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詩가 있는 아침] 김유제 시인의 '아침을 여는 여자'

'아침을 여는 여자', 한 편의 건축물을 지어내듯 모든 등장 요소들이 시 미학 형식으로 어우러져 한 편의 시를 빚어내

아침을 여는 여자
- 김유제 시인

언제나 먼저 일어나 아침을 연다
불안의 날들
어둠속에서 개꿈을 몇 자루나 꾸고
현실 같기도 한 대목들을 모두 지우고
학교 가는 아이의 뒷모습을 보다가
빨래를 시작한다
어제 세상의 악취가 풍기는 겉옷들을
물속에 담그면서
속옷 떨끝에 붙어 있는 찌꺼기들을
두 손으로 비벼 빨면서
술에 취해 혀 꼬부라진 술귀신을 어루만진다
그러다가 여자는 가슴을 열었다
늘 그랬던 것처럼
오늘도 큰가슴으로 아침을 열었다

Người phụ nữ đánh thức ban mai
(Trích trong tập thơ “Người phụ nữ đánh thức ban mai “của Kim Yoo-je)
- Kim Yoo-je

Bao giờ cũng dậy sớm để đánh thức ban mai
Những ngày đầy lo lắng
Mơ những giấc mơ vu vơ trong đêm dài thao thức
Tạm quên đi khó khăn hiện tại hàng ngày
Dõi từng bước con đến trường với cái nhìn trìu mến
Rồi quay về bắt đầu giặt giũ liền tay
Nhúng vào nước những chiếc áo khoác ngoài nhàu nhĩ
hôm qua bốc mùi hôi hám,
và những vết bẩn dính vào trong từng sợi tơ áo lót.
tay vò, tay giặt.. liền tay...
Quay vào nhà, xoa dịu con ma men đang líu la lúi lưỡi
rồi mở tung lồng ngực…
Cứ như thế mỗi ngày!
Hôm nay lại đánh thức ban mai bằng trái tim rộng mở.

- 베트남어 번역: 레땅환(Lê Đăng Hoan) 베트남작가협회 번역문학위원회의 한국어 번역가

■ Kim Yoo-je
Nhà điêu khắc trên đá, nhà thơ, nhà quản lí
Quê: Thành phố Bo Ryong, tỉnh Chung Cheong Nam
Là Ủy viên phát triển chính sách Hội nhà văn Hàn Quốc; Phó Chủ tịch hội nhà văn Tân văn văn học, Ủy vên Ban Giám đốc Hội nhà văn thành phố Chung-Nam
Là tác giả khắc bia kỉ niệm hợp tác văn học Việt Nam- Hàn Quốc đang trình bày ở thành phố Bo-Ryuong.
Sách XB: _ Tập thơ 'Mùa xuân ở ga Seoul'(1994), và 'Người phụ nữ mở ban mai'(2015)

충남 보령시 미산면 봉성리에서 석조각의 장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유제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아침을 여는 여자'의 표제시(標題詩)다. 김유제 시인은 2000년 <문예사조>로 등단한 이후 자신만의 시세계를 펼쳐온 석공예 장인이다.

김유제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아침을 여는 여자'는 한 편의 건축물을 지어내듯 모든 등장 요소들이 시 미학 형식으로 어우러져 한 편의 시를 빚어내고 동적인 서정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신세훈 전 (사)한국문인협회 이사장(시인)은 시인의 평설을 통해 "시인이 쓴 77편의 시중 반 수인 38편이 눈에 온다"고 높이 평가했다.

또한, 신 전 이사장은 "이런 평균율을 켜고 있는 시집 또한 오랫동안 보지 못하고 살다가 모처럼 이 시집을 대하고 보니 기분이 날 듯 가벼원진다"고 표현했다.

신 전 이사장은 "시인의 시를 감상하다 보면, 중년을 살아가는 독자들의 심정을 어찌 이리 잘 표현했을까 하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며 "너무 정제가 잘돼, 낭송해 보고 싶은 시 '우담바라', '아침을 여는 여자'도 있지만, 필자는 '낚시'가 더 눈에 들어 왔다"고 말했다.

신 전 이사장은 그러면서 "어쩌면 우리의 심정을 너무 잘 표현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며 "그의 시 '낚시'를 보면 돌 구른 강가, 온종일 앉아서 생각하면 깊을수록 안 보여 그속에 별별 것 다 들었다, 이젠 사람들도 다 알아 그 속에서 건질 것이 피라미나 메기 따위가 아니라는 걸, 허탕 빈손에 술만 걸치고 엉뚱한 것 건졌어도 이젠 아무도 뭐라 하지 못한다"는 어려서 꿈과 희망이 중년의 세월로 오면서 진실을 알게 되고 지혜로서 이를 이해하게 될 때, 마치 이 시와 같을 것이다"고 표했다.

김유제 시인은 그동안 일본 후지사와시 엔시마 '보령 공원' 작품도 제작하고, 거제시 캐릭터 조형 작품(몽돌이· 몽순이)도 손수 조각했다.

'온달과 평강'이라는 단양군 캐릭터 조형 작품, 정선군 석공예 단지 조향 작품, 시인의 고향 보령시 캐릭터 조형작품 '머돌이·머순이' 제작, 공주시 한일고료명 작품도 조각하고, 소설가 이문희 문학비를 세워 그곳을 '이문희 문학 공원'으로 조성케 하는가 하면,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를 이전한 곳의 도시 '세종특별자치시' 이름도 오석으로 크게 새겨 세워 놓았다.

김 시인은 특히 2019년 (사)한국현대시인협회와 베트남작가협회가 맺은 '한-베트남국제문학교류 협정'을 기념해 2020년 1월 '한국-베트남 문학교류 기념비'를 제작, '지석석공예예술원' 내에 설치하기도 했다. 

한편 김유제 시인은 이미 1983년도에 서울대학교 이순석 교수에게 석공예를 사사한 바 있고, 1988년도엔 일본 석공예 단지에까지 날아가 연수한 바 있다.

1991년 문헌 임원경제지중벼루 '석란석'을 발굴 제작, 1993년엔 인사동 한복판에서 '한국의 벼루 발표전'을 하고, 일본을 비롯한 전국 벼루 등 전시회를 수십 차례 열어왔다.

1994년엔 농림부 지정 전통 석공예 단지를 조성하고, 현재 '지석석공예예술원'(조각, 벼루)을 비롯하여 '봉성문학관', '봉성리 새소리 작은 도서관' 등을 운영해 오며 마을 전체를 최고의 '문화예술마을'로 조성해 오고 있다.

김 시인은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문학기념물조성위원회 위원장 △(사)국제PEN한국본부 이사 △충남문협충남도지회 충남시인협회 이사 △한국시조협회 이사 △보령문인협회 명예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으로는 제1집 '서울역의 봄', 제2집 '아침을 여는 여자' 등이 있다.

i24@daum.net
배너
(사)한국현대시인협회, "탈북민 문학과 통일 담론을 말하다"… 2025 심포지엄 및 문학기행, 9월 여주에서 개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현대시인협회(이사장 제갈정웅)가 주최하는 '2025 심포지엄 및 문학기행'이 오는 9월 25일(목)부터 26일(금)까지 이틀간 경기도 여주 썬밸리호텔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탈북민을 위한 문학, 통일을 위한 시인의 역할 2'라는 주제로, 탈북민의 삶과 문학을 성찰하고, 분단 현실 속에서 시인이 감당해야 할 문학적·윤리적 사명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한국현대시인협회는 2023년부터 이어온 이 주제의 연속 기획을 통해, 문학이 이념과 제도 너머의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사람의 언어'로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꾸준히 탐구해왔다. 특히 올해는 '통일을 위한 문학의 구체적 실천'에 방점을 두고, 탈북민 작가와 남한 문인들의 상호 소통과 이해를 촉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된다. 시인과 평론가, 탈북 작가가 함께하는 사유의 장 이번 행사는 이충우 여주시장의 축사로 문을 연다. 이어지는 기조발표는 이길원 전 (사)국제PEN한국본부 이사장(시인)이 맡아, 문학과 인권, 언어의 경계를 넘는 문인의 역할에 대해 발제할 예정이다. 주제발표에는 문학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홍용희 경희대학교 교수(평론가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희망브리지, 한국 재난 특성 반영한 '노인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고령사회에 발맞춰 한국 재난 특성을 반영한 '노인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을'시행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기후위기로 재난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재난 사망자의 61%가 60세 이상 고령자였으며, 2025년 대형 산불 사망자 31명 중 83%가 고령층이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서도 2023년 온열질환자 중 고령자 비율은 40%를 넘었고, 폭염 사망자 역시 절반 이상이 노년층이었다. 협회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노년층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체험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노인 스스로가 재난 대응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했다. 특히 고령인구가 집중된 재난다발지역을 중심으로 방문형 교육을 실시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재난안전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주안점을 뒀다. 교육은 자율 대응이 가능한 노인과 전면적인 지원이 필요한 노인으로 대상자를 구분해 단계별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요양시설, 복지센터 등 노년층 생활환경에 밀착한 장소에서 진행

정치

더보기
용혜인 의원 "'빠띠' 표적 감사는 정치적 모략…방통위, 부당한 과징금 철회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의 사회적협동조합 '빠띠'에 대한 재감사를 "정치적 표적 감사"로 규정하고, 부당한 보조금 환수와 과징금 부과를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용 의원은 30일 오후 1시 40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가짜뉴스를 먹고 자란 내란 세력이, 팩트 검증 활동을 눈엣가시처럼 여겨 뽑아내려는 정치적 모략을 자행하고 있다"며 "방통위의 감사는 명백한 표적 감사"라고 지적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가짜뉴스 검증을 위해 '팩트체크넷' 사업을 수행한 사회적협동조합 '빠띠'에 대해 재감사를 벌인 뒤, 인건비 과다 산정과 일부 보조금 목적 외 사용을 사유로 약 1억 7천만 원의 보조금 환수와 5억 7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용 의원은 "해당 사업은 2021년 사업 종료 당시 방통위 자체 감사에서 문제없다고 확인된 바 있다"며 "그로부터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감사를 진행한 것은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표적 감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전체 4개 단체가 함께 수행한 50억 원 규모의 사업에서, 빠띠가 집행한 사업비는 약 4억 원에 불과함에도 유독 '빠띠'에 대해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