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환 국민의당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 대표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의당이 쓰고 있는 예산은 국고보조금이 약 70%, 당비가 30%를 차지하고 있다”며 “국민의 세금과 당원들의 소중한 당비를 알뜰하게 쓰고, 그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매주 화요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예산 집행내역을 보고하기로 했다.
국민의당이 공개한 ‘7월 지출 세부내역’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지출한 비용은 5억3087만원이다. 당직자 7월 급여로 1억4113만원, 홍보물 및 인쇄비용으로 1억5898만원이 지출됐다.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국가대표 선전 기원 격려금(200만원)과 신문구독료(28만3000원) 등 상세한 비용내역도 공개했다.
정당 사상 최초의 회계 내역 공개는 4·13 총선 홍보비 파동으로 곤욕을 치른 국민의당의 극약 처방으로 해석된다. 국민의당은 홍보비 파동으로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가 사퇴했고, 박선숙·김수민 의원은 불구속 기소됐다.
김 총장은 또 이날 당 회계보고를 위해 열린 간담회에서 김 총장은 또 "내년 대선,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당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총장은 이날 "지난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압승할 거라는 여론조사가 쏟아지는 등 '집단적 착시'가 있었지 않느냐"며 "지금의 여론조사도 착시다. 대선 국면이 되면 결국 문재인 지지자들이 안철수 쪽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총장은 "앞으로 전당대회와 대선 경선에서 국민의 관심을 모을 경쟁구도를 만드는 일이 앞으로 우리 당이 해야할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전당대회와 대선 정국 속에서 국민의 요구를 당 안에서도 흡수, 당내 경쟁을 도입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안철수 전 대표는 한국갤럽이 지난 9∼11일 실시한 차기 정치지도자 조사(성인 1004명 대상,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에서 8%의 지지율을 얻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28%),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16%)에 이은 격차가 훨씬 벌어진 3위에 머물렀다.
김 총장은 이어진 오찬 간담회에서 "국민이 친박(친 박근혜), 친문(친 문재인)을 모두 외면할 것"이라며 "국민의당의 최대 위기는 국민이 총선에서 제3당을 탄생시켜 부여해준 경쟁구도를 정작 우리 당이 당내에 부여하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총장은 또 내년 대선과 관련해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국민의당은 대선이 끝나면 없어질 당'이라고 공공연히 말하고 있고, 대선까지 야권통합과 후보단일화 문제가 당의 밑동까지 흔드는 일이 벌어질 것으로 예측된다”며 “그러나 (지난 총선에서) 지난 60년간 우리 정치사를 지배해 온 ‘3자 필패론’은 무너졌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9일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이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하려면 대선 '1년 전' 모든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 하는 당헌·당규를 '6개월 전'으로 개정하겠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이 발언은 손학규 더불어민주당 전 상임고문과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에게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해석된는 대목이다.
김 총장은 “(3자 필패라는) 관성적 사고, 집단적 착시가 지금도 진행 중”이라며 “우리는 대선까지 또다시 단일화 요구에 시달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3자 구도 유지가) 전대와 대선까지 우리당 전략에서 가장 중요하다”며 “총선에서 (국민의당을 지지한) 26.7%의 국민이 기존 정당의 변화 속도로는 안 된다고 하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삼자필패론은 60년 정치사의 지배적 논리였지만 무너졌다. 왜 무너졌는지 성찰이 없고, 그래서 이 문제는 끝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총장은 지난 총선 여론조사가 예측에 실패해 국민의당이 불이익을 입었다고 주장하며 ‘선거 무효’를 언급해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또 “대의원과 일반 당원의 비중을 조정해 1인1표제 직선제로 당 대표를 선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당 관계자가 밝혔다.
이는 당내 구성원들이 기존 대의원 중심으로 이뤄지는 당직자 선출에 문제가 많다는 인식을 하고 있어서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