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7년 전 『살아있는 사람이 꼭 해야 할 101가지』 산문집 내용의 글이다. 꾸준하게 스테디셀러로 읽히고 7년째 계속, 하루면 삼십여 명이 책을 구매한다 한다. 나는 작가로서 살아있는 동안 꼭 해야 할 101가지를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답을 못하는 것이 솔직하지 않을까.
선학들은 글 문이 막히고 삶의 해답이 필요하면 산책을 권하기도 한다. 선학의 말씀에 서오릉(西五陵. 조선 시대의 5개 왕릉을 모심) 산책에 나선다.
한 시간 코스로 고즈넉한 산책이다. 가다 보면 아주 초라한 장희빈(1659~1701. 제19대 숙종 후궁. 희대의 국정 농단 자)의 능이 나온다. 드라마에서 장희빈은 표독의 상징이다. 서오릉의 능들은 푸른 잔디 위에 크고 장엄하다. 임금 한 명당 만평에 이르는 능(陵)들이다. 장희빈의 능은 20여 평의 자그마하다. 그늘이 지고 외진 곳에 위치한다.
그곳을 지날 때마다 장희빈에게 연민이 간다. 왜 그렇게 살았을까. 자신을 스스로 찬찬히 들여다보지 못한 것일까. 푸른 하늘에 흘러가는 하얀 구름조각을 올려다보며 까닭 없는 질문이다. 그리고 서오릉을 나오면선 장희빈은 잊히는 사람이 되고 만다.
몇 걸음을 지나면서 일상의 세상에 귀의다. 선거의 계절이다. 정치는 국민의 슬픔에 스며드는 것이 공식이라 한다. 이것은 공자의 말씀이다. 하지만 요즘의 세상 돌아가는 모양은 도대체 정치인은 자신을 들여다보는 과정이 없는 듯하다. 비단 정치인만의 세상은 아니기에 그들만 탓하고 싶지 않다. 우리는 스스로를 찬찬히 들여다볼 수만 있다면 타인을 읽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누구에게나 상실이 덮쳐올 때면, 가장 힘든 시간일 것이다.
나의 스승 권일송 시인이 쓴, '청 사슴이 노래하는 모퉁이'라는 시의 구절이 있다. 나는 가끔 청 사슴이 노래하는 모퉁이는 어디일까. 궁금하다. 그곳은 문명과 떨어진 숲의 한가운데 아닐까. 그곳이라면 인간의 굴레라는 족쇄에서 벗어나는 공간이 아닐까.
우리는 함께 걷는 사람이 필요하다. 상실이 덮쳐올 때 함께 걷는 가족과 친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위기의 시간에 단절의 시간이 너무 길었다. 대학로를 걷다 보면 눈에 띄는 현수막이 밤쯤은 내려앉은 채 걸려 있다. "우리 상가는 재종을 울립니다."
풀어서 말할 필요도 없이 상인이 죽어가고 있다는 하소연이다. 검은 글씨에 상가(喪家)에서 올리는 리본도 같이 한다. 오죽 장사가 안 되고 문 닫는 형편에 몰리면서 내 걸린 현수막일까. 생각 세포의 한쪽이 아프다.
현수막 건너에는 젊은 청년이 붕어빵을 팔고 있다. 다섯 개에 천원이다. 붕어도 다이어트를 했나 보다. 예전 붕어빵 크기의 삼 분의 일쯤이다. 한 봉지를 사 들고 현수막 건너편 세련된 디자인의 철제 의자에 앉는다. 붕어빵을 유달리 좋아하신 아버지 생각이 난다.
김대중 대통령도 투석에 해롭다는 붕어빵을 이희호 여사 몰래 비서관을 시켜 먹었다는 붕어빵이다. 붕어빵은 한국의 대표적 즉석 빵이다. 이민을 간 문인이 한국에 오면 제일 먼저 먹고 싶은 것이 붕어빵이라 했다. 물론 개인적인 취향일 것이다.
노루 눈빛의 지도자가 필요한 사회다. 그런 사람과 걷고 싶다. 황당한 대선 뉴스는 필요하지 않다. 청 사슴 눈빛의 친구는 어디에 있을까. 청 사슴이 노래하는 그곳에서 우리 함께 걷고 싶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