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먹방 시인 소동파'

동서를 넘어서 시인이 레시피를 160가지를 만든 것은 소동파가 유일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동서양을 넘어 시인의 독서량을 말하면 소동파(蘇東坡, 1036~1101)를 빼놓지 않는다. 900년 전의 소동파는 무려 1만권의 책을 읽었다. 그것도 인문학의 독서량이다. 소동파는 율(律법율)은 멀리한 시인이다. 율을 멀리 한 것이 화근이 되어 반대파의 공격을 받아 유배를 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요리는 '동파육(東坡肉)'이다. 소동파는 동파육의 레시피를 만들기도 했다. 그는 동파육 뿐 아니라 무려 160가지의 레시피를 만들어 세계적 중국요리와 먹방의 효시가 되었다.

동서를 넘어서 시인이 레시피를 160가지를 만든 것은 소동파가 유일하다. 오늘날 방송에서 명사들의 요리프로에 등장하는 것도 소동파의 배경으로 봐야 한다. 한국에서는 방식 조경명장이 KBS방송을 통하여 명사의 요리프로에 첫 출연의 기록도 있다.

여러 면에서 소동파는 900년 후, 먹방 시대를 예견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소동파가 동파육을 만든 송(宋)나라에서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던 시절이다. 소동파가 동파육을 만들고 돼지고기의 미각을 송나라 국민에게 알리므로 오늘날은 세계 1위의 돼지고기소비국이 되었다. 한국에서 ‘밥’이 곧 쌀이듯 중국에선 ‘돼지고기’다. 그래서 돼지고기는 육(肉)으로 쓰고 쇠고기는 우육(牛肉), 양고기(羊肉)으로 따로 쓴다.

중국은 년간 1인당 돼지 소비량이 무려 40kg이다. 물론 세계 1위(전 세계 생산량의 50.23%)다. 여기서 1위라는 것은 돼지고기 부분만을 말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돼지 사육이 세계 1위면서도 수입을 한다. 그리고 소비를 해결한다. 우리 한국인이 돼지고기의 삼겹살을 좋아 한다고 하지만 소비량은 세계 9위에 그친다. 이 같은 중국의 돼지고기 소비량은 소동파의 다양한 음식 레시피 결과다.

이왕 중국음식의 이야기가 나왔으니 중국집의 계산대에서 마주치는 조형물을 잠시 이야기하여보자. 검은 긴 수염에 근엄하면서 인자해 보이는 인물이 입구나 계산대 옆에 서 있는 것을 종종 본다. 중국을 여행하다보면 음식점은 물론 찻집, 호텔에도 흔히 보게 된다.

바로 삼국지에 나오는 '관우(關羽 중국의 민족적 대 영웅. 미상~219)'다. 중국에서는 '관우' 숭배는 대단해서 황제를 넘어 신의 반열에 있다. 우리나라에도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 있다. 보물 142호로 ‘동관왕묘’가 그것이다.

지하철 1호선과 6호선 역인 '동묘앞'은 '동관왕묘'를 줄인 말이고 '관왕'은 '관우'를 신격화해서 부른 말이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대가 조선에 오면서 남산기슭에 '남관왕묘'를, 동대문 밖에 '동관왕묘'를 세웠다. 이와 같은 것은 관우의 무공을 빌러 전쟁에서 승리하고 싶은 바람이었다.

그런데 조선은 명나라 군대가 물러간 후에도 ’관왕묘‘를 허물지 않았다. 그렇다고 특별히 제사를 지내는 것도 아니다. 그냥 방치하다가 숙종 때부터 '관왕묘'를 제대로 건사하기 시작 했다. 이상한 점은 무신 ’관우‘가 음식점이나 찻집, 가게 입구에서 날마다 돈을 벌게 해준다는 미신과 같은 것이다.

중국 사람들이 유별나게 재물 신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관우를 뒤로하고 새로운 재물신이 등장 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그룹 마윈 회장 사진을 걸고 있다고 한다.

소동파는 한국 문단에 끼친 영향도 크다. 우리 문단의 큰 별, 이규보는 소동파를 맨토로 여기며 시를 공부했다. 이규보 시인은 무려 2만수의 한시를 지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규보 선생이 이 같이 많은 시를 쓴 것은 과거 시험에 실패를 거듭 하면서 작품에 몰두한 결과라는 말도 있다. 결과론 적으로 이규보 선생의 늦깎이 과거 합격이 우리 후세 문인들에게는 좋은 작품을 보여주게 되었다.

조선 초기의 문신 김종직(1431~1492)시인도 소동파의 시로 공부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김부식(1075~1151)선생도 소동파의 영향을 받은 문인 중 한사람이다. 김부식의 동생 김부철의 이름이 소동파 (본명 軾)와 소철(蘇轍) 형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은 소동파에 대한 한국문인들의 추앙심을 보여주는 예이다.

소동파의 대표 시, '적벽부'는 유배지에서 자연을 노래한 시다. 소동파의 시는 세계적으로도 평가를 받는다. 그의 학문적 내용들은 우리나라 대학교 풀판부에서 가장 많이 펴내기도 했다.

이 같은 출판의 결과는 소동파의 탁월한 업적은 시문(詩文)으로 끝나지 않는다. 서예는 물론 중국의 문인화풍을 확립한 화가다. 공자의 사당에 함께 위패가 안치될 정도의 존경을 받는다. 그가 펴낸 동파주경(東坡酒經)이라는 요리책은 중국 쉐프들에게는 우리나라 동의보감(東醫寶鑑)과 같이 소중한 자료다.

동파육은 적은 물에 돼지고기, 각종 향신료 넣고 약한 불로 충분히 삶는 조리법이다. 소동파는 술보다 돼지고기를 더 사랑했다.

- 최창일 시인('시화무' 작가).

i24@daum.net
배너
"평택의 역사인물 다시 본다"…장승재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장, <평택정치 인사이더와 아웃사이더> 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장승재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장(대진대 특임교수)이 평택의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인물을 새롭게 조명한 저서 <평택정치 인사이더와 아웃사이더>를 10월 25일 도서출판 밥북을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평택 지역 역사인물의 재발견과 지역 문화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장 회장이 수년간 축적한 자료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됐다. 650년 세거 평택인, 고향 뿌리에서 인물사를 탐구하다 장승재 회장의 가문은 조선 태조 때부터 약 650년간 평택에 세거해온 명문가로, 그는 평택 출신 대표 인물인 암행어사 박문수 선생의 선양사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2020년에는 '암행어사박문수문화관'을, 2024년에는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를 설립하여 박문수 선생의 위민정신(爲民精神)을 계승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책 출간 또한 "고향 평택의 인물사를 되살려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고, 역사와 관광이 공존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연장선"이라는 게 장 회장의 설명이다. 인물사·군사사·문화사로 본 평택의 정체성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평택의 입향조와 정치 인물사'에서는 ▲평택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재)송호·지학장학재단, '제39회 송호장학금' 및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국내 굴지의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가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송호지학장학회관 지학홀에서 오는 10월 28일(화) 오후 2시, '제39회 송호장학금'과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이 열린다. 이번 수여식은 재단법인 송호·지학장학재단(이사장 정희준)이 주최하는 연례 장학행사로, 올해는 총 35명에게 1억 1천8백만 원의 장학금 및 연구비가 전달된다. 화성에서 피어난 39년의 교육 나무 '송호·지학장학재단'은 고(故) 정영덕 선생이 1985년 고향 화성 지역의 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한 '송호장학회'를 모태로 한다. '송호(松湖)'는 선친의 아호로, 선친의 뜻을 이은 장남 정희준 이사장이 2009년 재단법인으로 확대 개편하여 현재의 송호·지학장학재단으로 이어오고 있다. 1987년부터 시작된 '송호장학금'은 화성 시내 고교 재학생 중 학업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발해 지원해 왔으며, 올해 역시 화성 남양고등학교 재학생 10명에게 총 1천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한편 2010년부터 시행된 '지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장학 제도로, 실질적 연구성과를

정치

더보기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여성기업은 경제 핵심 주체. 경기도가 버팀목 될 것" (수원=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24일 전국 여성 CEO들이 모인 자리에서 "여성기업이 축적된 역량과 성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경제의 핵심 주체로 확실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고 밝혔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이날 시흥시에서 열린 '2025년 전국 여성 CEO 경영연수'에서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고 부지사는 "경기도는 전국에서 여성 중소기업의 수와 매출액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며 "이미 85만 개가 넘는 여성기업이 172조 원의 매출과 141만 명의 고용을 책임지며 명실상부한 경기도 경제의 핵심축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이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 여성기업이 창업 초기부터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더 넓은 무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2025년 여성기업 지원 정책을 통해 창업초기 여성기업 30개사를 비롯, 도내 여성기업 56개사에 마케팅 사업화 지원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별 평균 매출액 7억 원, 수출액 15만 달러가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경기북부와 남부에서 여성경제인대회를 열어 600여 개 기업이 참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