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8 (토)

  • 흐림동두천 3.8℃
기상청 제공

관광공사, 12일 '2015 한러 관광포럼' 개최

한러상호방문의 해 추진 관련, 양국간 관광교류 증대 방안 모색

(서울=미래일보)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김영호)는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한국과 러시아 양국간 관광교류 확대를 위한 한러 관광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선 '14-15 한러상호방문의 해' 추진에 따른 양국 간 관광객 교류 및 관광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며, 특히 향후 양국간 지속적인 관광교류 증대를 위한 다양한 협의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P000012863_M.jpg

또한 한국과 러시아의 관광상품 개발 및 판촉을 위한 양국의 관광 특성에 대한 주제 뿐만 아니라 러시아시장 대상 신규 방한상품 및 한국관광 트렌드 변화, 한국의료관광의 인기 증가에 대한 주제로 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포럼에 한국 측에서는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이재성 한국관광공사 국제관광본부장을 비롯해 인바운드 주요 여행사 등이 참석한다. 러시아 측에 로만 스코르이 러시아관광청 부청장, 올레그 다비도프 주한 러시아공사, 지방정부 및 관광업계 관계자 등 30여명의 사절단이 참석한다.

한국관광공사 김갑수 구미팀장은 “한국과 러시아의 정부, 관광업계 등이 참여하는 이번 포럼이 향후 양국의 관광잠재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월 시행된 한국과 러시아간 '무비자 제도'와 '14-15 한러상호방문의 해' 추진으로 지난해 한국을 찾은 러시아 관광객수는 사상 최대인 21만4366명(전년대비 22.2% 증가), 러시아를 찾는 한국인은 13만5676명(전년대비 25.7% 증가)으로 집계됐다.
 
장건섭 기자 i24@daum.net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대전문인총연합회, 3월 새봄 맞아 '한국문학시대' 제80호 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전문인총연합회(회장 김명순)가 2025년 3월 새봄을 맞아 순수종합문예지 '한국문학시대' 제80호를 발간. 문학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한국문학시대'는 화가 유병호의 'Blue & Jazz'의 표지처럼 밝고 신선한 생명성을 느끼도록 각 장르에서 심혈을 기울였다. 특집으로는 대전이 본향이며 본격적인 한글문학의 시조라 할 수 있는 서포 김만중을 시리즈 11번째로 다시 조명했다. 이번 호에서는 김병국 건양대 명예교수의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의 인식과 영향', 전성운 순천향대 교수의 구운몽을 중심으로 한 '김만중 소설의 후대적 수용과 성취'라는 두 논문을 실었다. 이를 통해 서포 김만중의 문학이 지금까지도 우리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우리가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학술적으로 보여주었다. 나아가 대전문총은 이에 그치지 않고 금년에도 ‘서포문학축전’을 개최하는 등 서포 김만중의 문학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계승 발전시키는 중심에 서 있다. 문단 등용의 길을 열어주는 '한국문학시대' 우수작품상 공모에서는 시부문 응모자 중에서 2명이 당선되는 영예를 안았다. 그 주인공은 '봄바람' 외 4편의 작품을 응모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논평] 민주당 서울시당, "실패한 '한강 수상택시'에 이어 '한강 리버버스' 내세운 오세훈 시장, '오퓰리즘 정책' 중단하라" (서울=미래일보) 민주당 서울시당 이인애 대변인 = 오세훈 서울시장은 2007년 출퇴근 교통체증을 해소한다는 명분으로 38억 원 혈세를 투입해 ‘한강 수상택시 사업’을 밀어붙였다. 그러나 낮은 접근성과 매우 적은 이용객 수로 한강 수상택시는 실효성 논란에 부딪혔다. 당시 수상택시 선사였던 청해진해운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사고 수습을 이유로 운항을 중단했다. 2016년 수상택시 운행이 재개됐지만, 계속된 적자와 잦은 배 고장으로 결국 2024년 사업이 종료됐다. 그런데도 오 시장은 2021년 취임 후 실패한 ‘한강 수상택시’와 별반 다를 바 없는 ‘한강 리버버스’를 자랑스럽게 내세웠다. 오 시장은 진수식에서 과거 수상택시 실패의 쓰라린 경험이 생각났는지 눈물까지 흘렸다. 오 시장이 느낀 감동과 달리 한강 리버버스는 벌써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2년 동안 한강 리버버스의 운항수익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선착장 내 편의점과 카페 등 부대시설 사업을 통해 수익을 보존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는 애초 서울시가 리버버스 이용객 수요의 부족을 예측했다는 방증 아닌가? 한강 리버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시민들이 굳이 선착장 부대시설을 방문해 매출을 올려줄 이유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