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남편 문덕수 시인에 이어 김규화 시인마저 세상을 떠나며 부부가 발행해 온 52년 역사의 '시문학'은 2월호(통권 619호)를 끝으로 종간(終刊)한다.
김규화 시인이 이사장이던 심산문학진흥회 관계자는 "김규화 이사장이 1년간 폐암 투병을 하다가 별세하셨다"며 "시문학은 2월호를 끝으로 종간하고 다음 달 하순 심산문학진흥회 이사회에서 속간(續刊)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남 승주에서 태어난 김규화 시인은 동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66년 '현대문학'에 '죽음의 서장', '무위, '무심'이 추천돼 등단했다. 시인이며 문학평론가인 문덕수 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과 결혼했다. 1977년 문 시인이 시문학사를 인수하면서 남편과 함께 결호 없이 '시문학'을 발행했다.
'시문학'은 1971년 문덕수 시인 등이 주도해 현대문학 자매지로 창간한 월간 시전문지다. 1973년 7월호(통권 24호)부터 현대문학에서 독립해 문 시인이 편집인 겸 주간을 맡았으며, 1977년 문 시인이 시문학사를 인수하면서 김규화 시인이 발행인을 맡았다. 종간호인 2월호에는 김규화 시인의 유작이 된 '순간이 움직인다'와 '동학농민운동의 들녘에 피는 꽃' 등 두 편의 시가 실렸다.
심산문학진흥회 관계자는 "부부는 결호 없이 평생을 시문학에 바친 분들"이라며 "김규화 이사장이 지난 1월 27일 마지막 이사회에서 '정기 구독자들에게 남은 기간의 구독료를 정산해서 돌려주라'고 말씀하셨다. 이때 아들인 문준동(공주대 교수) 씨가 새 이사장으로 선임됐다"고 전했다.
조명제 평론가는 "'시문학'에 평생 정성과 열의를 바친 두 분의 정신을 유지하면서 추후 '시문학' 발행을 계속 이어가기란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말했다.
김규화 시인은 한국문인협회 이사, 한국여성문학인회 이사·자문위원, 국제PEN한국본부 회원, 좋은시문학회 회원, '진단시', '기픈시' 동인으로 활동했다. 2020∼2021년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중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며 대전대와 동덕여대에 출강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 '무심', '노래내기, '이상한 기도', '햇빛과 단풍', '매미소리', '과학적 이유 세 가지' 등이 있다. 시집 '이상한 기도', '노래내기', '관념여행', '평균서정', '멀어가는 가을', '망량이 그림자에게', '햇빛과 연애하네'를 펴냈다.
1986년 도천문학상, 1990년 동국문학상, 1992년 현대시인상, 1992년 동국문학상, 1995년 제32회 한국문학상, 2012년 제28회 펜문학상을 받았다.
빈소는 고려대안암병원 장례식장 103호실에 마련됐다. 장례는 한국현대시인협회장으로 치러지며 14일 오후 6시 장례식장에서 시문학 문인회, 심산문학진흥회가 합동으로 영결식을 연다. 15일 오전 발인하며 남편이 묻힌 대전국립현충원에 영면한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