면 시대의 소식은 편견과 미래가 주어지지 않는다.

사람이 사람을 꺼리고 기억은 순수가 아니라 일렁이는 파도 소리 뿐이다. 외로움과 우울증은 아무도 나에 대해 신경 쓰지 않을 때 생기는 것이 아니다. 나를 챙겨줄 거라 기대했던 그 사회(정부)가 나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을 때 생긴다. 미국의 뉴저지 심리학과에서 발표한 이야기다.

'저 사람은 그러지 않을 줄 알았는데 저 사람은 나를 좋아할 줄 알았는데 내 마음 같지 않았을 때 우울하고 외로운 사회가 된다'라 했다. 물론 내 마음과 똑같은 세상이나 나라는 그 어디에도 없다.

권일송 시인은 비에 젖은 공화국의 헌법 제1조가 뜨겁게 뜨겁게 이지러진 나의 조국이 되길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시인에게 장미의 5월은 울음이 그치지 않는다. 수풀에 누운 달빛이 고궁에 울린 동학의 말발굽 소리는 뗏목으로 흐르는 한여름의 통곡이고 만다. 시인은 실성한 듯 비 내리는 수유리 4.19 묘지를 달린다. 병든 시대와 미친 듯 술래잡기를 한다. 시인은 기대하며 누구에게 마음을, 주는 사람은 아니다.

이 밤 문득 내가 전했던 마음이 상대에게 닿지 않아도 쓸쓸하지 않다. 다만 그를 그리는 마음이 전해지는 것이 시인의 마음이다. 시인의 삶은 어차피, 고독한 부류기 때문이다. 우리는 말의 하나에서 살고 기쁨을 얻는다.

'사랑하다'와 '살다'라는 동사는 어원을 찾아가면, 결국은 같은 말에서 유래 됐다고 한다. 영어에서도 '살다(ive)'와 '사랑하다(love)'는 철자 하나 차이일 뿐이다. 산다는 것과 사랑한다는 것이 이렇게 비슷할까? 우리 사람 속에는 '사랑'이 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권일송 시인은 말하고 있다.

속박과 그 속박의 늪을 해치며 가슴까지 젖는 우울과 초저녁에 내리는 비, 시(詩)가 키우는 지구인의 행복으로 보았다. 헛되고 헛된 상실의 시대. 시인은 벽을 넘으면 초저녁의 밤 빗속에서 행복이 자라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헌법이 우리를 보호하려 하듯 그 헌법의 수호자는 시민에게 <이 땅은 술 마시게 한다>는 외로운 아침을 맞게 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시인이 꿈꾸는 세상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 평론가)

i24@daum.net
배너
심산문학진흥회, 2024년 제10회 '문덕수문학상' 및 제43회 '시문학상' 수상자 선정 발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평생을 한국문학 발전에 공헌한 故 문덕수·김규화 두 시인이 출연하여 설립한 재단법인 심산(心汕)문학진흥회(이사장 문준동)는 29일, 문덕수 선생을 기리는 2024년 제10회 '문덕수문학상' 수상자에 문학평론가 이숭원 서울여대 명예교수와 제43회 '시문학상' 수상자에 송영희·임애월 시인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매년 '문덕수문학상' 수상자에게는 1천만 원의 상금을, '시문학상' 수상자에게는 순금 5돈의 기념매달을 수여한다. 이번 제10회 '문덕수문학상' 및 제43회 '시문학상'의 본심위원은 전년도 수상자 임보 시인, 외부위촉 이은봉 시인(광주대학교 명예교수·대전문학관 관장), 감태준 시인(<현대문학> 편집장과 주간·중앙대학교 교수·한국시인협회 회장 역임), 이성천 시인(경희대학교 교수)과 김철교 운영위원장이 맡았다. 제10회 문덕수문학상, 제43회 시문학상 포럼 및 시상식은 오는 12월 2일(월)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문학의집·서울에서 개최된다. 재단법인 심산문학진흥회에서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오후 2시 제1부에 문덕수 문학상 기념포럼으로시작한다. 이승복 전 홍익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하는 포럼은 문덕수 시세계를 주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