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1 (토)

  • 맑음동두천 14.1℃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15.1℃
  • 맑음대전 15.1℃
  • 맑음대구 17.3℃
  • 맑음울산 16.4℃
  • 맑음광주 16.3℃
  • 맑음부산 18.0℃
  • 맑음고창 16.0℃
  • 구름조금제주 19.4℃
  • 맑음강화 14.3℃
  • 맑음보은 15.2℃
  • 맑음금산 15.0℃
  • -강진군 17.3℃
  • 맑음경주시 17.0℃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창문을 넘어온 추억'

영화 '라스트 레시피'의 명대사..."맛이라는 건 역사와 추억으로 기억된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가을 전어에 깻잎 생각납니다." 영국으로 떠난 후배 시인의 편지다. 텃밭의 깻잎을 갓 따왔다. 전어회를 된장에 싸 먹었다. 입안은 한동안 알싸함이 남아 있다. 깻잎의 향기가 어떻게 진동을 하는지 영국까지 따라왔다 한다.

신안 부두, 정자 식당에서 마셨던 토속 막걸리도 생각이 나서 날마다 비행기를 타고 한국으로 떠나는 꿈을 꾼다 한다.

"선배님! 48장의 추억이 생각나세요." 시(詩) 도반은 무슨 말인가 편지를 들여다본다. 화투 이야기다. 화투는 꽃 싸움이다. 매화, 난초, 솔, 벚꽃, 모란, 국화, 오동 따위의 열두 가지 그림이 각 네 장씩 나온다.

"땡잡았다"는 말은 화투의 노름판에서 상당히 높은 끗수에 해당하며 상대방을 크게 이긴다는 데서 생겨난 말이라 한다.

시 도반은 화투가 48장이라는 것을 한 번도 기억 속에 담아 둔 적 없다. 그저 화투려니 하고 대했다. 영국의 김 시인은 화투의 역사까지를 기억한다. 임진왜란 때 일본에서 전래 되었다는 설이 있다. 대략 조선 후기쯤, 1902년 황성신문에 실린 잡학 광고에 화투가 나왔다고 한다. 어림 120년의 역사를 가졌다.

'라스트 레시피(Last Recipe: Memory of Giraffe's Tongue)'의 영화는 제목부터 땅긴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음식의 마지막 레시피는 무엇일까. 초반에 추억의 오므라이스를 먹는 장면이다. 그 맛에 노인은 감격하고 만다.

시 도반은 문득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났다. 가시기 전 라스트 레시피를 해드리지 못한 것이 후회다. 어머니는 돌아가시는 날 며느리와 시장에 가서 평소보다 많은 시장바구니를 채웠다. 다양한 음식을 만들었다. 가족들과 즐거운 저녁 식탁을 했다. 그리고 늦은 밤에 세상 소풍을 끝내셨다. 제수씨는 이상하다 한다. 돌아가시기 전 왜 그렇게 음식을 했는지 궁금하다 한다. 마치 영화의 '라스트 레시피'의 주인공처럼이었다.

'라스트 레시피'의 영화의 명대사다. "맛이라는 건 역사와 추억으로 기억된다. 음식 속에는 음식이 단단하게 가지고 있는 시간과 시간이 지니는 역사와 그 역사를 이루는 개개인의 추억이 내밀하게 쌓여 있다."

서울 종로구 행촌동 1-88, 1-89에 가면 '딜큐샤(Dilkusha)' 건물이 있다. 사직터널 근처다. 3.1운동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가 살던 집이다. 연합통신(AP) 기자이며 사업가인 앨버트는 아내 메리 테일러를 위해 지은 집이다. 테일러는 배우이자 작가다.

<호박 목걸이>라는 저서도 있다. 호박 목걸이는 테일러와 메리 테일러가 결혼식 날 나눠 가진 사랑의 증표다. 조선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테일러의 시선으로 따라가는 의미도 재미있다. 집은 1926년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1930년 중건된 집을 2020년 복원하였다.

서울에 가면 제일 먼저 행촌동의 '딜큐샤'를 가보고 싶다고 김 시인은 편지에 쓰고 있다. '딜큐샤'는 인도어다. 기쁜 마음, 이상향이라는 뜻이다. 파란 눈으로 위태로움을 무릅쓰고 '3.1 독립선언문'을 갓 태어난 아들 브루스 밑에 감춰두었다가 그것을 전 세계에 알렸다.

1941년 일제에 의해 미국으로 추방을 당한다. 그는 유언에 죽음 후 한국에 묻히고 싶다 했다. 유언대로 서울 양화진 묘지에 묻혔다. 2017년에는 '딜큐샤의 추억' 책이 김세미, 이미진 작가에 의해 나왔다.

전장석 시인은 '서울, 딜큐사' 시집을 펴내기도 했다. 방송사에서 딜큐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수차에 내보기도 했다. 지금도 어느 방송사에서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있다는 소식도 있다.

예술 속에는 사람들의 추억에 관련된 소재 영화가 가장 많을 것이다. 모든 사람은 추억의 기록이 된다. 추억이 없는 사랑은 없다. 그래서 그리움은 추억이다. 그 시간, 마음 촉감, 소리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전남도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 사전경기로 벌써 '후끈'
(무안=미래일보) 이중래 기자 = 오는 10월 13일 제104회 전국체전의 개막을 앞두고 핸드볼 등 사전경기가 시작되며 전국체전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현재 전국체전의 사전경기가 도내 6개 경기장에서 5개 종목이 진행되고 있다. 전국체전 사전경기는 지난 8월 23일 무안종합스포츠파크에서 핸드볼 경기를 시작으로 ▲ 9월 15일 목포시 드림볼링장과 대화볼링장에서 볼링 ▲10월 9일 화순하니움 문화스포츠센터에서 배드민턴 ▲10월10일 목포하키장에서 하키 ▲ 10월11일 목포해양대학교에서 당구 순으로 진행된다. 사전경기는 전국종합체육대회 경기운영내규 제10조(경기일정)에 따라 올림픽대회 출전권 획득과 관련된 경기 등에 선수 대다수가 참여해, 종합체육대회 기간 중 경기 진행이 어려운 종목을 대상으로 대회 기간 전에 진행하는 것이다. 이번 전국체전의 경우 2024년 파리올림픽 예선전, 각 종목별 세계선수권 대회 등 기간과 중복돼 대회 기간 중 일정상 경기 진행이 어려운 종목에 대해 이뤄진다. 전남도는 사전경기 진행에 문제가 없도록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2달간 전국체전 경기장 전체를 대상으로 시설물 자체 점검을 했다. 7월부터 8월까지 2달간 추가로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순천 청암대 향장피부미용과 교수 등 징역형…광주지법 항소기각 (광주=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전남 순천시 청암대 여교수 2명이 명예훼손 및 개인정보보호법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징역형을 받은 가운데 광주지방법원은 이들 교수의 항소를 기각했다. 광주지방법원 제2형사부(김영아 부장판사)는 18일 오후 광주지방법원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서 순천 청암대 간호과 조모 교수와 향장피부미용과 윤모 교수의 명예훼손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 등 사건에서 1심 선고를 그대로 유지하는 항소기각 징역형 판결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에 대한 범죄사실이 인정되고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새로운 정상이 발견되지 않아 1심 판결이 부당해 보이지 않는다"라며 이같이 징역형 유지 판결을 선고했다. 법원은 그러면서 "피고인들에 대한 범죄사실 인정이 되며 개인정보처리 의무수칙 주장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라며 "피고인들은 사실을 주장했으나 혐의적 의심에 여지가 없다고 의심이 해소될 만한 여지가 없으며 새로운 정상이 발견되지 않고 1심 판결이 부당하다고 보이지 않는다"라고 판시했다. 이에 앞서 지난 2021년 10월 14일 1심에서 간호과 조모 교수는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16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을 선고 받았고, 초빙교수

정치

더보기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관변단체 보조금 급상승…자총·새마을·바르게 3대 관변단체 보조금 전수조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자유총연맹, 새마을운동중앙회, 바르게살기중앙협의회 등 3대 관변단체의 보조금 총액이 올해만 777억원으로 지난 5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5년간 총 보조금은 3291억원에 달했다. 윤석열 정부가 보조금 문제로 민간단체를 ‘이권 카르텔’로까지 지목했지만, 정작 관변단체에 관해서는 관리·감독을 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다. 17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각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제출받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3대 관변단체 보조금 현황’을 전수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한국자유총연맹, 새마을운동중앙회, 바르게살기중앙협의회 3개 관변단체에 지급된 국고보조금(224억2100만원)과 지방보조금(3067억2819만원)을 합쳐 총 3291억4919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대통령실이 2022년 정부가 지급한 비영리민간단체 2만7215곳에 5조4500억원 보조금을 지급했다고 발표한 만큼, 비영리단체 한 곳에 지급되는 보조금 규모로는 비교하기 힘들만큼 큰 규모인 셈이다. 대구광역시가 유일하게 자료 제출을 거부한 만큼 실제 보조금 총액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5년간 관변단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