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 속에서는 더욱 겸허하게, 생활 속에서는 더욱 유쾌하게!
인류를 포용하는 강렬하고도 따뜻한 메시지,
홍대 앞에서 시작된 실험예술의 강렬한 물결이 섬진강으로 흘러 들어왔다.
2002년 첫발을 떼고 예술의 메카 홍대 앞을 휘감았던 한국실험예술제는 매해 의미 있는 화두를 던지며 성장했고 2014년 제주를 거쳐 2021년 회귀하듯 곡성에 닿았다. 제주에서부터 이어지던 환경, 생태에 대한 화두는 곡성의 농촌 환경 속에서 여느 예술축제, 여느 지역축제와는 다른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고, 대부분의 축제 행사들이 프로그램 중심이라면,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SIEAF)는 이를 뛰어넘은 메시지와 이슈에 집중한다.

2023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곡성에서 올해 좀 더 지구적인 차원의 변화와 이 변화가 시작되는 로컬의 의미에 주목하였다.
전 세계에서 모인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은 5일간 곡성의 산과 강, 그리고 생활공간을 무대로 지역과 조화할 수 있는 축제를 10개국 구갠 외 예술가와 지역민들이 함께 만들어가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가 심각한 현 시대에 불편함을 무릅쓰고 아름다움을 구하는 노력, 예술로서의 실험을 뛰어넘어 인간을 둘러싼 모든 환경적인 것들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실험, 작은 시도들이 가져오는 큰 변화의 가능성. 그런 것들이 과제가 되었다.
전위와 파격의 상징이었던 실험예술제가 작은 농촌지역인 곡성의 품에 안겼을 때, 그런 흥미롭고, 도전적이고, 가슴 뛰는 시도들은 이미 시작되었다.

자연 속에서는 더욱 겸허하게 생활 속에서는 더욱 유쾌하게.
예술과 무관한 거 같은 공간에서 마저 낯설지 만 유쾌하게, 흥미롭게 예술을 만나는 것만으로도 인간이 초래한 현실과 마주하고 진지하게 미래를 고민하는 것. 그것이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가 제시하는 예술적 방법론이다.

곡성이라는 작은 농촌 지역에서, 자연과 모든 생명의 가치에 대한 재발견과 보호.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가능성, 예술의 사회적 가치의 확장 등에 대한 실험을 계속함으로써 농촌에 이로운 파장을 가져오려고 한다.
그것이 바로 ‘글로컬 아트 웨이브’다.
chu714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