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여년을 흙과 불 그리고 자신의 정신과 함께 끝이 없는 다완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도예가로 스스로 쟁이가 되어 오늘도 '미완(未完)의 다완'을 빗고 있는 진묵 김상곤 도예가는 현재 명성이 높은 예술장인들만이 모여 있는 전북 무주군 전통공예테마파크 내에 위치한 '진묵도예'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김상곤 도예가는 '대한민국을 빛낸 21세기 한국인상'을 비롯해서 '전국다도기 공모전' 대상, '대한민국 남북통일 예술대전' 금상 등 굵직한 상을 휩쓸 만큼 도자공예 분야에서는 그의 실력을 인정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茶)와 관련된 작품을 하다 보니, 다도(茶道)에도 남다른 애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연유에서 인지 이번 전시 역시 찻사발, 즉 다완 전시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그가 빗어낸 작품 속 다완에는 그 어디에도 없을 것 같으면서도 우리에게 익숙한 자연스러움을 담고자 혼신의 노력을 다한 작가의 정신이 담겨져 있다.
이에 김상곤 도예가는 오랜 시간 동안 다완을 빗어 왔지만, 빗을 때마다 자신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을 만큼의 희열에 빠져 있다고 했다.
김상곤 도예가는 고등학교 미술반 활동을 하면서 알게 된 당시 홍익대 교수로 활동 중인 신상호 교수가 운영하는 부곡도방에서 한 달 간 작품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면서부터 시작된 도공의 꿈을 키워왔다.
대학 진학 후 학교에서의 배움에 답답함을 느껴 대학 3학년 때 직접 가스 가마를 구매하여 도자 공방을 운영할 만큼 열정을 보인 덕분에 누구보다도 일찍이 도자기(흙)와 불(火)의 무한한 관계를 깨닫게 되어 지금도 가마불에 대해서는 최고임을 자부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이런 완벽함은 다완만을 위한 전통가마를 직접 만들 수 밖에 없게 되었으며, 전통가마로 다완 작업을 할 때면 시간이 며칠씩 걸리지만, 피곤함은커녕 희열로 가득찬 희열을 느낀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가 깨달은 것은 오랜 시간 옛 선조들이 이어온 도공의 모습이 보이면서 나아가 '정호다완'이라면 일본인들이 죽고 못 산다는 이유를 깨닫게 되면서 이것이야 말로 바로 우리 민족이 가진 위대한 문화유산임을 깨달았다고 했다.

차(茶)문화가 발달한 일본에서 천왕마저 허리를 굽혀 절을 하며 신을 모시 듯하며, 국보로 삼을 만큼 예우를 받는다는 '정호다완'이나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서 가져간 찻잔의 생김새와 새겨진 문양을 탐미하며 경탄하면서 차를 즐겼다는 '이도다완'까지 이는 모두가 우리의 선조가 만든 '막사발'을 지칭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말에 막국수나 막걸리 등으로 일컫는 '막'이라는 말은 '마구', 어쩌면 아무 생각이 맘대로 만들어 낸 듯 하지만, 그렇다고 누구나가 아무렇게 만들어 낼 수 없는 것이 바로 '막사발'인 셈인데, 여기서 '막사발'이라는 말은 일본인들이 우리의 것을 천하게 여겨 낮춰 부른 말이라고 하나, 정작 자신들은 국보 내지는 보물급으로 귀중하게 여겼다고 하니, 일본인의 이중성을 엿 볼 수 있다.

"흙속에 묻혀 사는 것은 마치 숨겨진 보석을 찾는것과 같다"는 진묵 김상곤 도예가의 흙과 불, 그리고 그의 '쟁이'정신이 찾아내고 있는 보석 같은 작품들 '찻그릇' 전은 오는 9월 4일부터 11일까지 강남구 논현로 102길 19에 위치한 갤러리아 에아(Gallery Ea)에서 만날 수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