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맑음동두천 12.1℃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13.3℃
  • 맑음대전 13.0℃
  • 맑음대구 14.3℃
  • 구름조금울산 14.7℃
  • 맑음광주 13.0℃
  • 구름많음부산 15.6℃
  • 맑음고창 10.7℃
  • 흐림제주 16.8℃
  • 맑음강화 12.5℃
  • 맑음보은 10.7℃
  • 맑음금산 12.3℃
  • 구름많음강진군 12.8℃
  • 맑음경주시 15.2℃
  • 구름많음거제 15.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100조원의 기금을 조성하는 나무'

"시(詩)가 언어로 세운 집이라면, 아이비리그의 대학은 기부 모금액으로 상아탑을 세우며 운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년 100조원의 기금을 조성하는 나무가 있다. 그런가 하면 사람의 사랑에 도움을 주는 나무도 있다. 예수님의 십자가에 못 박히는 현장에 아픔을 같이한 나무도 있다.

그 대표적인 3종(種)의 나무 중에 첫 번째는 단연 장미다. 장미는 사람과 사랑의 중심에 있다는 것. 설명이 필요치 않다. 꽃시장의 85%를 점유한다. 경제적인 규모는 통계에 잡히지 않으나 상상을 넘을 것으로 본다. 그 종(種)은 250종에 불과 했으나 지금은 5천종이 넘는다. 신부(新婦)의 부케에 장미가 들어가지 않으면 무형(無形)의 부케다.

두 번째, 성경의 중심에는 대추나무가 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는 가운데, 가시 면류관으로 사용된 대추나무는 인류 구원의 역사를 같이 쓴 나무로 분류한다.

세 번째, 아이비 나무다, 우리말로는 담쟁이 나무다. 그런데 그 아이비 나무는 미국의 동부명문 대학 8개 사립대학을 상징하고 있다. 미국에서 자녀를 둔 부모라면 누구나 한번쯤 자신의 아이가 동부의 명문 사립대학에 진학하는 희망을 가져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미국 뿐 아니라 전 세계 학부모의 바람이기도 하다. 한국의 학부형들은 아이비 가는 방법을 전문컨설팅을 통하여 상담을 받기도 한다. 그만큼 아이비명문대학에 대한 희망이 크다는 것이다.

‘아이비리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담을 타고 올라가는 식물인 담쟁이덩굴을 의미하는 ‘아이비’와 스포츠경기 같은 것에 사용하는 단어인 '리그'가 합해져 '아이비리그'라는 고유명사가 되었다. 어떻게 보면 명문대학 그룹을 지칭하는 단어와는 조금 거리가 먼 것 같이 느껴질 수 있다.

이것은 원래 미 동부의 여덟 개 사립대학의 스포츠 팀들이 모여 치르는 운동회 행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렇다면 ‘리그’라는 부분은 운동회에서 비롯되었다지만, 담쟁이 덩굴인 '아이비' 단어는 왜 사용하게 되었을까?

학교 건물의 벽이 무성한 담쟁이덩굴로 덮여있는 것은 그 학교의 역사가 오래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학생들은 그런 전통에 대한 존경심을 가졌다.

그래서 1800년대에는 담쟁이덩굴 심기가 학교마다 연례행사로 열렸다. 1850년 하버드(Harvard University)에서 학기일정에 담쟁이 심기를 넣었을 정도다. 1873년 유니버시티 오브 펜실베이니아(유펜, Univeristy of Pennsylvania)에서는 매년 봄 담쟁이덩굴을 심기로 하고 1874년 아이비 날(Ivy Day)을 지정하게 되었다.

이후 담쟁이덩굴 심기는 예일(Yale University)에서 다른 대학으로 퍼져 나나기 시작했다. 1879년에는 프린스턴(Princeton University)에서 아이비클럽이 발족하게 되었다.

이렇게 담쟁이덩굴에 얽힌 사연이 있었는데 이런 명문대학들을 아이비리그라는 명칭을 처음 이야기한 사람은 1933년 10월14일, 뉴욕헤럴드트리뷴(New York Herald-Tribune)의 스포츠기자였던 스탠리 우드워드(Stanley Woodward)가 축구시즌을 설명하면서 시작되었다.

하버드, 프린스턴, 펜실베니어, 예일, 브라운(Brown University), 컬럼비아(Columbia University), 코넬(Connell University), 다트머스(Dartmouth University) 의 8개 대학을 지칭하게 되었다.

문제는 아이비 식물을 상징으로 사용하는 대학들이 세계역사에 미치는 영향력이다.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기준이 되는 것은 학교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금조성의 규모를 보면 알 수 있다. 2011년 하버드에 조성된 기금은 한화로 35조원 정도다. 예일의 2012년 조성 기금이 20조원이 조금 넘는다.

펜실베이니아는 2012년 7조원 정도다. 프린스턴 2012년 18조원, 컬럼비아 2011년 8조원, 브라운 2조7천억 원, 다트머스 2011년 3조6천억 원, 코넬 2011년 5조 5천억 원 정도다.

우리 한국의 대학들이 1년에 모금액은 많아야 천억 원 정도다. 미국의 아이비대학의 기금조성 규모를 보면 마치 작은 나라의 예산을 비교하게 된다. 8개 대학의 1년 기금조성 액수를 합하면 한화로 100조원 정도가 된다. 이것은 한국정부 예산의 5분의 1 수준이다.

이렇게 보면 분명 아이비의 상징성은 크다. 중요한 것은 아이비가 인생에 성공을 하거나 못하거나 개인적 문제다. 나아가서 순위를 매겨지는 것도 의미는 없다. 다만 아이비를 상징으로 하는 대학이 학문을 탐구하는데 구김살 없이 대학 본연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흔하게 대하는 식물, 담쟁이가 사람의 역사에 간섭을 하고 있는 것은 현실이다. 시(詩)가 언어로 세운 집이라면, 아이비리그의 대학은 기부모금액으로 상아탑을 세우며 운영되고 있다.

- 최창일(시인·이미지문화학자)

i24@daum.net

배너
(사)한국문인협회 소설분과, <141작가 문장, 필사책> 출판기념회 및 제9회 아름다운 소설가상 시상식 개최… "141인의 문장이 다시 숨 쉬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한국문인협회 소설분과(회장 김영두)는 11월 7일(금) 오후 4시, 서울 예술가의 집에서 (사)한국문인협회와 (주)김앤정컴퍼니 후원으로 <141작가 문장, 필사책> 출판기념회와 제9회 아름다운 소설가상 시상식, 그리고 2025년 송년회를 함께 열며 한 해를 마무리하는 문학적 잔치를 펼쳤다. <141작가 문장, 필사책>은 한국문단을 대표하는 141명의 작가들이 각자의 대표 문장을 공유하며, 독자와의 감각적 교류를 시도한 독창적 기획서다. 부제 '개성 있는 소설가 문장 따라쓰기'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문학의 본질을 '읽기에서 쓰기로', 다시 '체험으로' 확장하는 실험의 장이기도 하다. 작가의 언어가 독자의 손끝에서 다시 숨 쉬며, 문학의 생명력이 되살아난다. "문장이 손끝을 통해 다시 태어날 때, 문학은 삶이 된다" 행사는 김성달 (사)한국문인협회 이사(소설가)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김영두 소설분과 회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출판기념회의 기획 의의와 필사책 프로젝트의 사회적 의미를 설명하며 "짧은 문장을 필사하는 동안 독자들은 작가와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대화하게 될 것이며, 그 경험은 오래도록 마음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 한국여성스타트업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박정숙)이 11월 6일(목) 서울여성플라자에서 한국여성스타트업협회와 '여성의 역량강화와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및 양성평등한 조직 문화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여성의 역량강화와 더불어 여성이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루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조직 내 양성평등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여성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일·생활 균형 문화 조성을 위한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하고, 양성평등 조직문화 정착을 위한 양성평등 콘텐츠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여성스타트업협회와 함께 여성 창업기업의「중소기업 워라벨 포인트제」참여 확대를 추진하고,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컨설팅을 비롯해 △재직자 역량 강화 프로그램, △경력단절여성 인턴십 연계 지원 등 여성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기업 내 양성평등 가치의 확산과 인식 제고를 위해 다양한 양성평등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구성원 모두가 존중받는 평등한 조직문화가 자리

정치

더보기
종묘 하늘 가리는 초고층 논란… "오세훈 시장, 업자와의 동행 중단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 종묘 인근에 추진 중인 세운4구역 초고층 개발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은 7일 최지효 부대변인 명의의 서면브리핑을 통해 "오세훈 시장과 서울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앞에 142미터 빌딩을 세우려 한다"며 "역사적 존엄을 업자 이익에 내던지는 행정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시는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내 4구역에 초고층 복합건물을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해당 지역이 종묘의 경관지구에 인접해 있어, '세계유산영향평가(HEIA)'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사업이 추진될 경우 세계유산 등재 취소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서울시당은 "유네스코가 공식 권고한 절차를 외면한 채 일방적 개발을 강행하고 있다"며 "조선 왕실의 위패가 모셔진 종묘는 대한민국 첫 번째 세계유산이자 문화자존의 상징이다. 이를 침해하는 행정은 역사와 시민 모두에 대한 모독"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최 부대변인은 "오세훈 시장은 '건물을 높여도 그늘이 생기지 않는다'는 단편적 논리로 세계유산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며 "문제의 핵심은 그림자의 유무가 아니라 종묘가 지닌 의례 공간의 축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