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진달래> 시집, 세로쓰기의 향수

세로쓰기는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쓰여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세로쓰기의 편집,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권일송 시집은 1966년 9월 10일 발행 됐다. 137 페이지 책값은 250원이다. 판형은 세로쓰기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 <진달래> 김소월의 시집은 단기 4284년(서기 1950년)에 숭문사에서 펴냈다. 가격은 230원이다.

백석 시인의 정본 시집, 깊은샘 도서출판에서 원본 그대로 2007년 1월에 펴냈다. 당시의 가격을 표기하지 않았다. 정본이라는 말은 처음 펴낸 시집을 그대로 다시 만들었다는 말이다.

이들의 시집은 세로쓰기다. 세로쓰기는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쓰였다. 세로쓰기는 주로 한자의 사용과 관련이 깊다. 문서나 책의 디자인에 따라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편집이 됐다. 우리나라가 한문을 사용하던 시절에는 일본, 중국과 같이 세로쓰기를 자연스럽게 사용됐다. 대표적으로 성경도 그렇다. 세로쓰기는 문화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발전해 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책들은 가로쓰기로 시작되었다. 이처럼 인쇄술 발달과 함께 가로쓰기는 책의 판형에 자연스럽게 세계의 모든 나라는 가로쓰기에 자리를 잡았다. 우리나라도 서양의 책이 들어오고 타자기, 컴퓨터 자판의 일반화에 의해 가로쓰기는 어느 날 요이땅 하고 신호도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됐다. 굳이 역사를 표기하면 20세기 초로 기술함이 옮을 것이다.

이근배 시인이 2013년에 펴낸 <추사를 훔치다> 시집에는 제목은 세로쓰기, 본문은 가로쓰기했다. 이근배 시인이 제목을 세로쓰기하고 본문을 가로쓰기에는 나름의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하여 본다.

추사는 한문 쓰기의 명필가다. 한문 쓰기는 주로 세로쓰기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亂中日記)는 한문이다. 세로쓰기다. 그 시절에는 세로쓰기가 문화였다.

이근배 시인 시집의 편집은 추사를 떠올리게 하고, 그 시절의 문화를 편집에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는 제목을 세로쓰기로 한 것은 추사와 같은 곧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인 것으로 유추된다.

시도반이 <시화무> 시집을 내면서 제목을 세로쓰기했다. 시도반이 제목에서 세로쓰기는 본문의 시가 두 줄, 길게는 다섯 줄, 짧은 내용이다. 시각적으로 공백의 시각을 살리기 위해서 제목에 한해서만 세로로 편집하였다.

우리나라의 최초 신문인 <독립신문>은 1896년 4월 7일에 창간되어 1899년 12월 4일에 종간되었다. 독립신문은 우리글로 편집되고 가로쓰기를 했다. 200년 전, 한문 사용과 세로쓰기가 익숙하던 시절이다. 신문을 창간한 서재필, 유길준은 개화파다. 이들이 독립신문을 만든 것은 ‘독립문’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도 받았다. 신문은 근대민족주의·민주주의·자주화 근대화 사상을 강조했다. 국민을 계몽하는 일에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독립신문이 수구 정파 정부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면서 위기에 처했다. 정부는 매각을 강요하였고 이에 굴복, 1899년 12월 4일 자 신문을 끝으로 종간했다. 정부는 민간인의 신문사를 매수하며 속간을 약속했으나 결국 폐간됐다. 폐간을 위한 속임수였다.

독립신문이 나오던 편집의 형태는 타블로이드판 크기로 모두 4면이었다, 3면까지는 국판으로, 4면은 영문판으로 편집했다. 주 3회 화, 목, 토요일 격 일간으로 발행됐다. 1면은 대체로 논설과 신문사 광고, 2면에는 관보·외국 통신. 잡보, 한글판과 영문판으로 만들어졌다. 다분히 영어권의 사람도 읽히는 것에 착안을 둔 것으로 보인다.

서재필의 회상에 의하면 창간 당시 서울의 정동 본사 이외에 인천·원산·부산·개성·평양·수원·강화 등지에서 지국을 두었다. 신문의 부수는 300부씩 인쇄하던 것이 500부가 되고 나중에는 3,000부씩 발행하게 되었다 한다. 다른 자료에는 1898년 1월 독립협회 회원이 2,000명이었을 때 약 1,500부를 발행했다,

그해 11월 회원이 4,173명으로 늘었을 때 3,000부로 급증했다. 영문판은 미국, 영국·러시아·중국 등에 상당한 부수가 발송됐다. 영문판 발행 부수는 1898년 1월 약 200부였다. 개략적인 숫자지만 당시로 서는 많은 부수다. 오늘날은 한 집에 한 부를 보지만 당시는 여러 집이 돌려가며 보았던 것을 감 안, 상당히 폭넓게 회독하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시집의 가로쓰기 이야기가 너무 장황 설이 됐다.

가로쓰기의 시집은 활판으로 다소 투박하다. 그래도 가로쓰기의 <진달래>,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백석의 정본 시집은 학인의 서가에서는 가장 정면에 꼽혀, 가보와 같은 책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 평론가)

i24@daum.net
배너
한국산림문학회, 2024년 제13회 '녹색문학상'에 송용구 시인의 시집 <녹색 세입자> 선정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한국산림문학회(이사장 김선길)는 2024년 제13회 녹색문학상 수상작으로 송용구 시인의 시집 <녹색 세입자>를 선정하였다고 24일 밝혔다. 숲사랑·생명존중·녹색환경보전·정서녹화를 표제어로 하고 있는 녹색문학상운영위원회와 (사)한국산림문학회에서 주관하는 2024년도 제13회 녹색문학상 작품 공모는 지난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2달의 접수 기간동안 총 186편의 작품이 접수 되었으며 이중 중복, 부적격(동인지) 작품을 제외한 169건이 예선 심의에 올랐다. 예심에서는 시 2편, 시조1편, 소설1편, 수필1편, 아동문학 1편 등 총 6편을 선정하였고, 5명의 본심위원(김유조·허영자·하청호·장호병·최병암) 전원의 합의로 송용구 시인의 <녹색 세입자>를 수상작으로 선정하였다. 김유조 본심위원장은 심사평을 통해 "본 작품은 문명의 고도화에 따른 자연 파괴와 현 시대 우리 인류가 당면한 기후 위기에 경종을 울리는 생태시집으로, 특히 나무에 대한 시를 별도로 구분하면서도 숲의 회복을 염원하였다"면서 "주제에 대한 일관성이 녹색문학상 취지에 가장 부합하였으며 문학적 완성도도 뛰어났다"고 밝혔다. 송용구 시인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일상의 영웅을 응원합니다"…희망브리지, 참여형 캠페인 '나는 소방관입니다' 전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소방공무원의 처우 및 인식 개선을 위한 참여형 캠페인 ‘나는 소방관입니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캠페인은 희망브리지 홈페이지(https://hopebridge.or.kr/)에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촉구하는 성명서에 서명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성명서는 ▲소방관의 신체적·심리적 안전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 개선 방안 수립 ▲안전 확보를 위한 휴식시설 등 재원 투입 ▲순직 유가족 지원 개선 등을 촉구하고 있다. 추첨을 통해 매월 40명에게 방화복을 업사이클링한 파우치와 소방관 피규어 키링을 증정한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일선 현장에서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는 소방공무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이들이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희망브리지는 2016년부터 소방청 및 지역별 소방본부와 협업하며 ▲심신안정실 지원 ▲방역·방한 물품 지원 ▲방화복 전용 세탁·건조기 지원 ▲화재 피해 가정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배우 김태희, 박보영 등 유명 셀럽과 KB손해보험,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주요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