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가 김금희 씨(41)가 저작권을 일정 기간 양도하라는 출판사 요구를 문제 삼아 '이상(李箱)문학상'을 공개적으로 거부의사를 밝혔다.
문학사상사가 1977년 만든 '이상문학상'은 국내 대표적인 문학상 중 하나다.
김금희 소설가는 최근 2020년 제44회 '이상문학상' 우수자로 선정됐다는 통보를 받았지만 수상을 거부하기로 했다. 그는 지난 4일 트위트에 "어제 모 상의 수상후보작이 되었다는 전화를 받고 일차적으로 기쁜 마음이었다. 그런데 오후에 계약서를 받고 참담해졌고 수정 요구를 했지만 끝내 받아드려지지 않았다. 거기에는 내 단편의 저작권을 3년간 양도한다는 내용이 있었다"고 적었다.
'이상문학상'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상이다. 거기에는 문학사상을 창간하고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낸 이어령 작가의 기획력과 경영 수완이 '이상문학상'의 권위를 만들기에 부족하지 않았다. '이상문학상'의 수상소설을 펴내면 3, 40만부는 거뜬히 팔려나갔다.
'이상문학상'은 대상과 우수작품으로 나누어 수상작품을 뽑는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권위와 자존심을 명예로 사는 기성 작가의 작품을 대상, 우수상으로 나누어 뽑는 형식도 문제다. 문학에서 우열을 만드는 것은 불쾌한 현상중 하나다. 두 개의 작품을 펴냄으로 책의 부피와 판매력에 도움을 주기 때문으로 보인다.
세계 권위 있는 수상작들은 대상, 우수상으로 구분하여 뽑지 않는다.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는 '노벨문학상(Nobel Prize in Literature)', 영국의 '맨부커상(Man Booker Prize)' 프랑스의 '콩쿠르상(Prix Goncourt)'은 대상과 본상이 따로 없다.
한국만이 유일하게 일부 단체가 대상과 본상을 구분하여 수상자를 뽑는 형식을 취한다. 국내에서도 권위를 가진 문학상은 대상, 우수상, 또는 본상으로 나누어 수상자를 내지 않는다. (사)한국현대시인협회가 주는 시인상은 한 사람의 수상자를 내고 있다. 오염되지 않는 수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일부 잡지사나 소속이 불분명한 단체들이 대상, 우수상, 본상을 만들어 수상자를 내고 있다. 일부작가는 이러한 수상에 반감을 가지고 수상을 취소하는 일들이 있었다. 최근 C시인도 모 잡지사의 이 같은 모순에 수상을 거부하였다. 다만 C시인은 잡지사의 대표와의 인간적 관계로 수상을 거부하고 표면화 하지 않았다.
일부 잡지사, 문학단체는 수상자에게 금품을 요구하기도 한다. 한국을 대표하고 가장 많은 회원을 가진 문학단체는 수상자를 선정하는데 선거에 이용하는 일이 관행처럼 되는 실정이다.
어느 단체는 형식적으로 상금을 주고 다시 후원금 형식으로 반납하게 한다. 그날의 행사비는 수상자가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수상제도에 작가 스스로가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받아드리고 있다.
소설가 김금희 씨가 '이상문학상'의 봉건적 계약을 거부하고 수면 위로 올리는 것은 매우 용기 있는 태도다. 신춘문예가 신인들을 발굴하는 잔치라면, '이상문학상'은 기성작가들 중 최고의 작품을 예우하는 것이다.
'이상문학상'은 이상이라는 천재작가의 권위에 기대어 대표적인 문학상으로 인식되었다.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라면 빨간 띠를 두른 수상 작품집을 한 권 정도 소장하는 것은 부자가 되는 기분이 되고도 남는다.
하지만 문학사상사는 이상 작가의 권위를 스스로 훼손하고 말았다. 문학사상의 운영진은 대개가 문인들로 이루어 졌다. 작가가 작가에게 공정성을 무너뜨리고 자존감을 허물어뜨렸다는 것은 심각한 유린이다.
1910년 서울에서 태어나 27년의 짧은 생을 살았던, 천재 작가 이상에 대한 예우도 아니다.
김금희 소설가는 말한다. "예술가를 격려하기 위한 시상을 한다면 그들의 노고와 권위를 존중하세요."
상(箱) 선배님, 후배 시인으로 미안하고 부끄럽습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