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라일락꽃 가슴이 소태가 된 사연"

"사랑의 맛을 알려면 라일락 이파리를 씹어보라"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 속에 속하는 교목으로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에 뿌리를 내리고 살았다. 북한산 지킴이 노릇을 한 나에게 북한산을 제일 먼저 오른 사람을 기억하느냐고 묻는 사람도 있다. 나는 피식 웃으며 '나무꾼'이 아니냐며 실없는 농담을 주고받는다.

라일락꽃은 나 말고도 유럽의 남부지방, 따뜻한 곳에 이런저런 종들이 살고 있다. 시간은 흘러 새로운 종들이 탄생, 지금은 그 종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물론 알려 들면 모를 리 없지만 나는 그리 한가한 식물은 아니다. 한 가지 유념할 것은 도봉산의 나와 유럽 종은 다소 다른 얼굴을 가졌다.

5월이면 나는 어느 꽃보다 바쁘다.

시인 노천명은 '푸른 오월'이라는 시에서 "라일락 숲에/ 내 젊은 꿈이 나비처럼 앉은 정오/계절의 여왕 오월의 푸른 여신 앞에/ 내가 웬일로 무색하고 외롭구나"라고 낭송했다.

수필가 피천득 선생은 5월에 태어났다. 그리고 오월에 세상을 떠났다. 5월을 사랑한 그는 '오월'이라는 시를 남겼다. "오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다"

그래서 나는 오월이면 마치 시인처럼 설레고 바쁘다. 사실은 이렇게 한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누구에게나 삶이 파도이듯, 아픈 사연이 하나둘쯤 있지 않겠는가.

바야흐로 시간은 한국의 군정기인 1947년에 시작 된다. 당시 미국은 군인을 비롯하여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을 한국에 상주시켰다. 그중에는 캠프잭슨에 근무하는 미 군정청 소속 식물 채집가 엘원 M. 미더(Elwin M. Meader, 1910~1996))라는 사람이 근무했다.

그는 식물학자답게 주말이면 같은 사무실의 타이피스트 미스 김과 함께 북한산, 도봉산을 수시로 올랐다. 서울이라는 곳이 매력적이었다. 도심에서 쉽게 산을 접근하고 오르내리는 것이 마치 정원과 같았다.

5월의 쾌청한 날이었다. 나는 공중에 떠도는 공기양념을 통해, 향기를 만드는 시간이었다. 나의 철학은 순수자연 무공해 향기를 만드는 것이 신념이다. 연탄을 피우던 시절, 매연이 공기에 날리면 숨을 참아 냈다. 최상의 라일락의 향기를 만들기 위해서다.

한데 심각한 상황의 조짐이 보였다. 이것은 불길함도 아니고 그렇다고 좋은 것도 아니었다. 도봉산에 거주하는 나에게 식물학자 엘원은 그날따라 매의 눈으로 눈여겨 살폈다.

찬찬히 들여다보며 아무 말 없이 상념에 잠겼다. 그리고 미스 김과 산을 내려갔다. 엘원은 주말이면 의례히 나를 찾았다. 산행은 오로지 나를 보기 위한 것이 되었다. 붉은 휘파람의 시간, 씨앗을 맺게 되었다. 엘원은 씨앗을 습자지에 싸고 싸서 조심스럽게 채집통에 넣었다.

그는 한국의 근무를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 채집한 식물은 보물을 다루듯 소중하게 본국으로 가져갔다. 엘원은 도착과 함께 도봉산의 수수꽃다리종인 라일락을 그의 종묘장에 뿌려졌다.

100년 전 하와이나 멕시코에 이주한 우리나라 사람의 심정과도 다를 바는 아니었다. 그렇게 뿌리를 내렸고 무럭무럭 자라서 꽃을 피웠다. 다행인 것은 1905년 유카탄 반도(멕시코)에 끌려간 선조들과 같이 애니깽(Henequen, 밧줄 만드는 선인장의 일종. 김호선 감독의 1996년 영화)의 슬픈 대접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국땅에서 그리운 조국을 생각하며, 가슴은 쓰디 쓴 소태가 되어 버렸다. 그런 말이 있지 않는가. "사랑의 맛을 알려면 라일락 이파리를 씹어보라"는 말이다.

정말이지 나의 이파리는 쓰다. 생명에 지장이 없으니 한번쯤 맛보길 권한다. 엘원은 나의 이름을 미스 김이라 하고, 팻말도 그렇게 붙여 주었다. 엘원은 타이피스트 미스 김을 사랑하고 있었을 지도 모른다. 아니면 그가 한국에서 산을 오르내리는 것에 도움을 주었던 것을 기억하고 고마움에 그의 성을 붙였을 수도 있다.

엘원은 나를 멋진 라일락으로 개량하기 위해 노력을 다했다. 그리고 키 작은 '미스 김 라일락(Miss Kim Lilac, Syringa patula ‘Miss Kim’)' 품종을 만들어 냈다. 그렇게 탄생된 나는 1970년 한국으로 역 수출이 되어 돌아오게 되었다.

모습은 꽃봉오리가 맺힐 때는 진보라색, 점점 라벤다색으로 변하여 만개 시에는 하얀색으로 변하고 매혹적인 향기를 낸다. 배우 소피아로렌이 한눈에 반하여 몇 그루를 구입하여 정원에 심기도 했다. 그뿐이 아니다. 미국의 저명인사들은 하나 같이 모셔갔다.

나는 비오는 날에는 향기를 내놓지 않는다. 제아무리 비가 얼굴을 비벼도 향기는 움직이지 않는다. 다만 바람 부는 날에 향기를 내려놓아, 사람의 마을, 골목골목을 누비고 다닌다.

사람과의 교감이 좋았다. 그것은 신념이기도 했다.

문덕수 시인은 시 '라일락 향기'에서 나를 들어 "도둑 떼처럼 숨었다 와락/ 달려드는 라일락 향의 덩어리/간밤에 만주를 누비던 독립군이다"라고 비유하기도 했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한국문단의 뿌리와 오늘을 잇는 한국문인협회, <月刊文學> 2025년 9월 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가 발간하는 국내 대표 문예지 <月刊文學>(편집주간 김민정) 9월호(통권 679호)가 출간됐다. 이번 호는 문단의 흐름을 짚는 비평에서부터 신작시, 수필, 소설, 동화, 평론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실어 문학 독자들의 관심을 모은다. 1968년 창간 이후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한국 현대문학의 산실로 자리 잡아온 <月刊文學>은, 이번 호에서도 당대 문단의 동향과 신진 문학인의 목소리를 폭넓게 담아냈다. 권두언에서는 김영 시인이 '문단의 대장간이 사라지고 있다'를 통해 창작과 문단 환경의 변화를 짚었으며, 장건섭 시인은 '그 가을의 정거장'을 모티브로 작품 탄생의 비밀을 풀어냈다. 또 ‘이 시대 창작의 산실’ 코너에서는 박복조 시인이 산문과 시편을 통해 문학적 사유를 나눈다. 특집으로 마련된 경상북도문인협회 지역문학 특집에서는 김신중 경상북도 지회장의 기획 글 '깊이와 높이와 넓이를 갖춘 경상북도지회'와 함께 회원들의 시, 수필, 동시 등이 다채롭게 소개된다. 이는 지역문학의 뿌리와 확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으로 평가된다. ‘이달의 신작’ 코너에는 이영선, 성갑숙,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의기억연대 "1715차 수요시위, 일본대사관 맞은편 평화비 인근에서 진행"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촉구해온 수요시위가 다시 일본대사관을 향해 열린다.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오는 27일 열리는 제1715차 수요시위를 일본대사관 맞은편 평화비 인근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정의기억연대는 "비록 여전히 역사부정 세력의 집회 선점으로 평화비 바로 옆에서 진행하지는 못하지만, 원래처럼 일본대사관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시위를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시위, 피해자 명예 지켜온 자리" 1992년 시작된 수요시위는 피해자들과 시민들이 33년 넘게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 모여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요구해온 세계 최장기 시위다. 정의기억연대는 "시민들은 피해자의 명예와 인권이 회복되고 전쟁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자는 마음으로 평화로운 시위를 이어왔다"고 전했다. "역사부정 세력 방해, 경찰의 방치로 어려움 겪어" 그러나 2020년 이후 수요시위는 일본군 성노예제 부정 세력들의 선(先) 집회신고로 인해 제자리에서 밀려났다. 정의기억연대는 "그들은 집회를 하지 않으면서도 자리를 선점하거나, 소음을 내고 피해자 명예를 훼손하며 참

정치

더보기
민주·조국혁신당, "국민의힘 여성가족위원 보이콧 강력 규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회 여성가족위원회가 27일 전체회의를 열었으나 국민의힘 위원들의 불참으로 파행됐다. 이에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소속 여가위원들은 성명서를 내고 "국민의힘의 무책임한 보이콧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윤석열 정부 들어 장기간 장관 공석 상태에 놓인 여성가족부를 정상화하기 위해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 실시계획서를 채택하는 자리가었다. 그러나 여당 측인 국민의힘은 회의에 불참하며 의결은 무산됐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위원들은 성명에서 "여성가족부를 사실상 마비시킨 당사자인 국민의힘이 또다시 정치적으로 이를 이용하는 것은 철저히 국민을 외면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또한 이날 안건에는 2024년 회계연도 결산 상정을 비롯해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 △스토킹 방지 및 피해자 보호법 등 사회적 약자 보호와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법안 심사도 포함돼 있었다. 이들은 “국민의힘이 책임을 방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성명은 이어 "여성가족위원회를 파행으로 이끈 이인선 위원장은 즉각 사과하고 회의를 다시 소집해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무책임한 보이콧에 대해 국민께 사죄하고, 위원회 정상화에 협조할 것"을 촉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