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 원내대표는 임기 종료를 앞두고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선거 이틀 전 아동수당을 40만원씩 뿌려댔고, 코로나 지원금을 4월 말부터 신청하라며 대통령부터 나서서 100만원씩 준다고 했고, 기획재정부에서 (지원금 지급 대상을) 50%로 잡은 걸 선거 때 70%로, 다시 전 국민으로 확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심 원내대표는 "이번에도 포퓰리즘이 위력을 발휘했는데, 앞으로도 포퓰리즘이 크게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모든 선거를 앞두고 정책의 이름으로, 제도의 이름으로 공식적인 포퓰리즘이 극성을 부리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심 원내대표는 이어 "내일 신임 원내대표 선거에서 이 문제는 분명 쟁점으로 등장할 것"이라며 "당선인들이 어떻게 판단할지, 그것이 선거 결과로 나타날 것이라 본다"고 전망했다.
8일 선출되는 신임 원내지도부에 대해서는 "원칙 있고 유연하게 협상해야 하지만, 현실은 대단히 팍팍할 것"이라며 "내일 선출되는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당선인들, 사무처 당직자들, 보좌진들, 당원 모두가 합심해 당을 새롭고 튼튼하게 잘 꾸려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통합당이 지역구 84석, 미래한국당을 합쳐 103석을 얻는 데 그치면서 대여 협상이 지난할 것으로 본 것이다.
그는 "여당은 개헌 빼고 다 할 수 있는 상황이다. '국회 선진화법'도 전혀 개의치 않고 무력화시키면서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도대체 얼마만큼 한국의 자랑스러운 모습들이 망가지게 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심 원내대표는 4·15 총선 결과에 대해서는 "당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서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국민이 바라는 개혁과 변화를 제대로 하지 못했고, 국민이 원하는 눈높이에 행동을 맞추지 못했다. 그래서 예전의 이미지를 탈각하지 못했다. 바로 그런 점 때문에 이번에 득표에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심 원내대표는 "선거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점은 매표용 현금살포였다고 생각한다"며 "아동수당을 40만원 뿌려댔고, 코로나19 지원금을 신청하라고 대통령이 나서서 100만원씩 준다고 하는 등 매표용 헬리콥터 현금살포가 표심을 크게 흔들었다"고 주장했다.

"셋째는 김대호·차명진 후보의 막말도 영향을 미쳤고, 황교안 전 대표의 리더십 문제, 특히 당 대표 얼굴이 국민에 믿음을 주지 못했다는 것이 사후 여론조사에서 나왔다"고 지적했다.
심 원내대표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를 띄우려고 지난달 28일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당헌을 개정하려다가 불발된 데 대해서는 "일부의 압력이 분명히 있었고, 바로 그것 때문에 상임전국위가 무산된 안타까운 상황이 됐다"며 "내일 신임 원내대표 선거에서도 이 문제는 분명히 논점으로 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합당은 지난달 28일 심 원내대표 주도 아래 전국위원회를 열어 김종인 비대위원장 임명안을 의결했지만, 비대위 임기 문제를 해결할 당헌 개정이 상임전국위 정족수 미달로 무산된 상태다.
지난해 12월 초 선출된 그는 지난 5개월간의 임기에 대해 "원내대표를 맡자마자 예산안을 맞닥뜨렸고, 4+1이라는 괴물 협의체가 국회를 완전히 망가뜨려 타협·협상을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공수처법, 검경수사권 조정법 등을 필리버스터로 저지하려 했지만, 수적 우세를 앞세운 (여당의) 오만을 극복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심 원내대표는 "두고두고 후과를 남긴 것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인데, 여당이 도입할 때 '정치개혁, 선거 개혁'이라고 한 것은 거짓말이었다는 것이 드러났다"며 "잘못된 선거법은 반드시 고쳐야 하고, 괴물 같은 누더기 제도로 대한민국의 선거가 오염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추후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연구소나 만들어서 공부도 좀 하면서 지낼까 한다"고 말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