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부산펜문학' 제17집에는 국제PEN한국본부 부산지역위원회 회원 50여 명이 출품한 시·시조·수필·번역·평론 등 다양한 작품이 담겼다.
'부산펜문학상' 특집코너에는 2020도 제8회 부산펜문학상 대상 수상작가 양은순 시인, 작품상 수상작가 최순덕 수필가, 작가상 수상작가 고승호 시인의 약력과 수상소감 그리고 작품은 물론 김석규·박옥위 심사위원의 심사평이 게재되었으며, 특별대담에는 김석규 고문의 문학인생을 돌아보는 편집부 인터뷰기사가 담겨 있다.
'나무' 외 1편(김석규), '시간마다 고여 있는' 외 1편(박송죽), '새를 위한 묵상' 외 1편(변종환), '떠돌이별' 외 1편(이상개) 고문의 시도 특집으로 조명되었고, 이외에도 문학언어치료학 관련 권대근 회장의 '문학언어치료학에 대한 소고', 김정애 평론가의 '수필창작의 치유성', 송명화 평론가의 '세 가지 힐링언어에 대한 소고' 등의 평론 특집과 세계여행을 테마로 한 김종수 회원의 '빅토리아 폭포에서 신의 음성을 들으며' 등 기행수필이 특집 '세계로 가는 길'이란 이름으로 선보였다.
자매도시 '광주펜' 회원들의 초대작품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박래흥 시인), 가시에 대하여(오소후 시인), 소개를 보며(이성자 아동문학가), 바이칼 호수는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전순 수필가) 등 주옥같은 작품들도 게재되었다.

권 회장은 이어 "금년 엔솔러지를 만드는 데 수고를 아끼지 않은 편집진 송명화 부회장과 최혜영 주간, 박경애 편집장에게 감사를 드린다"며 "회원들의 수준 높은 작품이 엔솔러지 안에서 또 하나의 문학축제를 열고 있어 나름대로 큰 결실이라 여겨진다"고 밝혔다.
회원들의 발표 작품으로는 김경희, 김미순, 김성화, 김월강, 김정권, 김정열, 김정헌, 김희영, 노유정, 박순미, 박옥위, 박혜경, 백승률, 백소율, 서주열, 선경숙, 손복순, 박혜숙, 왕선자, 윤유점, 윤충선, 이기택, 이명희, 이석래, 이용문, 이종대, 이채원, 장한라, 정정옥, 조성순, 차달숙, 최순해, 탁영완, 한연순, 황인숙 시인 등의 시 40여 편, 김정애, 김태수, 박경애, 송명화, 이태종, 정양혜, 정인호, 조경숙, 황성창 수필가 등의 수필이 10편, 권대근, 최혜영 평론가의 평론 2편, 영문번역 2편이 실려서 풍성한 문학의 정원을 이루고 있다.
한편 국제PEN한국본부 부산지역위원회는 오는 11월 30일 오후 3시 금강공원 금어사에서 '부산펜문학' 제17집 출판기념회를 부산펜문학상 시상식과 함께 갖는다고 밝혔다.
송명화 부산PEN 부회장은 "권대근 회장이 '부산펜문학' 발간 관련 인터뷰를 하면서도 책에 작품을 실은 회원들 이름이 한 사람도 신문기사에 빠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는 데서 그가 얼마나 부산PEN 회원들을 사랑하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았다"고 말했다.
이 책은 출판기념회 이후 회원 및 전국의 펜 회원들에게 증정된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