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맑음동두천 7.8℃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8.6℃
  • 구름조금대전 8.9℃
  • 맑음대구 7.5℃
  • 맑음울산 7.9℃
  • 구름많음광주 8.3℃
  • 맑음부산 9.6℃
  • 구름많음고창 8.8℃
  • 구름조금제주 10.6℃
  • 맑음강화 7.8℃
  • 구름조금보은 7.0℃
  • 구름많음금산 8.1℃
  • 맑음강진군 8.9℃
  • 구름조금경주시 8.9℃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시인과 배우들이 선망하는 안톤 체호프'

안톤 체호프, 이념과 편 가르기를 거부…허황한 담론과 영웅주의 대신 소박하고 평범한 덕목의 지식인을 조건으로 제시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연극 무대에 가장 많이 올려진 희곡 작가는 안톤 체호프(Anton Pavlovich Chekhov, 1860~1904)의 희곡이다. 그의 전용 극장이 삼성동에 있을 정도다. 나아가서 대학로에서 체호프의 공연은 일 년 내내 볼 수 있다. 엄청난 수의 단편 소설 집필로 유명하다.

1886년 한 해에만 무려 116편의 단편을 썼고 1887년엔 69편을 썼다. 의사인 체호프는 그저 취미로 소설을 썼다. 시간이 지나면서 작가로 명성도 얻으며 철학적인 주제를 내세웠다.

흥미로운 것은 체호프가 집필하는 당시 유럽에서는 원고료를 단어 수와 비례하여 매겼다. 이 무렵 유럽의 소설의 분량은 매우 방대했다. 도박으로 빚을 많이 진 도스토옙스키의 작품들이 유별나게 긴 것도 원고료 때문이다. 의사인 체호프는 고료에 관심이 크지 않았다.

그러기에 체호프의 작품은 간결하다. 재미있는 글의 경향을 보였다. 체호프는 톨스토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반면에 한국의 정지용 시인은 체호프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 러시아어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던 정지용은 자연 체호프의 작품에 빠져들었다.

체호프는 시를 썼다는 기록은 없다. 하지만 1888년 최고의 시인에게 주어지는 ‘푸시킨 상’을 수상하면서 문단의 주목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체호프의 멜리호보 기념관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약 6킬로 떨어진 작은 시골 마을이다. 체호프는 1892년부터 7년 반 동안 거주했던 곳이다.

여기서 희곡 '갈매기'를 비롯하여 여러 편의 대표작을 집필했고, 진료소를 열고 주민들의 무료 진료도 해주었다. 멜리호보에는 자택, 진료소, 소극장 등 여러 채의 건물로 이루어진 체호프 문학 기념관 단지로 조성되어 있다. 평생 의학과 문학을 같이 품었던 체호프의 흔적은 세기말 러시아를 넘어 우리에게도 지식의 본질에 시사한 바가 크다.

체호프가 지인에게 보낸 편지글은 진보와 과학, 지식의 열정을 믿었다. 그는 행동이 없는 러시아의 지성인을 경멸했다. "나는 우리의 지식인을 믿지 않습니다. 그들은 위선적인고 거룩한 척하고 신경질적이고 무례하고 게으릅니다."

이념과 편 가르기를 거부했다. "저는 자유주의자도 아니고 보수주의자도 아니고 수도사도 아니고 무관심 주의자도 아닙니다. 꼬리표와 라벨은 편견입니다."

체호프는 허황한 담론과 영웅주의 대신 소박하고 평범한 덕목의 지식인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체호프는 타인의 인격을 존중하며, 타인의 재산을 존중하며, 빚은 반드시 갚으며,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지식인은 건강한 마음을 유지해야 한다. 지식인은 정중하고 예의 바르게 처신해야 하며 법을 준수해야 한다. 이 정도면 지식인의 덕목이라기보다 그냥 인간의 도리라 해도 좋을 것 같다. 체호프는 "의사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치료한다."라는 말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사람에게는 늘 숙명이라는 것이, 있나 보다. 체호프는 1890년 시베리아 횡단 및 사할린 여행을 떠났다. 이곳에서 여행기 <시베리아에서>와 사할린 관찰 보고서인 <사할린섬>을 집필했다. 사회 고발적인 성격의 수필집이다. 불행하게도 이 여행 이후 폐결핵에 걸려 자주 앓아눕게 되었다. 그의 형과 아버지도 결핵으로 죽어서 그도 전염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시베리아에서 환자들을 진료해주면서 전염되었다는 설도 있다.

1901년 자신보다 8살이 연하인 배우자 올가 크닙폐르(1868~1959)와 결혼했다. 체호프는 점차 결핵이 심해져 44살의 나이에 눈을 감았다. 아내는 만 수를 누렸다. 체호프의 인세는 그를 부족함이 없이 살게 했다. 올가는 죽는 날까지 체호프의 기념관과 작품을 알리는 데 노력을 하였다.

체호프가 숨을 거두기 전 의사는 청진기를 조용히 내리며 고개를 돌려 말하기를 "마지막 가는 길에 샴페인을 주도록 하세요." 이 말에 올가는 울음을 터트리며 샴페인을 따랐고 결국 샴페인을 입에 머금은 그는 미소를 지으며 유언을 남겼다. “얼마 만에 마셔본 샴페인인지." 그리고 독일 바덴바일러 요양원에서 눈을 감았다.

수많은 후대의 소설가는 체호프의 단편 소설과 문체에 영향을 받았다. 버지니아 울프, 서머싯 몸, 캐서린 맨스필드, 네이딘 고디머 등 이름을 나열하기 버겁다.

한국의 정지용 이용악 천상병 윤동주 시인도 체호프의 영향을 받았다. 그가 별이 된 지도 120년이 되었다. 그의 대표작인 <벚꽃 동산> 공연은 늘 만석이다. 작가나 배우 관객, 연출가들에게 즐거운 징크스도 준다. 체호프의 작품에 맛을 들이면 내 삶이 정화된다. 쓸데없는 치열함과 경쟁심, 명예욕을 내려놓고 나 자신을 똑바로 보게 만든다고 한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학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차인표·신애라 부부, 산불 피해 성금 1억 원 기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배우 차인표·신애라 부부가 경북·경남·울산 등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1억 원을 기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기부금은 울산·경북·경남 등 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긴급구호, 생필품 제공, 임시 대피소 운영 등 복구와 일상 회복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두 사람은 "산불로 피해를 입은 분들게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라며 "산은 탔지만, 희망은 타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힘내세요"라고 희망브리지에 전했다. 차인표·신애라 부부는 이번 기부를 계기로 개인 고액 기부자 모임인 '희망브리지 아너스클럽' 회원으로 위촉돼, 향후 재난피해 이웃과 재난 취약계층 지원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나눔문화 확산에 노력하기로 했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함께해 주신 따뜻한 마음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산은 탔지만, 희망은 타지 않았다’는 말씀처럼 희망브리지는 피해 이웃들이 희망을 잃지 않도록,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희망브리지는 산불 피해지역에 구호키트, 대피소 칸막이, 모포, 생필품, 생수, 식품류 등 45만 점에 달하는 구호물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소방관 식사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