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31 (수)

  • 구름많음동두천 -2.5℃
  • 구름조금강릉 -1.3℃
  • 구름조금서울 0.7℃
  • 흐림대전 0.2℃
  • 연무대구 2.7℃
  • 흐림울산 5.7℃
  • 광주 5.1℃
  • 흐림부산 8.2℃
  • 흐림고창 5.9℃
  • 구름많음제주 10.6℃
  • 흐림강화 -1.6℃
  • 흐림보은 -2.2℃
  • 흐림금산 -0.6℃
  • 흐림강진군 4.6℃
  • 흐림경주시 1.4℃
  • 흐림거제 5.9℃
기상청 제공

[신간] 통영역사여행 길잡이-바다 지킨 용(龍)의 도시 삼도수군통제영

잊혀진 ‘해양 DNA’ 삼도수군통제영과 통제사, 그리고 통영 이야기

(서울=미래일보) 김정현 기자=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해 포구에 위치한 경상남도 통영시는 이름의 유래가 된 '삼도수군통제영' 때문에 지방 도시 이상의 무게를 지녔다. 수군통제영과 그곳을 다스렸던 통제사들은 조선인의 삶과 조선왕조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서울의 연구자들은 별로 주목하지 않았지만 조선 후기, 통영에 위치했던 삼도수군통제영이 수행한 시대적 역할과 파급력은 크고도 깊었다. 그 때문에 지금은 한적한 관광도시, 수산도시에 불과한 통영이지만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풍성한 사연들이 넘쳐나도록 담겨 있다.

산수야 출판사에서 출간한 KBS 기자 출신 장한식 씨의 '바다 지킨 용의 도시 삼도수군통제영'은 지금껏 소홀히 다뤄졌던 통제영의 역사적 중량을 복원하고 주변부에 머물렀던 통영과 해양의 중요성을 재조명한다.

남해 바닷가에 삼도수군통제영이 생긴 계기는 조일전쟁(임진왜란)이었다. 대전란을 경험한 이후 조선왕조는 생존본능에서 삼도수군통제영이란 계획도시를 건설했고, 일본의 재침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강력한 군영체제를 오랫동안 유지했다.

물산이 풍부한 해변에 많은 군력이 집중되면서 통제영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큰 비중을 갖게 됐고, 역으로 한양의 중앙정치에까지 실질적 파워를 투사할 수 있었다. 300년 통제영 역사에는 208대에 이르는 삼도수군통제사들의 풍성한 에피소드가 담겨 있기도 하다.

이 책은 ‘바다를 버린 나라’ 조선에서 해양문화의 창(窓)이자 요람으로 기능했던 삼도수군통제영의 역사와 문화를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굴절됐던 한반도 해양문화의 회복을 시도했다.

통제영, 잠든 조선의 해양 문화를 깨우다

중세 이후의 세계사는 바다를 활용하는 능력이 각국의 운명을 갈랐다. 이탈리아 북부에 자리잡았던 해상의 도시국가 베니치아가 대표적인 성공사례다. 베네치아인들이 이룩한 해상경영의 노하우는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포르투갈과 스페인으로 전수됐고, 15세기 들어 유럽 각국은 앞다퉈 신대륙을 발견하고 식민지를 확대해 나갔다. 이후의 근세사는 해양화를 먼저 이룬 서양(유럽과 미국)이 육지에 갇혀 지낸 동양과 여타 지역을 선도해 온 역사였다.

반면 일본은 바다를 대하는 자세가 한국, 중국과 달랐다. 조선왕조가 섬나라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첫째 원인도 바닷길을 막고 국부민강(國富民强)의 길을 스스로 차단한 데서 찾아야 한다.

다만 남해바닷가에 통제영이란 작은 창(窓)이 열려 있었기에 조선의 해양문화는 완전질식을 피할 수 있었다.

수국(水國)과 삼도수군통제영의 역사

‘물 위에 뜬 나라’가 있었다. 한반도에 역사가 생겨난 이후 가장 엄혹했던 시절, 버려진 해변과 섬, 바다 위로 쫓겨난 백성들로서 이룩한, 작지만 굳센 공동체였다. 조선국 안의 또 다른 나라, 가칭하여 ‘수국(水國)’이었다. 조일전쟁(임진왜란)이라는 일대 혼란기에 불꽃처럼 생겨났다가 종전과 함께 왕조체제 안으로 녹아들어간 ‘군·산·정(軍·産·政)복합체’가 곧 수국이다.

수국을 세운 사람은 이순신이다. 이순신은 ‘바다를 버린 왕국’ 조선에 해양의 가치를 일깨워 주었다. 그가 세우고 아꼈던 ‘물나라, 수국’은 종전 이후 삼도수군통제영으로 계승되며 우리 해양문화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훗날 식민지로 조락했던 그의 조국이 해양강국으로 재기하는데 있어 정신적 자부심의 원천이 됐다. 저자는 이순신과 수국에 관련된 내용을 지난 2009년 발간한 '이순신 수국 프로젝트' 에 자세히 소개했다.

삼도수군통제영 3백년 역사의 기록

'바다 지킨 용의 도시 삼도수군통제영'은 '이순신 수국(水國) 프로젝트'의 후속편인 셈이다. '이순신 수국 프로젝트'는 1592년 조일전쟁이 발발하고 이듬해 충무공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이후 ‘한산도(정유재란 시기에는 고금도) 통제영’을 중심으로 서남해 일대의 많은 섬과 해변에 나라에 비견할 만한 수국(水國)체제를 구축해 일본군과 대결했다는 ‘분석적 사실(史實)’을 기록한 책이다.

통제영 300년사에 대한 기록이 미흡했다는 아쉬움에서 저자가 9년의 세월이 지나 다시 꾸민 책이 '바다 지킨 용(龍)의 도시 삼도수군통제영'이다.

이 책은 전문 연구서가 아니고 통영의 근세사를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볼 수 있게 꾸민 대중도서이다. 저자는 수백 년 전 조선왕조가 남해 바닷가 외진 포구에 강력한 군진을 설치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고, 그렇게 생겨난 군영체제가 역으로 조선인의 삶과 조선왕조의 역사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썼다.

저자 장한식은 통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 동(同)대학원을 졸업하고 1991년 KBS 기자로 입사해 사회부와 정치부 등 여러 부서를 거쳤고 베이징특파원을 지냈다. 이어 뉴스제작부장과 경제부장, 사회부장, 해설위원, 편집주간, 전략기획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의 격전지 견내량과 한산도 앞바다가 바라다 보이는 통영시 용남면의 해변마을에서 태어난 저자는 석사학위 논문 제목이 '구한말 근대적 통신제도의 구축에 관한 연구'였을 정도로 한국사의 여러 분야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

저자는 '이순신 수국(水國) 프로젝트'를 저술하는 등 대한민국 해양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 후속편으로 지금껏 주변부에 머물렀던 통영과 해양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차원에서 '바다 지킨 용의 도시 삼도수군통제영'을 썼다.

이 책을 집필한 가장 큰 이유에 대해 저자는 이순신이 만든 한산도 통제영이 저자의 집 근처에 있기도 하거니와 ‘이순신이 싸운 바다’가 어떠했는지를 날마다 관찰하면서 자라서인지 기존의 역사 연구자들이 ‘문헌’에서 놓친 부분을 적지 않게 발견하게 됐고,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욕망에서 시작됐다고 밝힌다.

통영을 찾은 여행객들에게 ‘통영(統營)’이라는 도시명이 탄생한 유래를 소개하고 가볍게 다뤄진 삼도수군통제영의 역사적 중량(重量)을 복원하기 위함이다. 해양문화의 요람이었던 삼도수군통제영과 그곳을 다스린 통제사들이 조선인의 삶과 조선왕조의 역사에 미친 지대한 영향을 재조명할 가치는 충분하다.

redkims6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김한규 의원 "테러를 테러라 말하지 못하는 정부, 정치적 목적 있어 보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29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제주시을)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피습 사건을 테러로 규정하지 않는 대테러센터의 행태를 지적했다. 김 의원은 김혁수 대테러센터장에게 "(이 대표 피습 사건의 경우) 군 출동 요구도 없었고 이 대표 측에서 보상금 지원도 요구하고 있지 않다"며 "대테러 관련 조치가 달라질 게 없는데 테러 인정에 대한 판단을 이렇게 오래하는 것 자체가 무익한 게 아닌가"라고 물었다. 또한, 김 의원은 "법은 국민들 상식에 기초해 만들어진다"며 "2006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습격당했을 당시 테러방지법이 없었지만 제1야당 대표 생명을 노린 테러라 언급했었다"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서 "피의자는 이 대표가 야당 대표이기 떄문에 범행을 저질렀고 이는 국회 권한을 방해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며 "현행법상으로도 테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정부가 법 해석에 시간을 들여 고민하는 것 자체가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2006년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피습 사건과 2015년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당시 피의자 정보가 즉각

배너
배너