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어 칼럼] 최창일 시인, "리터엉 세상, 웃어 봐요"

"유머란 동물 중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여백의 미"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사형수가 단두대에서 처형되기 직전 머리를 받침대 위에 올려놓는다. 사형집행인이 "마지막 할 말은 없는가" 물었다.

"내 수염은 잘리지 않도록 조심해 주슈. 그건 죄가 없으니…"

사형을 당하는 사람이 죽는 시간까지 유머감각을 잃지 않는다는 토머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정치공상소설 '유토피아(Utopia.1516)'의 중간에 나오는 구절이다.

우리의 정치인들은 물론, 너나없이 사람들의 이미지는 경직되고 있다. 선거기간에 나오는 언어는 모두가 격분의 대상이다. 아주 시시한 문제로 상대를 헐뜯는 정치인의 언행을 보면 이골이 난다.

조금은 진지해야 할 교육자, 종교 지도자까지 표독한 언어가 툭툭 튀어나온다. 그들에게 좀처럼 밝고 파안대소하는 장면은 별로 보지 못한 것 같다.

역사속의 인물들이지만 미국의 제40대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Ronald Wilson Reagan.1911~2004)은 미국 대통령 선거역사상 최대의 선거인단 크기로 이긴 대통령이다. 그의 유머감각은 널리 회자된다. 재선에 나섰던 레이건은 먼데일(Walter F(rederick) Mondale.1928~)에게 나이가 많은 것에 공격을 받았다.

먼데일, "레이건 대통령, 본인의 나이에 관해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레이건, "나는 이번 선거에서 나이를 문제 삼지 않기로 했습니다."

먼데일, "그게 무슨 말이죠?"

레이건, "당신이 젊고 경험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유머란 동물 중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여백의 미다. 사전에는 '유머감각'은 우습거나 재미있는 것을 감지하고 즐기고 표현하는 능력’이라고 정의 한다. 유머는 인간의 소중한 특성가운데 하나다. 옹알이 하는 아기의 배냇짓을 보면 인간은 말을 배우기 전에 이미 웃을 줄 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웃음은 정신적 특성이다. 철학자들은 웃음 연구에 적잖은 비중을 두었다. 르네 데카르트는 그의 마지막 저서 '영혼의 열정'에서 무려 세 개의 웃음 연구에 할애하며 무척 심혈을 기우려 연구한 흔적을 보인다.

스피노자는 웃음의 가치를 한껏 찬양하며 '순수한 기쁨'이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그는 인간이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필요한 무기이자 인간을 선하게 만드는 도구라는 묘사도 했다.

인간은 한 번 분노할 때 마다 한 살씩 늙어가고 한 번 웃을 때마다 한 살씩 젊어진다. 이것은 신이 우리에게 내린 최고의 선물이자 최악의 형벌이다.

죽은 자들이 누릴 수 있는 것은 영원한 명성뿐이지만, 살아 있는 사람은 영원히 누리 수 있는 것이 유머다. 성숙하지 못한 사람은 상대에게 지적을 하지만 성숙한 사람은 그 입을 통해 상대를 미소 짓게 한다는 말이 있다.

유머는 어느 면에서 보면 시와 같다. 유머는 현실을 직접 묘사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는 여유에서 비롯된다. 유머가 중요한 점은 사람들을 서로 친밀하게 이어준다는 것이다. 유머는 농담이 아니라 서로의 마음을 열어주는 가교구실을 한다.

어설프지만 결론의 유머다. 신부가 전도를 하고 산길을 가다가 사자와 맞닥뜨렸다. 신부는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했다. 주여! 이 사나운 맹수에게 그리스도의 마음을 부으소서!

그러자 놀랍게도 기적이 일어났다. 사자가 갑자기 걸음을 멈추고 신부 앞에 털썩 무릎을 꿇었다. 그리고 두발을 모아기도 했다. "하나님 이렇게 맛있는 음식을 주셔서 정말 감사 합니다. 아멘!"

칼럼 제목의 '리터엉'을 뒤로부터 읽으면서 피식 웃어본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원·시민 1,600명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해임해야" 국민감사 청구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광복회원과 일반시민 1,600여 명이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해임을 촉구하며 감사원에 국민감사를 청구했다.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19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제출한 요청서를 통해 "김 관장은 역사관·도덕성·자격 면에서 모두 부적격"이라며 즉각 해임을 요구했다. 광복회는 김 관장이 광복을 "연합국의 승리가 가져다 준 선물"이라고 규정한 발언을 문제 삼았다. 이는 독립운동의 가치를 부정하고 선열들의 희생을 모욕하는 망언이라는 주장이다. 또한 그는 ‘1948년 건국절’ 주장을 비롯해 임시정부 법통과 한일병합 불법성을 부정하는 발언을 해 왔다며, 대한민국 정체성과 정통성을 흔드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도덕성 논란도 제기됐다. 김 관장은 과거 대북지원사업 관련 국가보조금을 불법 수령해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으며, 이후 국비 연구비를 수령해 독립기념관장 응모 실적에 활용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직무 수행 역시 사실상 마비 상태라는 비판이 나온다. 독립기념관은 올해 광복 80주년 특별기념관 예산 240억 원을 집행하지 못한 채 반납 위기에 놓였으며, 경축식도 일방 취소됐다. 학계와 독립운동 단체, 내부 노조까지 김 관장의 역사관에 반대해

정치

더보기
전국 최초 '교량 음악분수' 탄생… 봉양순 서울시의원, 감사패 수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 노원구 경춘철교 상부에 전국 최초의 교량형 음악분수가 조성됐다. 버려진 철교 위에 새로운 문화를 심어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게 된 이번 사업은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 과정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한 결과다. 이에 노원구청은 지난 22일 열린 개장식에서 봉 의원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경춘철교 음악분수는 옛 경춘선 철교의 역사성을 문화 콘텐츠로 재해석한 공간이다. 레이저 4대와 미러 기술을 활용한 연출, 고·저음을 입체적으로 구현한 음향 시스템, 창작곡을 포함한 21곡의 음악 퍼포먼스가 어우러져 시청각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복합 공연 콘텐츠로 완성됐다. 개장식에서는 ▶기차 바퀴를 형상화한 '트위스터 분수', ▶큰 아치를 그리며 쏟아지는 '빅아치 분수', ▶다채로운 색채와 레이저 퍼포먼스가 함께 어우러진 장면이 선보여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봉양순 의원은 사업 구상 단계부터 실무 조율과 의사 결정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2024년도 서울시 예산 30억 원을 노원구로 재배정되도록 조정해 음악분수 설치를 현실화한 주역으로 평가된다. 이는 단순한 예산 확보를 넘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