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최창일 시인의 여덟 번째 시집 <시원의 입술>이 도서출판 청어에서 출간되었다. <시원(詩園)의 입술>은 시의 정원이 말하는 은유다. 일곱 번째 시집 <시화무>에서도 시의 꽃이 무한대로 피운다는 순 우리말의 제목을 사용하여 우리글 빛냄으로 세종대왕을 빙그레 웃게 하였다.
김경수 시인은 "주제가 선명한 시다"라며 "계절을 붙여준다면 5월을 닮은 시어들이다. 짧은 시어가 행간의 여운이 넓고 크다"라고 했다.
양애경 교수는 시집의 감상평을 “감정도 키가 커가는 모습들로 연상하게 한다”라고 말한다.
또 산티아고 순례자의 길을 걷고 있는 최희양 시인은 "새들은 두 번을 그 길을 날지 않는다는 시어나, 가벼워지는 힘의 표현이 순례자의 발끝 서사를 인식하게 하는 시의 건축이다"라고 말한다.
최 시인은 "바야흐로 시가 위로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하며 "어려운 언어라도 나열하지 않으면 잠 못 이룬 밤이 된다"라고 이 시대를 가늠한다.
멈추지 않는 말들은 뜨거운 입김을 내뱉는다
깃발도 소리치고 한 번쯤 죽어봐도 좋을 캄캄한
소리 들이 울고 지나간다
진실은 사칭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성난 말들은 고삐를 놓고 목의 힘줄을 올린다
진리를 갉아먹은 배신의 그들에게 무엇을 기댈 것인가
수정할 수만 있다면 그날의 시간을 몽땅 새집으로 짓고 싶다
- '광장을 지나면서' 전문
시인이 보는 시대와 시의 광장은 그저 안타깝다. 감정이란 한낱 피사체 앞에서 민들레 씨앗처럼 날아가기 쉽다. 희망과 소망도 하나의 피사체다. 가벼운 종이로 만든 비행기처럼 대상과 나와의 사이의 풍경의 시가 날아간다.
최창일 시인은 시인에 영감(靈感)이 온다는 표현은 미학에 불과하다. 그런 추상은 집어치우라 고추 세운다. 고민과 고독, 실패 속에 영감이 들어있다. 어느 면에서 신(神)의 영역과 같은 근접이 어려운 고통의 길이라 한다.
홀로 섬 생활 사람에게
섬 생활의 제일 어려움을 물었다
모기 바람 독사라 한다
그리고 한참을 머뭇머뭇하다가
더 한 것이 있다고 한다
외로운 것
- '가장 어려운 것' 전문
시인의 시를 무심히 읽다 보면 찡하거나, 멍하게 하는 감정선들이 곳곳에 지뢰처럼 산재한다.
시집의 말미(末尾)에 나오는 해설을 자설(自說)이다.
평론가들이 많지만, 독자를 위하여 자설로 쓰는 것이 독자와 가까이 다가가는 길이라는 베려다. 시집을 받아든 김년균 시인은 자설과 함께 시를 감상하는 것이 시인의 언어 태도를 인식하게 한다고 한다.
이제까지 만난 적이 없다
사람들의 뼛조각들이 흙으로 돌아간
육신들이 누워 계시는 곳이다
그곳에 ‘폭풍의 언덕’ 작가
에밀리 브론테 묘비명이 선명하다
발소리를 죽일 정도로 평화롭다
그 순간만큼은 그들과 오래전부터
알고 지낸 사이처럼 친근함이 느껴졌다
내가 죽으면 이렇게 친근하게
묘지를 찾아주는 사람이 있을까
브론테는 흙이 되었으니 나는 나무가 되리
- '에밀리 브론테 묘지 걷기' 전문
시인은 20년 전 브론테의 묘지를 다녀왔다. 나이가 들며 시인은 브론테의 입장과 죽음에 대한 감정을 표현한다. 시인은 <에밀리 브론테 묘지 걷기>는 내면을 실감케 하는 시라고 자설에서 밝히고 있다. 영웅호걸도 언제인가, 어느 계곡의 흑에 머리를 누인다. 시인이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기억의 안과 밖을 내다보지 않는 어설픈 시의 요리사라고 에둘러 말한다.
나무도 외로우면
나무의 그림자를 부둥켜안고 지나는
바람의 그림자에 존재의, 이유를 말한다
- '고독의 원류' 전문
고독은 시의 본향으로 통한다. 깊숙이 아늑한 요람에서 흔들리는 것. 고독의 안과 밖은 구도자와 같은 의식의 중심에 있다. 그는 고독이라는 시에서 ‘가지마/가지마 ‘라는 단 두 마디의 시를 만든 적이 있다.
김은혁 시인은 얼마나 고독하면 고독마저 주저앉게 하려는 시인의 속셈이 보인다고 했다. 그렇다. 고독을 쉽사리 떠나보낸다면 고독한 사람이 아니다. 고독은 고독만이 알고 있는 심산(深山)의 마을이다.
최 시인은 노트북을 열고 '사람'을 입력하려다가 '시인’을 입력하였다. 사람과 시인은 같은 언어 속, 생물들로 분류하기도 한다. 시인에게 왜시느냐 물으면 시밖에 기댈 둔덕이 없지 않으냐 반문한다. 시가 뭐냐고 물었다. '권위를 버린 언어들이 사는 세상' 이라 <시 문답>을 통하여 답해준다.
시인은 말문을 닫으며 <시원의 입술>이 이 땅의 독자에게 ’생각의 이불‘이 되길 소망한다며 조용히 문을 닫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